• Title/Summary/Keyword: 통합수치지도

Search Result 9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nalysis of Overlay Accuracy in Digital Topographic Map and Cadastral Information Using Ortho Image map (정사투영 영상지도에 의한 수치지형도와 지적정보의 중첩정확도 분석)

  • Kang, Joon-Mook;Choi, Jong-Hyun;Kang, Young-Mi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7 no.2 s.14
    • /
    • pp.57-68
    • /
    • 1999
  • In case of topographic information construction it is most important as basemap determines the success or failure of GIS It is argument that digitizing works of basemap are divided by NGIS and PBLIS. So, it have to accompany the combination and application of cadastral information for constructing a usful basemap. In this study, we generated ortho image map using 1:5,000 aerial-photography image, present the comparative analysis for the overlay accuracy and map revision of topographic and cadastral information using ortho image map to base map. So, we present application schemes for land use, environment, and city planning field as well as union database by overlaying of image map and cadastral information.

  • PDF

A Experimental Study on the Translation from Korean Digital Topographic Maps to Distributed Objects (수치지형도의 객체화 변환에 관한 연구)

  • 황철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7 no.2
    • /
    • pp.255-269
    • /
    • 1999
  • This is an experimental study to translate the Korean digital topographic maps into distributable information-hide objects, which are designed with object-oriented development's key features ; encapsulation, polymorphism, inheritanc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mode and inter-relationships of digital topographic maps are investigated . As a result, it is revealed that the current Korean digital topographic maps, which is organized into so many individual layers of mixed spatial and attributed data, have to explicit and concrete hierarchies in spatial data model and data definition . Due to this limitation , data layer stage and object class stage are integrated. And ISCO(the is-computer -of relationships) mechanism is mainly used to develop the objects of digital topogrpahic maps, which is implemented with spatial primitive classes. the designed objects are coded with JAVA and then testified in web interface.

  • PDF

The combined system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using Fuzzy Petri net and Neural Network (퍼지페트리네트와 신경망을 이용한 의식.무의식 통합 시스템)

  • 박경숙;박민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311-321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정신분석과 두 종류의 정서이론, 인공지능과 신경회로망 그리고 퍼지 페트리 네트 등을 사용하여 사람의 인지과정을 모방한 인지모형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먼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을 사용하여 정신의 구조를 그래프로 표현한 후 이것을 '마음의 지도'라 명명하였다. 인지모형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첫 번째 작업으로 동적인 추론을 할 수 있는 지능 모델인 KNBN(Kohonen Network based Belief Network)을 제안하였다. KNBN으로 표현한 마음의 약도 내에서 연결강도 값으로 사용할 상대적 데이터를 만들기 위한 근거로서는 '정서'를 사용하였는데, 플라칙의 진화론에 근거한 정서이론과 오토니의 인지적 정서이론을 결합하여 데이터로 만든후 이 수치를 연결강도로 사용하였다. 이 두 개의 정서이론을 결합하는 알고리즘을 만들기 위해 페트리네트를 변형한 퍼지 페트리네트를 제안하였다. 또한 오토니가 주장하는 정서의 인지구조를 사람들이 그대로 이해하는지 여부를 알기 위해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해 정서의 인지구조에 대해 조사하였고 그 결과 값에 근거하여 두 개의 정서이론 결합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이것으로 정서 발화에 대한 상대적인 수치가 산출되었고, 이것을 KNBN으로 표현한 마음의 약도에 결합하기 위해 0과 1사이의 수치로 정규화 하였다. 이렇게 정규화된 데이터를 이용해 인지 모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Integragion of River and Inundation Model for Flood Risk Mapping (홍수위험지도 작성을 위한 하천 및 범람해석모형의 연계)

  • Kim, Tae-Hyung;Han, Kun-Yeun;Kim, By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67-67
    • /
    • 2011
  • 지구 온난화 등에 의한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해 야기되는 대규모 호우 등의 기상이변 현상은 댐 및 제방 붕괴와 같은 비상상황을 발생시키고 있고, 실제로 최근 10년간 태풍 등의 기상이변 현상으로 인해 낙동강의 여러 지류하천의 제방이 붕괴되는 피해가 발생했으며, 잇따른 피해들은 이 분야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증대시켰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상홍수 및 국지성 호우에 의해서 하천 제방의 붕괴로 인한 제내지에서의 비상상황 발생에 대비하기 위해, 제내지에서의 범람홍수 해석결과를 통한 홍수위험지도 제작을 위한 tool로 활용함으로써 피해예상지역 내 주민 등의 신속한 대처를 통해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함에 있다. 이러한 하도 및 제내지에서의 범람홍수 양상을 효율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실제 제방붕괴사례를 포함하는 사상에 대해 1차원 하천흐름 해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산정되는 제방붕괴 유출유량을 통해 제내지에 대한 2차원 범람홍수해석을 실시하였다. 1차원 제방붕괴 해석을 위해 FLDWAV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2차원 범람해석 모형으로 흐름의 전파양상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상류이송기법인 Godunov 기법과 수치적인 계산 이전에 인접자료의 값을 이용하여 자료를 재구성하는 MUSCL(Monotone Upstream-centered Schemes for Conservation Laws) 기법을 사용하여 개발된 고정확도 유한체적모형을 적용하였다. 실제 제방붕괴 사상을 적용하기 위해 남강의 제방붕괴 사례를 고려하였으며, 2003년과 2006년에 각각 발생한 태풍 매미와 에위니아 사상에 대해 1차원 하천흐름해석 및 2차원 홍수범람해석을 실시하였다. 1차원 하천흐름해석에 대해서 하천 내에 위치한 수위표에서 관측된 실측수위를 통해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2차원 범람홍수모형에 의해 산정된 홍수범람범위는 침수흔적도를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되어 적용된 2차원 범람해석 모형을 국가홍수위험지도 제작에 대해 활용할 수 있다면, 정확도 높은 통합홍수방재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pplic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University Forests (대학연습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지리정보시스템의 활용방안)

  • Kwon, Taeho;Kim, Taek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 no.3
    • /
    • pp.81-90
    • /
    • 1999
  • The functional change of university forest have led to need more complicated techniques for forest management strategies, and more information about forest and natural environment. Therefore the systematic tools, like the so-called Forest Information System to which apply the technique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re eagerly required for collecting, editing, managing, analyzing the various data about forest and environment, and for support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e digital mapping, which could be a primary step to construct the Forest Information System, was carried out using the many kinds of thematic spatial data referring to the Seongju Experimental Forest of Taegu University. As a result, various digital maps including forest type, soil type and so on were constructed. And then we made an user-interface system to link the attributive data in management plan to the thematic spatial data. This system was regarded as the effective tool capable of the more rapid query, analysis and update of related data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university forest. Moreover, it would be a useful tool of decision-making in devising, assessing and operating the plan of forest management and development. But there would be much room for supplementation and improvement to make the more convenient and powerful system for the external demands, therefore more concerns and efforts in collecting, revising and updating the data is continuously required.

  • PDF

A Study on Field Investigation System for Road Sign Management (도로표지 관리를 위한 현지조사 시스템에 관한 연구)

  • Woo, Je-Yoon;Koo, Jee-Hee;Chong, Kyu-Soo;Lee, Sang-Chul;Kim, Dong-Hwa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65-70
    • /
    • 2002
  • 도로표지는 도로 이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방향, 거리, 경로 안내 등 기타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흐름을 제공하여 도로의 이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중요한 도로 부속시설물이다. 이 시설물의 설치 기준인 도로표지규칙의 일부 기준이 미흡하고 운영 및 관리담당 기관이 일원화되지 않아, 전문적 도로표지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도로표지의 통합적 전문적 관리와, 그에 따른 도로표지의 신속하고 정확한 조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의 조사시스템을 도출하기 위하여 도로시설물의 조사를 위한 여러 방법과 시스템을 비교하고 그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치지도를 바탕으로 한 도로망도를 추출하고 DGPS 측량을 실시한 도로망도를 이용하여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지 조사 시스템을 공간정보, 속성정보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표지판등록 및 GPS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응용프로그램, 소프트웨어와 경로탐색용 네비게이션, 노트북, 디지털카메라, GPS로 구성된 하드웨어로 구성하여 현지조사에 사용하였다. 현지조사 작업은 차량에 설치된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원격조정으로 도로표지의 사진을 촬영하고, GPS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였다. 현지조사 시스템은 지도의 축척에 맞는 정확도로 조정이 가능하며, 도로표지 조사뿐만 아니라 교통표지 및 그 외의 도로시설물의 조사에도 활용하고, 무선통신을 이용한다면 실시간 정보의 수정 및 입력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River with Floodplain Vegetation (홍수터 식생에 의한 하천의 수리특성 연구)

  • Lee, Kyungsu;Noh, Joonwoo;Hur, Youngte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56-360
    • /
    • 2015
  • 기존의 하천관리는 이 치수에 중점을 두었다면 최근에는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하천복원사업을 통해 주변환경을 개선하여 자연과 공존하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다. 하천에 분포하는 다양한 종류의 식생은 지형변화, 유속 및 수위 변화 등 직 간접적으로 하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하천흐름에 대한 식생의 영향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 수리 수질 통합분석이 가능한 EFDC모형을 이용하여 홍수터 식생에 의한 하천의 수리특성 변화를 모의하였다. 금강수계 공주보~백제보 구간에 대한 수치지도 및 수심측량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된 3차원 정밀지형도와 30~50 m 간격의 직교곡선격자망을 이용하여 지형을 구축하고, 홍수터 식생에 의한 흐름저항을 반영하기 위한 현장조사를 통해 작성된 식생분포지도를 토대로 교목류(Tree), 관목류(Shrub), 초본류(Herb), 수체(Water) 4가지로 구분하여 분포밀도, 흉고직경, 교목의 높이를 모형에 적용하였다. 2일 간의 보 운영조건에 따라 상류의 공주보 방류량과 하류의 백제보 수위를 경계조건으로 분석을 실시하고, 동일기간 61개 관측지점 중에서 상 중 하류 4개의 임의지점에 대하여 유속측정결과와 모의결과의 비교를 통해 모형을 검증하였다. 홍수터가 완전히 잠겨 식생의 영향을 크게 받는 고유량 조건에 대하여 식생의 적용 여부에 따른 수리특성 변화를 살펴본 결과 홍수터의 경우 일부구간에서 유속이 감소하였으나 인근 주수로의 유속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수위의 변화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prediction and distribution of Moors Applying to Environment Assesment Based on E-GIS (환경지리정보 기반의 환경평가 적용시 습지분포 및 규모예측)

  • Kwak, Young-Joo;Park, Sang-Yong;Kang, In-J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3 no.3 s.33
    • /
    • pp.53-57
    • /
    • 2005
  • The moors ecosystem is sensitive environment change and weak in artificial interference. These nature property are very important to people. It is necessary to preservation and protection the moors with a countermeasure. We really need to Environment-GIS(E-GIS)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GIS) and digital map including range, correct position and attribute data of moors. In this study, we take priority of making a database of moors management. Taking effect an environment assesment, we concentrate on a standard method of digital map production and a preservation of moors in our research using GIS. Especially, we have to preserve our important national heritage using GIS when Environment Assesment is conducting under construction. We suggest to pre-estimated model of hidden moors as analysing terrain, geological feature, a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plants and animals using GIS.

  • PDF

A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Model of Location Referencing Systems for ITS (ITS용 위치참조체계의 모델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 최기주;이광섭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191-191
    • /
    • 1998
  • ITS를 구성하는 서비스나 기능이 대부분 동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어, 앞으로는 이를 효율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공간데이터(Spatial Data)가 필요하다. 특히, 대부분의 ITS서비스와 기능이 정보의 신속한 전달을 위해서 유무선통신을 사용할 것이다. 또한, 최정 사용자서비스와 응용분야가 공간데이터라는 기본적인 정보를 공유하므로써 위치에 대한 정적·동적교통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정보사용자가 사용하는 공간데이터가 상이하다면,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정확하게 제공되지 않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러한 이유는 정보사용자가 자신들의 정보수집, 정보전달, 정보분석 등의 목적에 적합한 공간데이터를 제작하여 유지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정보의 공유를 위해서는 상이한 공간데이터들 간에 동일한 교통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조작이나 방법이 필요하다. 서로 다른 원본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통합하고 이를 ITS서비스와 기능을 위한 각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수준을 가지고 있는 공간데이터(수치지도 데이터)의 해상도, 위치정확도, 속성정확도, 정밀도, 범위 등과 같은 문제들이 최종 응용시스템에 적용되어져야 하고, 이를 통해 공간적인 위치와 수치지도를 구성하는 각종 엔터티가 참조되어야 할 것이다. 이뿐 아니라, 향후 데이터 공유의 방법에 있어서도, 각종 무선통신의 발달과 인터넷과 같은 정보전달매체의 대중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정보의 공유가 동시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주도로 제작된 전국범위의 수치지도를 하여, ITS용 네트워크데이터구성을 위한 기능분석과 사양을 제시를 함으로써, 이에 대한 프로파일 개발한다. 정보공유를 위한 위치참조모델(LRM)과 프로파일을 ITS데이터에 적용함으로써, 위치참조모델의 기능과 적용성을 평가한다.키기 위한 향후의 연구과제를 제시한다.Si결정의 크기를 비교하였을 때 45$\mu\textrm{m}$ 이하의 분말을 섞어 압출하였을 때 가장 작은 초정 Si입자 크기를 얻음 을 볼 수 있었다. 주의 Fairfax County에 소재한 주간 고속도로 66번(I-66)과 인접 교통망의 교통자료를 사용하여 각종 돌발교통 혼잡 상황을 전제로 한 Traffic Simulation과 정보제공시나\리오를 INTEGRATION Model을 이용해 실행하였다. 그 결과 적응형 알고리즘이 개개인의 최단시간 경로를 제공하는 사용자 평형 경로안내전략에 비해 교통혼잡도와 정체시간의 체류정도에 따라 3%에서 10%까지 전체통행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출발참, 구성대외개방선면축심, 실현국제항선적함접화국내항반적전항, 형성다축심복사식항선망; 가강기장건설, 개피포동제이국제기장건설, 괄응포동개발경제발전적수요. 부화개시일은 각 5월 26일과 5월 22일이었다. 11. 6월 중순에 애벌레를 대상으로 처리한 Phenthoate EC가 96.38%의 방제가로 약효가 가장 우수하였고 3월중순 및 4월중순 월동후 암컷을 대상으로 처리한 Machine oil, Phenthoate EC 및 Trichlorfon WP는 비교적 약효가 낮았다.>$^{\circ}$E/$\leq$30$^{\circ}$NW 단열군이 연구지역 내에서 지하수 유동성이 가장 높은 단열군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실은 3개 시추공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추공 내 물리검층과 정압주입시험에서도 확인된다.. It was resulted from increase of weight of single cocoon. "Manta"2.5ppm produced 22.2kg of cocoon. It

  • PDF

Study of the Data Exchange Format of GIS and CALS/EC System (GIS와 CALS/EC 시스템의 자료 교환 포맷 연구)

  • 이상길;정종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2 no.2
    • /
    • pp.151-163
    • /
    • 2004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tandard protocol by which users can exchange data information efficiently between KOSDIC and GIS. The ultimate goal from this study is to propose a data exchange format using KOSIC.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that GIS industry sector is vigorously developing linked to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such as UIS, LIS, EIS, AM/FM through supporting by regional government institution. According to do, the format of data transformation becomes major issue. GIS data can easily transfer to CAD version but when CAD data convert to GIS format (DWG->DXF->SHP) cannot get high success rate due to errors and problems. In addition, CAD data feature is made from oriental structure which is made of point and line faeture so that GIS system is impossible to data transformation. In the reason, the biggest problem is discordance of symbolization in integration and standard of data format. By investigation the usability of this study, conclusion are drawn efficient alternative plan in data transformation. Though this wort we will be able to provide a better transformation of data conversion between CAD format and GIS format. Accordingly, it is of important to enrich the integrated construction information infrastructure, which accommodates ever-changing constructions environ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