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합병원

검색결과 550건 처리시간 0.045초

인지 중재프로그램에 따른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차이 (Differences in Cognitive Funct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according to Cognitive Intervention Programs)

  • 이윤정;김정자;오명화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09-219
    • /
    • 2020
  • 본 연구는 인지 중재프로그램에 따른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2018년 7월부터 10월까지 G시에 위치한 요양병원에 입원중인 경증치매노인 30명을 대상으로 전산화인지프로그램과 인지통합프로그램, 전산화인지프로그램과 인지통합프로그램을 병행한 프로그램을 주 2회 30분씩 총 12주 적용하였으며, 전산화인지프로그램과 인지통합프로그램을 병행한 프로그램은 전산화인지프로그램 15분과 인지통합프로그램 15분을 병행하여 적용하였다. 사전 및 사후평가는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인지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한 각각 세 집단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의 전후를 알아본 결과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인지 중재프로그램에 따른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모든 항목에서 전산화인지프로그램과 인지통합프로그램을 병행하여 적용한 집단이 높은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해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인지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한다면 효과적인 작업치료 중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units and the nurses in general units)

  • 이은주;이은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51-360
    • /
    • 2020
  •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을 확인하여 효과적인 간호인력 관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300병상 미만의 4개 병원에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 62명과 일반병동 간호사 62명의 설문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직무만족이 높았고, 특히 보수, 전문성, 행정요구, 자율성, 업무요구, 상호작용 영역에서 높았다. 일반병동 간호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보다 직무스트레스 중 간호업무, 의사와 갈등, 환자와 보호자 영역에서 높았고, 간호사 대우 영역에서 낮았다.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는 일반병동 간호사에서만 유의한 역상관관계로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직무 만족은 높았다. 따라서 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직무만족 향상을 위해 명확한 업무규정에 의한 업무수행, 과도한 업무부담의 감소, 적절한 보상, 상위 교육 지원이 필요하다.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안전통제감과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Nurses Occupational Stress on Safety Control and Patient Safety-related Nursing Activities)

  • 양희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444-455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 간병 통합서비스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안전통제감과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직무 스트레스가 안전통제감과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9년 3월 11일부터 4월 17일까지 4개 종합병원의 간호 간병 통합서비스 병동에 1년 이상 근무한 간호사 13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직무 스트레스는 안전통제감, 환자안전관리 활동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스트레스는 안전통제감과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 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안전통제감과 환자안전관리 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근무환경 개선이 요구되며, 간호 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병원전단계 응급의료서비스 고도화 전략 (Strategies for Improving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ervice)

  • 채승기;장대현;이현우;한우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3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1호
    • /
    • pp.127-130
    • /
    • 2011
  • 사회가 고령화, 초핵가족화 및 재난취약계층이 늘어나면서 요구호자에 대한 고품질 맞춤형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었고, 급성진환, 심뇌혈관 고위험 환자 및 자살 등 예방가능 사망률이 선진국에 비해 높음에 따라 신속하고 전문적인 구조 구급서비스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응급환자가 발생하였을 때 병원 도착 전 환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응급처치가 가능하도록 하고, 응급의료기관에서는 환자 진료준비를 사전에 할 수 갖출 수 있도록 하여 응급환자 진료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였다. 또한 사회적 인지도가 높은 119번호를 이용한 다양한 복합 응급신고 접수 시 유관기관과 통합적 대응체계를 구축하는 효율적 응급의료서비스 고도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웹 서비스 기반의 분산 의료 데이터 관리 (Web service based Distributed Medical Data Management)

  • 김지영;김윤희;윤찬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4 No.1 (B)
    • /
    • pp.339-343
    • /
    • 2007
  • 최근의 의료 데이터는 대용량의 디지털 이미지로 생산된다. 이러한 대용량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처리 능력과 대량의 데이터 저장 공간이 필요하다. 현재 각 병원에서 생산되는 의료 이미지는 개별적으로 구축되어있는 PACS[3]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러한 의료 환경속에서 대량의 데이터 저장공간 확보뿐 아니라 환자들의 중복 검사 방지, 의료 연구를 위한 풍부한 데이터 제공을 위해 각 병원의 의료 데이터를 통합하고 접근하기 위한 방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그리드 컴퓨팅 기술을 도입하여 고효율의 처리 능력과 풍부한 데이터 저장 공간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원격의 사용자가 지역적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관리 서비스를 웹서비스로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또한, 프로토타입을 설계, 구현하여 실제 가능성에 대해 확인하였다.

  • PDF

의료정보 연동을 위한 보안 시스템 설계 (Security Systems Design to Integrate Health Information)

  • 윤성열;박석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4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2호
    • /
    • pp.339-34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의료정보 연동을 위한 보안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 의료정보 표준과 XML을 조사 및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보안 시스템이 연동되는 서비스 흐름도 도출 및 시스템 설계를 하였다. 특히, 병원에서 질환관련, 식이관련, 운동관련 데이터를 제공하고, EMR 통합 Gateway를 통해 환자 데이터를 전송 받아 병원 간 개인건강정보 관리 모듈과 임상정보 관리 모듈을 통해 HL7표준을 이용하여 환자 정보를 XML 형태로 교환 하는 경우, 보안 시스템이 고려된다면 향후 다양한 응용 서비스에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SNS를 이용한 환자예약 시스템 사용 빈도 연구 (A Study on Using Frequency of SNS for Patient Booking System)

  • 이창규;윤주호;류대현;신승중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38-1039
    • /
    • 2012
  • 환자 예약 시스템은 오프라인에서 초진과 재진환자에 대해 병원의 수용능력, 의사별 진료 시간의 차이, 환자의 진료호응도등의 독립된 요소들이 조합을 이루며 통합적으로 이뤄진다. 일반 환자들에게서 SNS를 이용한 예약 시스템은 전담 스탭이 운용하는데 있어 상당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며, 그 예약 비율을 참고로 하여 보다 진보된 SNS 예약 시스템을 예측해 본다.

환자 맞춤형 모바일 건강 관리 시스템 설계 (Design of patient-specific mobile health care system)

  • 윤성열;박석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101-110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환자 맞춤형 모바일 건강 관리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 의료정보 표준과 XML을 조사 및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병원과 연계되는 시스템을 고려하여 서비스 흐름도 도출 및 시스템 설계를 하였다. 특히, 병원에서 질환관련, 식이관련, 운동관련 데이터를 제공하고, EMR 통합 Gateway를 통해 환자 데이터를 전송 받는다. 개인건강정보 관리 모듈 과 임상정보 관리 모듈을 통해 HL7표준을 이용하여 환자 정보를 XML 형태로 교환 할 수 있으며, 이는 향후 다양한 응용 서비스에 유연하게 접목 시킬 수 있을 것이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이용환자의 낙상발생률과 낙상의 특성 (Incidence Rate and Characteristics of Falls in Patients Using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 손재이;박병규;이찬희;안금희;김정남;박민현;최은영;부은희;강민진;홍정화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2-183
    • /
    • 2019
  • Background: Falls are the most frequent adverse events reported in hospital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rate and characteristics of falls in patients who used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lsan Hospital. Methods: Incidence rate of falls was investigated in patients using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from July 2013 to Jun 2017 and compared with those not using this service. The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for falls, and fall-related injuries were obtained. Results: Among the 62,445 patients who used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for 4 years, total of 672 falls were reported. The incidence rate of falls per 1,000 patients-day was 1.15. The percentage of fall-related injuries was 26.9% and that of major injury was 2.2%. Although the incidence rate of all falls was slightly higher in patients using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than those not using this service, falls-related injuries were not correlat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is service. Conclusion: The falls could be more frequently detected and reported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fall-related injuries.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의 환자참여 침상인계 프로토콜 적용 효과 (The Effect of Patient-Engaged Bedside Handoffs Protocol in Comprehensive Care Units)

  • 이보영;박경진;임재현;송아름;연미향;송현주;전도진;백규원;장주영;최수정
    • 임상간호연구
    • /
    • 제28권3호
    • /
    • pp.223-232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patient-engaged bedside handoffs in comprehensive care units,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bedsides to nurses and patients.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cluster randomized cross-over design.Electrical Medical Record (EMR)-based handoffs and patient-engaged bedside handoffs were alternatively applied to 104 patients, who were assigned to a total of 30 clusters (nursing handoff teams) in 4 comprehensive care units at the S medical center in Seoul, and the patients evaluated each type of handoffs. A total of 139 nurses were also participated in the same units and evaluated each type of handoff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Wilcoxon rank sum test, ANOVA, and Kruskal-Walls test. Results: The patient's satisfaction of the patient-engaged bedside handoff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EMR-based handoffs (Z=-5.16, p<.001). On the other hand, the nurse's satisfaction of the patient-engaged bedside handoff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EMR-based handoffs (t=13.21, p<.001).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length of the reporting time between two types of handoffs (t=-0.48, p=.634). Conclusion: Patient satisfaction with the patient-engaged bedside handoffs was higher than that of EMR-based handoffs, and nurses' satisfaction with the patient-engaged bedside handoff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EMR-based handoffs. Future studies are needed regarding the impacts of patient-engaged bedside handoffs on the quality of healthcare by identifying the benefits of the handoff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