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합거동해석

Search Result 65,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Integrated Analysis of Hydrodynamic Motions and Structural Behavior of Large-Scaled Floating Structures using AQWA-ANSYS Coupling (AQWA-ANSYS 연계에 의한 대형 부유구조체의 파랑운동-구조거동 통합해석)

  • Lee, Du-Ho;Jeong, Youn-Ju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4 no.6
    • /
    • pp.601-608
    • /
    • 2011
  • In order to design floating structures, it should be required to evaluate hydrodynamic motions and structural behavior under the wave loadings. Then, structural behavior of floating structures should be evaluated including the effects of wave-induced hydraulic pressure subjected to floating structures. However, there has been a problem to exactly evaluate structural behavior of floating structures since it was difficult to directly connect wave-induced hydraulic pressure resulting from hydrodynamic analysis with structural analysis model. In this study, in order to exactly evaluate structural behavior of floating structures under the wave loading, integrated analysis of hydrodynamic motion and structural behavior was carried out to the large-scaled floating structure. The wave-induced hydraulic pressure resulting from hydrodynamic analysis AQWA were directly mapped to structural analysis model ANSYS bia Workbench interface of ANSYS Inc..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integrated analysis of this study evaluate exactly structural behavior of floating structures under the wave loadings since this method can directly reflect wave-induced hydraulic pressure resulting from hydrodynamic analysis to structural analysis model. Also, as the results of structural behavior evaluation, it was found that the tensile stress on the top slab was maximized at the wave direction of $0^{\circ}$, and tensile stress on the bottom slab was maximized at the wave direction of $45^{\circ}$, respectively.

ICA 기법에 의한 플로팅 구조물의 강체 거동 특성에 관한 연구

  • Jeong, Gi-Beom;Hwang, Jae-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119-121
    • /
    • 2011
  • 플로팅 구조물의 거동은 함체의 크기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에 따라 함체의 거동을 표현하기 위한 해석모델은 해석의 단순성, 파랑하중과의 상호작용의 연계정도를 고려하여 그 형태 또한 달라지게 된다. 해석모델에는 함체에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한 진동저감시스템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함체의 해석모델에 진동저감시스템의 해석모델이 연계되면 이들 해석모형이 상호결함된 통합모형은 더욱 복잡한 경향을 가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함체의 해석모형을 강체거동을 하는 단순한 모형으로 가정하고 해석모형이 가지는 동적특성을 ICA기법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추정하는 기법을 다룬다. 이를 위하여 실험과 ICA 기법을 이용하여 동적추정이 가능한지를 평가해보고 이를 플로팅 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한 기법을 다룬다.

  • PDF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Simulation System and its Application to Casting Design

  • Lee, Young-Chul;Choi, Jeong-Kil;Hong, Chun-Pyo
    • Journal of Korea Foundry Society
    • /
    • v.17 no.6
    • /
    • pp.552-559
    • /
    • 1997
  • 주조방안설계를 위한 pre-processor, main-solver 그리고 post-processor로 구성된 통합 응고해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Pre-processor는 퍼스널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상용 CAD 프로그램인 AutoCAD를 사용하였다. Main-solver는 주조과정중의 충진거동을 해석한 유동해석 프로그램과 3차원 열전달 응고해석을 통합하여 냉각수 시스템으로 제어되는 금형 반복주조법에서의 응고양상을 해석할 수 있다. Post-processor는 cavity내의 용탕충진거동, 주형내의 온도분포, 응고시간등을 3차원 그래픽으로 처리할 수 있게 설계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형주강 밀하우징, 자동차휠 주조용품, 밸브블럭등의 시제품의 열유동해석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CastDesigner는 중소기업형 주조현장에서 PC용 CAD/CAE system 구축을 통한 최적주조방안 설계용 열유동해석 프로그램으로 사료된다.

  • PDF

Total Dynamic Analysis of Deep-Seabed Integrated Mining System (심해저 광물자원 채광시스템의 통합거동 해석)

  • Kim, Hyung-Woo;Hong, Sup;Lee, Chang-Ho;Choi, Jong-Su;Yeu, Tae-Kyeo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4 no.3
    • /
    • pp.195-203
    • /
    • 2010
  • This paper concerns about total dynamic analysis of integrated mining system. This system consists of vertical steel pipe, intermediate buffer station, flexible pipe and self-propelled miner. The self-propelled miner and buffer are assumed as rigid-body of 6-dof. Discrete models of vertical steel pipe and flexible pipe are adopted, which are obtained by means of lumped-parameter method. The motion of mining vessel is not considered. Instead, the motion of mining vessel is taken into account in form of various boundary conditions (e.g. forced excitation in slow motion and/or fast oscillation and so on). A terramechanics model of extremely cohesive soft soil is applied to the self-propelled miner. Hinged and ball constraints are used to define the connections between sub-systems (vertical steel pipe, buffer, flexible pipe, self-propelled miner). Equations of motion of the coupled model are derived with respect to the each local coordinates system. Four Euler parameters are used to express the orientations of the sub-systems. To solve the equations of motion of the total dynamic model, an incremental-iterative formulation is employed. Newmark-${\beta}$ method is used for time-domain integration. The total dynamic responses of integrated mining system are investigated.

통합형 점소성 구성방정식을 적용한 유한요소해석에 관한 연구

  • Kim, Jong-Beom;Lee, Hyeong-Yeon;Yoo, Bong;Kwak, Dae-Young;Lim, Yong-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a
    • /
    • pp.1014-1020
    • /
    • 1995
  • 고온구조물은 고온에서의 운전상태에 따라 복잡한 하중이력을 경험하게 됨으로써 상온에서 발생하는 손상 기구와는 달리 온도 의존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상온에서 볼 수 없는 크립-피로의 상호작용에 의한 손상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고온 구조물의 건전성 평가를 위한 비탄성 해석을 신뢰성 있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의 비선형 거동을 비교적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통합 구성방정식의 개발 및 적용과 온도에 따른 재료의 물성치 확보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 점소성 모델인 수정된 Chaboche 모델에 대해서 내연적 시간 적분법을 적용하여 ABAQUS의 UMAT으로 구현하였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INCONEL 718을 사용한 단순 인장해석, 반복 소성 특성해석 및 크립 해석을 수행하여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원공이 있는 평판에 대한 예제해석을 수행함으로써 개발된 프로그램이 고온구조물의 건전성 평가를 위한 비탄성 해석에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Unified Method for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of RC Planar Members (통합방법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부재의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 박홍근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9 no.2
    • /
    • pp.133-144
    • /
    • 1997
  • Concrete plasticity models fol the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in plane stress are studied. The proposed plasticity model for reinforced concrete provides a unified approach combining plasticity theory and damage models. It addresses strength mhancement under rnultiaxial compression. and tensile cracking damage. The model uses multiple failure criteria for compressive crushing and tensile cracking. For tensile cracking behavior. rotating-crack and fixed-crack plasticity models are compared. As crushing failure criterion, the Drucker-Prager and the von Mises models are used for comparison. The model uses now and existing damnge models fbr tension softening, tension stiffening. and compression softening dup to tensilt. cracking. Finite element analyses using the unified method are compatxd with existing rxpcrimcntal r.esults. To vei.ify the proposcd crushing and cracking plasticity models, the experiments have load capacities govc11.nc.d either by compressive crushing of'concrete or by yi~lding of' reinforcing steel.

Nonlinear Thermo-mechanical Analysis Considering Heat Flow under Fire Conditions (화재 열 유동을 고려한 구조물의 열응력해석)

  • Pak, Hongrak;Kang, Jun Won;Lee, Jinwoo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9 no.4
    • /
    • pp.369-376
    • /
    • 2016
  • In this study, a numerical analysis framework for investigating the nonlinear behavior of structures under fire conditions is presented. In particular, analysis procedure combining fire-driven flow simulation and thermo-mechanical analysis is discussed to investigate the mechanical behavior of fire-exposed representative volume structures made of steel and concrete, respectively. First of all, fire-driven flow analysis is conducted using Fire Dynamics Simulator(FDS)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domain containing the structure. The FDS simulation yields the time history of temperature on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under fire conditions. Second, mechanical responses of the fire-exposed structure with respect to prescribed uniformly distributed loads are calculated by a coupled thermo-mechanical analysis using the time-varying surface temperature as boundary conditions. Material nonlinearities of steel and concrete have been considered in the thermo-mechanical analysis. A series of numerical results are presented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the multiphysics structural fire analysis for investigating the structural behavior under fire condition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hourly SWAT-MODFLOW-PADDY Model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Submerged Paddy Fields in a Watershed (유역 내 담수 논 특성을 고려한 시단위 SWAT-MODFLOW-PADDY 모델 개발 및 평가)

  • Seoro Lee;Youn Shik Park;Jonggun Kim;Kyoung Jae L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81-281
    • /
    • 2023
  •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와 하천수 사용량의 증가로 수문학적 변동성이 증가하면서 지표수와 지하수의 통합 관리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SWAT-MODFLOW 모델은 지표수와 지하수 간의 수문학적 상호작용을 고려한 시공간적 지하수함양량의 분포와 하천과 대수층 간의 물 교환량, 장기 유출 및 수질 거동 해석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모델은 국내 농업 유역 내 담수 논에서의 영농활동을 고려한 시단위 유출 및 수질 예측과 지표수-지하수 통합 해석에 어려움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국 농지 면적 중 논이 약 50%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 담수 논 특성을 고려하여 지표수-지하수 통합 해석이 가능한 수문 모델이 개발 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시강우량에 따른 담수 논에서의 증발, 침투, 관개, 배수 등 모의가 가능한 Hourly SWAT-PADDY 모듈을 개발하고, SWAT-MODFLOW 모델의 수문 프로세스와의 연계를 통해 지표수-지하수 통합 해석이 가능한 Hourly SWAT-MODFLOW-PADDY 모델을 개발하였다. Hourly SWAT-MODFLOW-PADDY 모델은 사용자가 구축한 담수 논의 입력자료(담수, 관개, 낙수 일정 등)를 기준으로 논의 담수 및 비담수 시기에 따른 시단위 물수지 해석과 이를 고려한 유출량, 수질, 지하수함양량, 하천과 대수층 간의 물 교환량 산정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개발 된 Hourly SWAT-MODFLOW-PADDY 모델은 국내 농업 유역에서의 지표수-지하수 통합 관리 대책 수립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논의 관개 용수 공급원 연계를 통한 모델의 고도화 방안과 최적의 논 영농 데이터베이스가 마련된다면 보다 정량적인 물수지 해석 기반의 지표수-지하수 통합 모델링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PDF

Behavior Analysis of a High Rise Building Using Kinematic GPS (Kinematic GPS를 이용한 초고층건물의 거동 분석)

  • 손홍규;박효선;최종현;김중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2.04a
    • /
    • pp.85-91
    • /
    • 2002
  • 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치결정시스템인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mm 단위의 정밀도로 정적, 동적 위치관측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현재 여러 분야에서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교량, 댐 등 안전이 요구되는 사회기반 시설물의 동적 거동을 기록하고 감시하는데 있어서 GPS가 새로운 관측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를 실용화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PS를 이용하여 건물의 거동상태를 점검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초고층건물의 거동을 해석하기 위하여 건물 옥상에 GPS, 가속도계, 풍향계, 풍속계를 설치하였다. GPS와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건물의 변위 및 가속도를 5Hz로 관측하였다. GPS를 이용한 변위관측은 1시간, 1분, 1초 등의 간격으로 3차원 변위를 계산하였으며, 계산된 3차원 변위를 가속도계, 풍속계, 풍향계와 연계하여 해석하였다. 대상 건물에 대한 최대 변위를 관측한 결과 시공 단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건물의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인 건물의 고유 진동수의 경우 약 0.2Hz의 값을 얻을 수 있었다. 향후 모든 센서들을 통합하여 실시간으로 건물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할 경우 건물의 안정성 해석 및 유지보수에 본 연구가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Behavior Monitoring System of a High Rise Building Using GPS (GPS를 이용한 초고층건물의 거동 모니터링시스템)

  • Sohn, Hong-Gyoo;Park, Hyo-Sun;Kim, Won-Dae;Kim, Jung-Kyoung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17-22
    • /
    • 2002
  • 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치결정시스템인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mm 단위의 정밀도로 정적, 동적 위치관측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현재 여러 분야에서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교량, 댐 등 안전이 요구되는 사회기반 시설물의 동적 거동을 기록하고 감시하는데 있어서 GPS가 새로운 관측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를 실용화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PS를 이용하여 건물의 거동상태를 점검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계절풍에 의한 초고층건물의 거동을 해석하기 위하여 건물 옥상에 GPS, 가속도계, 풍향계, 풍속계를 설치하였다. GPS와 가속도계로를 이용하여 건물의 변위 및 가속도를 5Hz로 관측하였다. GPS를 이용한 변위관측은 1시간, 1분, 1초 등의 간격으로 3차원 변위를 계산하였으며, 계산된 3차원 변위를 가속도계, 풍속계, 풍향계와 연계하여 해석하였다. 대상 건물에 대한 최대 변위를 관측한 결과 계절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건물의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인 건물의 고유 진동수의 경우 약 0.2Hz의 값을 얻을 수 있었다. 향후 모든 센서들을 통합하여 실시간으로 건물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할 경우 건물의 안정성 해석 및 유지보수에 본 연구가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