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증 자가 조절기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6초

자궁 적출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한 통증 자가 조절기 관련 구체적 정보 제공의 효과 (Effects of Provision of Concrete Information about Patient-controlled Analgesia in Hysterectomy Patients)

  • 이보경;이영휘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04-214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vision of concrete information about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in hysterectomy patients. Methods: Study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pre- and post-test design. Sixty subjects participated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30 patients) or control group (30 patients) at one university hospital. Concrete information about PCA was composed of three sections: explanation with a leaflet, practice of using PCA, and question and answer session.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concrete information about PCA before surgery had statistically higher knowledge level about PC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pain control analgesia, a lower pain score, and a higher satisfaction level of the use of PCA post-surger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o received general information before surgery. Conclusion: Provision of concrete information about PCA w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hat reduced post-operative pain for patients and increased their satisfaction with using PCA. It is recommended that concrete information about PCA be provided by nurses to promote the use of PCA and consequently reduce patient's pain post-surgery.

내측 개방 근위 경골 절골술 후 통증 조절에서 관절 주위 다중 약물 국소 주사와 내전근관 차단술의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an Adductor Canal Block and Periarticular Multimodal Drug Local Injection on Pain after a Medial Opening High Tibial Osteotomy)

  • 김옥걸;김도훈;서승석;이인승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20-126
    • /
    • 2019
  • 목적: 내측 개방 근위 경골 절골술 후 통증 조절에서 관절 주위 다중 약물 국소 주사와 내전근관 차단술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6년 11월부터 2017년 3월까지 개방형 내측 근위 경골 절골술을 시행한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전 예에서 척추 마취를 시행하였으며, 수술 직전 선제 약물 투여 후 정맥내 자가 통증 조절 장치를 시행하였다. 30명의 환자(I군)는 관절 주위 다중 약물 국소 주사를 맞았고, 다른 30명의 환자(II군)는 내전근관 차단술을 시행 받았다. 두 그룹에 대해 수술 후 통증 수준, 추가적인 tramadol hydrochloride 주사의 빈도, 자가 통증 조절 장치 사용 총량 및 버튼을 누른 횟수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후 2주째까지 시각통증점수(visual analogue scale)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추가 tramadol hydrochloride 주사의 빈도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가 통증 조절 장치 버튼을 누르는 횟수와 평균 총 fentanyl 소비량에서도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내측 개방적 근위 경골 절골술을 시행한 환자의 급성기 통증 조절에 있어서 관절 주위 다중 약물 주입 및 내전근관 신경 차단술은 비슷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복부 수술 환자의 통증 정도 및 통증관리 만족도 영향 요인 - 통증 자가조절기 사용 환자를 중심으로 - (A Study for Assessing Pain Intensity and Investigating Factors of Satisfaction with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

  • 이종경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5-135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ain intensity according to activities over postoperative days and to identify factors of patient satisfaction with pain management after abdominal surgery. Methods: The subjects were 123 patients who were admitted at a general surgical ward and had abdominal surgery from Mar. 2005 to June 200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2.0 program. Results: The average postoperative pain scores were 6.13 at POD 1, 5.46 at POD 2, and 4.22 at POD 3. I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 total of 40% of variance in satisfaction with pain management was accounted for by pain intensity on POD 3 at rest (29.4%) and attitude toward using pain medicine (6.6%), and side effects of pain medicine (4.0%). Conclusion: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patients had inadequate pain management after abdominal surgery. Therefore, nurses need to provide educational programs focused on changing attitudes toward using pain medicine, to reduce side effects of pain medicine, an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for relieving pain.

  • PDF

Throwing injury of elbow

  • 최창혁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3년도 제14차 학술대회
    • /
    • pp.158-166
    • /
    • 2003
  • 반복적인 투구동작은 성장기의 주관절에 손상을 주기 쉬우며 투구 시 통증을 유발할 경우, 투구를 중지하고 관절의 능동적 휴식을 통해 유연성을 회복하고 점차 근력강화운동을 시행해야 한다. 유소년기 Little league elbow의 주된 병변인 상완골 내상과 골단염을 포함한 대부분의 손상은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가 가능하며, 굴곡구축 등의 운동제한을 동반한 통증이나 관절 내 유리골편 등의 감입으로 인한 증상이 있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요하며, 성인의 경우 내측 측부인대의 만성 불안정성 둥에 대해서 인대 재건술 등의 수술적 치료가 고려된다. 투구 시 주관절의 손상은 대부분의 경우 과 사용으로 인한 것이며, 특히 성장기에 손상의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부모와 코치 그리고 경기 관계자 둥이 성장기 소년의 근력과 관절의 상태가 성인과 다름을 이해하고, 운동의 강도와 횟수를 적절히 조절하며 손상시 조기치료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불안수준에 따른 부인과 수술환자의 불편감지각의 변화 - 통증 자가 조절기 사용 중인 환자를 중심으로 - (Change Patterns on Subjective Distress Level in Gynecological Postoperative Patients with Different Levels of State Anxiety)

  • 서영숙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07-315
    • /
    • 2005
  • Purpose: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nge patterns on the level of perceived distress during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with regard to state anxiety in patients using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Method: One hundred women who underwent elective hysterectomy procedures or other gynecologic surgeries completed a series of questionnaires measuring state anxiety, and subjective distress assessed by visual analog scales at 8, 24, & 48 hours postoperatively.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ANOVA, Repeated Measures ANCOVA, and Scheff'e post test utilizing SPSS WIN 11.0. Result: There was a gradual decrease in levels of total distress and pain over the three points in time after surgery regardless the levels of state anxiety. However, women with higher levels of anxiety their pain curve rose at 48 hours post-op. In addition, over the first two points in time, women in the higher anxiety group showed higher levels of distress than those in the lower anxiety group, but no such group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levels of pain, revealing higher pain levels only at 8 hours post-op in both groups. Conclusion: Irrespective of effective pain management modality, most postoperatively experienced distress in gynecological patients was derived from anxiety and pain.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pain management, especially in patients with emotionally charged surgeries like hysterectomy.

  • PDF

수술 전 자가통증조절기 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노인 척추 수술 환자의 통증 조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 Preoperative Patient-Controlled Analgesia Education Program on Postoperative Pain Control in Older Patients with Spine Surgery)

  • 박혜란;정은주;유미정;이슬기;정수연;강바다
    • 임상간호연구
    • /
    • 제30권1호
    • /
    • pp.45-53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preoperative patient-controlled analgesia(PCA) education program on older patients with spine surgery. Method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 PCA education program before surgery on postoperative pain, pain knowledge and attitudes, and frequency of additional analgesic use. The sample size for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as 55 respectively.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underwent the PCA education program, had lower postoperative pain scor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a higher level of knowledge on PCA (p<.001) an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analgesic use (p<.001).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opioid analgesics for additional pain relief between two groups (p<.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non-opioid analgesics. Conclusion: The implementation of the PCA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increase knowledge and positive attitudes on the use of PCA. Moreover, it significantly alleviated pain, particularly during physical activity, within initial 48 hours after spinal surgey in older patients.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ed that the PCA education program could be used as a preoperative intervention to alleviate postoperative pain for older patients with spinal surgery.

유방암 환자의 통증, 우울 및 불안 증상 조절에 아로마 자가 치료의 효과 (The Effects of Aroma Self Massage in Hands on Pain, Depressive Mood and Anxiety in Breast Cancer Patients)

  • 손근주;김명자;이준영;이재복;김수현;김정아;정회현;최승완;최윤선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8권1호
    • /
    • pp.18-29
    • /
    • 2005
  • 목적: 아로마테라피는 진통 효과, 항우울 및 항불안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대체 의학의 한 종류이다.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에서 아로마 오일로 손 마사지를 교육시킨 후 대조군과 비교하여 활력 징후, 통증의 강도, 우울, 그리고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아로마 자가 치료의 효능을 검증 하고자 하였다. 방법: 20세 이상 유방암 환자 3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비맹검 무작위 방법을 이용하였다. 아로마 자가-치료군(n=15)은 2주간 집에서 스스로 아로마 오일(프랑켄센스 버가못, 라벤더)을 사용하여 하루 2회 손 마사지를 시행하도록 하였고, 대조군(n=17)에게는 어떠한 중재도 하지 않았다. 두 군 모두에서 0, 1, 3 주에 3회에 걸쳐 통증 강도(Visual Analogue Scale: VAS, $0{\sim}10cm$), 불안(State-anxiety in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STAI) 및 우울(Beck Depression Inventory Scales: BDIS), 스트레스(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BEPSI수정판) 등을 조사하여 두 군 간의 자가치료 전, 후의 변화량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아로마 자가치료 후 환자의 동반 증상 변화도 설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통증 강도는 대조군과 비교시 아로마 자가 치료군에서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VAS score $0.83{\pm}1.01\;vs\;0.38{\pm}0.86$, P=0.0046). 동반 증상의 수도(P=0.044), 우울 정도(P=0.001) 그리고 불안정도도아로마 자가 치료군(P=0.008)에서 2주 후 의미 있게 감소하였으나, 대조군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그러나, 스트레스 정도는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0.05{\pm}0.85\;vs\;0.04{\pm}0.20$ P=0.1519), 우울 정도, 불안 정도, 스트레스 정도는 자가치료 순응도가 좋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아로마 자가 치료군에서 수축기 혈압은 약간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4.53{\pm}14.43mmHg\;vs\;0.0{\pm}7.22mmHg$, P=0.152). 자가 치료군에서 환자들은 두통(20%), 감각이상(6.7%), 오심(6.7%) 등의 부작용을 호소했으나, 이들 모두 일시적인 것으로 자가치료를 중단할 정도는 아니었다. 결론: 유방암 환자들에게 아로마 손 마사지 교육을 시킨 후 자기 스스로 2주간 시행한 결과, 통증강도, 우울 및 불안 정도가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 PDF

13-18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Dental Fear Survey 척도를 이용한 치과공포도 및 그 관련요인 분석 (ANALYSIS OF DENTAL FEAR AND ITS RELATED FACTORS USING DENTAL FEAR SURVEY AMONG 13 TO 18 YEAR OLDS)

  • 최준선;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8-126
    • /
    • 2008
  • 치과공포는 치과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방해요인 중 하나로, 정기구강검진이나 반드시 받아야 하는 치료를 피하게 만들어 구강건강상태를 악화시키며, 많은 치과의료인력에서 환자의 행동을 조절하는데 실패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치과공포는 구강건강증진과 진료 효율성 측면에서 중요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이에 저자는 만13세 이상 18세 이하인 청소년 총 313명을 대상으로 Dental Fear Survey 척도를 이용하여 치과공포도를 측정하였고, 치과공포와의 관련된 요인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응답자의 치과공포도는 구강건강상태가 좋은 선진국과 비교할 때 높은 수준이었다. 2. 진료동안 가장 강하게 경험한 생리적 반응은 '근육긴장'이었고, 치과공포를 유발하는 주된 자극요인은 '마취주사기'와 '치아삭제용 드릴'로 나타났다. 3. 치과공포도가 높을수록 치과의료서비스 이용 횟수가 적었고, 정기구강검진을 시행하지 않았으며, 자가 인지한 구강병 증상도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치과공포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접통증경험과 치과의사에 대한 신뢰도로 나타났다.

  • PDF

노인 전신마취 환자의 회복실 체류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Convergent factors affecting length of stay in the postanesthesia care unit among elderly from general anesthesia patients)

  • 이수진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21-32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 전신마취 환자의 회복실 체류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경기도 소재 C대학병원에서 2014년 1월 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 전신마취하에 수술을 받고 회복실에 입실하였던 환자 중 65세 이상인 환자 30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다. 회복실 체류시간은 평균 48.4분으로 나타났으며, 회복실 체류시간 30-59분이 58.0%로 가장 많았다. 수술중 요인에 따른 회복실 체류시간 정도는 근이완제, 수혈, 동맥혈가스 검사, 체온 그리고 총 마취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후 요인에 따른 회복실 체류시간 정도는 합병증, 자가 통증 조절기, 순환기계 약물사용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실 체류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술 후 '순환기계 약물사용', '수술 중 저체온'이 회복실 체류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13%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회복실 체류시간 관련요인들을 모니터링하고 신속하게 처치하여 교정하는 것이 노인 전신마취 환자의 회복실 체류시간의 단축에 기여할 것으로 사려된다.

구강건조증에 대한 필로카핀 구강양치액의 효과 (Effect of Pilocarpine Mouthwash on Xerostomia)

  • 김지현;박주현;권정승;안형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1호
    • /
    • pp.21-24
    • /
    • 2011
  • 구강건조증이란 주관적인 구강 내 건조감으로 정의되며, 이는 약물, 타액선 질환, 방사선 치료, 쉐그렌 증후군, 심리적 요인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에서 비롯된다. 구강 건조증 환자 중 현저한 타액선 기능 감소가 존재하는 경우 구강캔디다증,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미각변화, 구취 등의 병발증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구강건조증의 치료로는 우선적으로 구강건조를 유발하는 원인요소를 제거하거나, 환자의 불편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증요법이 주가 되며 실제로 타액 분비 기능이 감소된 경우 이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치료와 타액분비를 자극할 수 있는 약물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이 중 타액분비를 촉진시키는 약물인 필로카핀은 구강건조증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발한작용, 비뇨기 및 위장관계의 비정상적인 기능유도, 심혈관계 및 호흡기계에 대한 위험 등의 부작용이 있어 천식, 만성폐질환, 심혈관계 질환자에게는 주의 깊은 사용이 요구되며, 특히 조절되지 않는 천식환자의 경우 필로카핀의 절대적 금기증으로 사용이 금지된다. 이처럼 구강건조증 치료에 있어 필로카핀은 부작용으로 인해 전신적인 투여에 많은 제한이 있다. 따라서, 필로카핀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소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의 하나인 필로카핀 양치액을 이용하여 치료한 증례를 통해 그 효과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