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신 보안

Search Result 4,82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자율운항선박 통신기술 및 사이버보안 기술에 관한 연구

  • 박개명;안종우;유진호;손금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271-273
    • /
    • 2022
  • 자율운항선박의 안전한 운항을 위해서는 선박과 선박, 육상과 선박 간의 통신이 무척 중요하다. 또한 자율운항을 위하여 육상과 선박 간, 선박 내 시스템 간의 빈번한 통신 및 데이터 교환으로 인하여 사이버 공격에 취약해지기 때문에 이를 방어하기 위한 사이버보안 기술의 개발 역시 필요하였다. 이에 자율운항선박 기술 개발 사업 중 통신 기술 및 사이버보안 기술 개발 현황에 소개하고자 한다.

  • PD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Power Control Technique for Ensuring Communication Security of Cellular System (셀룰러 망 통신보안을 위한 D2D 통신 송신전력 제어 기법)

  • Lee, Kisong;Hong, Jun-Py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6
    • /
    • pp.1100-1105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power control technique for D2D communication in the heterogenous network consisting of cellular and D2D communication systems. Although the transmit signal of D2D communication degrades the performance of cellular system by interfering the signal reception at CU in the conventional heterogenous networks without eavesdroppers, it can be utilized as jamming signal for preventing other devices from recovering the transmitted information if there are eavesdroppers in the network. The proposed power control technique maximizes the achievable rate of D2D communication while ensuring the target security performance of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simulation results, we validate the analysis results and compare the performance with the conventional D2D communication scheme that utilizes its full transmit power for maximizing the achievable rate regardless of the performance of cellular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ecure Communication API Using OpenSSL (OpenSSL을 이용한 보안 통신 API의 설계 및 구현)

  • Jung In-sung;Shin Yong-tae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4 no.5
    • /
    • pp.87-96
    • /
    • 2003
  • The additional mechanism is required to set up a secure connection among the communication subjects in the internet environment. Each entity should transfer and receive the encrypted and hashed data to guarantee the data integrity. Also, the mutual authentication procedure should be processed using a secure communication protocol. Although the OpenSSL which implements the TLS is using by many developers and its stability and performance are proved, it has a difficulty in using because of its large size. So, this paper designs and implements the secure communication which the users can use easily by modification works of OpenSSL library API. We proved the real application results using the client/server case which supports a secure communication using the implemented API.

  • PDF

Mobile WiMAX 보안 이슈와 해결 방안

  • Son, Tae-Sik;Choe, Uk;Choe, Hyo-Hye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4 no.11
    • /
    • pp.5-13
    • /
    • 2007
  • 광대역 무선 접속 표준을 관장하는 IEEE 802.16 워킹 그룹은 IEEE 802.16 표준을 2004년에 발표하였으며 이 IEEE 802.16 표준안에는 현재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라 불리는 고정 및 저속 이동 접속에 대한 광대역 무선 통신 지원 기술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여러 기술 중 보안 관점에서 IEEE 802.16 표준은 MAC 계층 안에 PKM(Privacy Key Management)라고 불리는 Security Sub-layer를 가지고 있다. PKM은 PKMv1과 PKMv2로 구분되며, 먼저 PKMv1은 기본적인 인증 및 기밀성 기능을 제공하고 IEEE 802.16 표준에 기본적으로 적용되어있다. 하지만, IEEE 802.16 표준 이후 많은 연구들이 PKMv1의 보안성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였고 이에 따라 IEEE 802.16 표준안의 확장 개선안으로서 완전한 이동성을 바탕으로 하는 2005년 발표된 IEEE 802.16e 표준안에서는 향상된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PKMv2를 제공하며 기존 표준안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이러한 PKMv2는 EAP(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인증,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기반 기밀성 제공 알고리즘, CMAC/HMAC(Cipher/Hashed Message Authentication Code)을 사용한 메시지 인증 기능 제공 등 보다 다양한 보안 기능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IEEE 802.16e 표준안의 보안 기능은 SS(Subscriber Station)과 BS(Base Station)간의 통신구간 보안에 초점을 맞추어서 네트워크 도메인간의 보안 문제나 핸드오버시 보안과 같은 네트워크 구조적 보안 취약성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하지만 표준안에서 정의하고 있는 SS와 BS 구간 보안 역시 완전한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취약성을 고찰하고 그에 따른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From Security Requirements to a Security Risk Analysis Method (보안 요구사항 기반의 보안 위험도 분석 기법)

  • Dong-hyun Lee;Myoung-rak Lee;Hoh 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574-577
    • /
    • 2008
  • 실제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지속적으로 보안관련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개발 주기의 초기 단계인 요구사항 분석단계에서 보안 요구사항을 추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 대한 투자가 소프트웨어 개발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보안 요구사항을 추출하는 기법에 대해서는 여러 방면으로 연구가 시작되었으나, 보안 요구사항을 토대로 향후 소프트웨어 개발과정에서의 보안관련 위험도를 산정하여 보안 투자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기법은 아직 연구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추출된 보안 요구사항을 가지고 소프트웨어 보안에 대한 위험도를 산정하여 투자 비용의 우선순위를 산정하는 절차에 대해 제안한다.

NGN 보안

  • 장청룡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9 no.6
    • /
    • pp.66-77
    • /
    • 2002
  • 기존의 전화망을 중심으로 하는 통신 산업은 최근의 폭발적인 유·무선 데이터 서비스 증가로 원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설계된 것에 다양한 데이터 응용 서비스의 하나로 전화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통신 인프라를 구축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것은 통합적으로 차세대 통신망(NGN, Next Generation Network)의 개념에서 출발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NGN으로의 진화에 따른 고려 사항 중 보안에 대한 것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고자 한다. 그리고, 논의의 편의상 NGN 보안을 유선계와 무선계로 나누어 소개한다.

컴퓨터 보안모델의 분석 및 비교에 관한 연구

  • Hong, Gi-Yung;Lee, Chul-Won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5 no.3
    • /
    • pp.71-89
    • /
    • 1990
  • Secure/Trusted 컴퓨터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하기 위하여 필요한 보안정책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보안모델을 분석하였다. 보안정책으로는 TCSEC을 근간으로 하여 전통적인 MAC정책과 DAC 정책을 상호 비교분석하였으며, 보안 모델로는 미국방성 산하의 NCSC의 Multilevel Security를 만족하는 BLP 모델을 비롯하여 Biba모델, HRU모델, SRI모델, Lattice모델들의 비교분석을 제시하였다.

5G 네트워크 기술 진화에 따른 새로운 5G 보안 도전과제와 해외 보안 아키텍처 연구 동향

  • Kim, Hwan Kuk;Choi, Bomin;Ko, Eunhye;Park, Seongmin
    • Review of KIISC
    • /
    • v.29 no.5
    • /
    • pp.7-20
    • /
    • 2019
  • 2019년 4월, 4세대 이동통신보다 최대 20배 빠른 속도, 10배 많은 IoT 기기의 연결, 10배 짧은 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5세대 이동통신이 세계최초로 상용화되었다. 5G 이동통신기술은 고속 대용량의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지연 속도와 신뢰성에 민감한 IoT 기기를 수용하기 위해 다양한 최신 기술을 적용하는 기술적 진보가 있었다. 그러나 5G 네트워크 및 서비스가 개방성, 확장성,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분산 코어 네트워크 구조와 소프트웨어기반 아키텍처(SDN NFV, MEC, 클라우드 컴퓨팅 등)로의 기술적 변화는 새로운 공격 접근 경로와 네트워크 슬라이싱과 같은 논리적인 계층의 복잡한 보안 가시성 이슈 등 사이버보안관점에서 새로운 도전(Challenges)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5G 모바일 네트워크의 기술적 변화에 따른 보안도전과제와 해외 5G 보안 아키텍처 연구들을 분석하여 5G 보안 설계 및 운영 고려사항을 고찰하고자 한다.

Requirements on Security Platform fer NII Services (초고속 정보통신서비스용 보안 플랫폼의 요구분석)

  • 최락만;송영기;김경범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1996.11a
    • /
    • pp.305-314
    • /
    • 1996
  • 본 고는 초고속정보통신서비스의 안전성을 제공하기 위해 공통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보안 플랫폼의 요구분석에 관한 내용으로, 먼저 초고속정보통신서비스의 환경에 존재하는 보안 위협과 대응 방안을 알아보고, 서비스 유형별로 유구되는 보안 특성을 살펴본 후, 보안 플랫폼의 요구사항을 일반적인 요구, 구조적인 요구, 기능적인 요구로 분류하여 제시한다.

  • PDF

A Derivation of Evaluation Item about 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 (통합보안관리시스템에 대한 평가항목 도출)

  • Kim, Seon Joo;Lee, Kong Seon;Shin, Seok Ky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409-412
    • /
    • 2009
  • 통합보안관리시스템(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은 기업의 보안 정책을 기반으로 다수의 보안시스템을 중앙에서 통합관제, 운영, 관리를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국내의 경우 정보보호시스템에 대한 보안성 평가는 국제공통평가기준을 근거로 평가 및 인증이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SW 품질관점에서의 ESM에 대한 평가 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SW 품질관점에서 ESM에 대한 평가항목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