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신케이블

Search Result 512,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Analysis on Regulation Approach of Open Access in US (미국의 케이블망개방(open access) 관련 규제변화 동향)

  • Lee, J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v.9 no.2
    • /
    • pp.736-739
    • /
    • 2005
  • 케이블망개방(Open Access)은 케이블망사업자가 자사의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뿐만 아니라 경쟁 IS도 케이블 모뎀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미국의 케이블사업자들은 주된 사업영역인 케이블방송 서비스 이외에 케이블 모뎀망을 이용한 브로드밴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케이블모뎀서비스는 비규제 대상인 주간정보서비스(interstate information service)로 규정되어 케이블망개방 의무가 부과되지 않는다. 최근 FCC(Federal Communication Commission)는 통신사업자의 DSL(Digital Subscriber Line) 방식에 기초한 브로드밴드 접속서비스를 기능적으로 전기통신 요소와 결합된 정보서비스(Information Service)로 정의하고 통신사업자에게 부과된 DSL 망의 개방의무도 철회하였다. 이러한 미국의 케이블모뎀 망과 DSL 망에 대한 비규제 접근은 시장의 수요와 기술변화를 고려한 것으로, 케이블망사업자 및 통신사업자 모두에게 설비투자 유인을 제공하여 브로드밴드의 보급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 PDF

On the sage maintainance of subsea transcommunication cables (해저 통신케이블의 안전성 유지 방안)

  • 박한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 no.S1
    • /
    • pp.39-50
    • /
    • 1996
  • 국제간 정보통신전달 수단으로 인공위성과 해저케이블이 상호보안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특히 최근에 와서는 해저 광케이블의 등장으로 국가간 정보통신전달 수단으로 케이블의 역할이 급격히 증대되고 있다. 해저케이블은 열악한 해양환경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건설시나 운용중에 손상 받을 가능성이 아주 크며 그로 인한 파급효과가 엄청나다. 또한 해저케이블 사고시 복구에 많은 시간과 어려움이 뒤따르며 비용도 막대하다. 따라서 해저케이블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에 대한 보호대책이 절실하다. 본 논문에서는 해저케이블의 건설 및 운용상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불안전 요인들을 찾아 그에 대한 대책방안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 PDF

광통신 케이블 설계에 관한 연구

  • 송관호;마영찬;이원승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1982.10a
    • /
    • pp.29-32
    • /
    • 1982
  • 본 논문은 광섬유 케이블의 설계에 있어, 케이블 공정에 따른 광손실의 증가를 최소로하는 케이블의 구조 및 광케이블의 포설에 따른 잔류 응력의 억제 등, 장기간 동안 케이블의 전송특성을 유지하며, 광섬유의 파단 방지를 목표로 고려해야할 사항을 논하였다. 광섬유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광섬유 제조시 사용되는 재질 및 적정 Dimension 설정이 필요하며 광섬유 파단 방지를 위해 CABLE내에 TENSION MEMBER를 수용하는 구조를 검토, 광섬유 CABLE 포설시 광섬유의 파단 확률을 감소시키며, 광섬유의 잔류응력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케이블 구조를 설계하였다.

  • PDF

PLC Channel Characteristics of High Voltag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고압 배전 지중선의 PLC 채널 특성)

  • Choi, In-Ji;Choi, Moon-Suk;Park, Byung-Seok;Hyun, Duck-Hwa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d
    • /
    • pp.2043-2044
    • /
    • 2006
  • 배전 계통을 대상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에 전력통신(PLC : Power Line Communication)기술을 적용하고자 할 때, 고압 배전선의 통신 채널로서의 특성 분석이 근간이 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지하 공동구의 배전 지중 케이블에는 케이블-케이블 간의 전기적, 물리적 접촉점인 접속 개소가 일정한 간격으로 존재하게 된다. 그러므로 통신 신호의 매개체가 되는 전력 케이블의 채널 특성 분석에는 케이블 접속 개소의 영향도 고려 대상이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 광진구 일부의 부하를 담당하고 있는 22.9 kV 고압 배전 지중 선로를 시험 선로로 비접촉식 커플러를 통해 통신 신호를 전송하여 삽입 손실 측정 결과를 보았고 케이블 접속 개소의 영향을 주파수 영역에서 채널 특성을 통해 분석 하였다. 시험 결과 케이블 접속 개소를 통과할 때 채널 특성은 십여 dB의 신호 감쇄를 보였다.

  • PDF

Next- Generation Cable Broadcasting Technology and Standardization (차세대 케이블방송 기술개발 및 표준화 동향)

  • Jung, J.Y.;Kim, T.K.;Bae, J.H.;Lee, J.H.;Cho, Y.S.;La, S.J.;Choi, D.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0 no.3
    • /
    • pp.9-20
    • /
    • 2015
  • 케이블방송망은 광대역을 가진 유선망이라는 매체 특성으로 동일한 망을 이용하여 방송뿐만 아니라 통신까지 제공할 수 있는 양방향 방송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방송통신 융합을 위한 최적의 망으로 거론되고 있다. 서비스 관점에서 케이블방송망은 도입초기 단순히 지상파 방송의 난시청 해소를 위한 수단이었으나 프로그램 공급업자와 종합 유선 방송국의 등장으로 독립적인 방송 매체로 발전하였으며, 북미 주도하에 1990년대 중반 통신법이 개정된 이후 양방향 고속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케이블 모뎀(CM: Cable Modem)을 개발하여 방송과 통신을 동시에 수용하는 통합망으로 발전시켜왔다. 최근 케이블방송은 전송 효율 고도화, 망 구조적 진화 및 대용량 콘텐츠 전송으로 크게 3개의 방향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각 발전 방향에서 제시하는 차세대 케이블방송의 기술개발 및 표준화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Open Access Policy of Cable Network in UK and US (영국과 미국의 케이블망 개방 규제접근 분석)

  • Lee, J.Y.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1 no.2 s.98
    • /
    • pp.120-130
    • /
    • 2006
  • 케이블망 개방(open access)은 케이블망사업자가 자사의 ISP 뿐만 아니라 경쟁 ISP도케이블모뎀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 케이블망과 DSL 망모두에 대해 망개방 의무가 부과되지 않고 있다. 영국의 경우 케이블망 개방에 대해서는 규제를 하고 있지 않으나, BT와 Kingston의 DSL 망에 대해서는 개방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케이블망 개방에 대한 비규제 접근 배경측면에서 미국은 광대역서비스 시장의 설비기반정책에 중점을 두고 케이블사업자의 망투자 유인제고에 목적을 두고 있으나, 영국은 초고속인터넷서비스 시장에서 케이블사업자들의 시장지배력이 없다는 점에서 규제개입보다는 ISP와 케이블망 사업자간 접속이 시장기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점에 기인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미국의 규제완화 접근이 경쟁사업자에게 망 접속 제공을 요구하고 있는 영국에 비해 기술방식간의 설비기반 경쟁정책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향후 어떤 정책이 광대역서비스의 보급을 더욱촉진할 것인가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케이블망 개방 관련기술방식과 케이블망 개방 관련 논쟁에 대해 살펴보고, 영국과 미국의 케이블망 개방에 대한 규제접근을 검토하였다.

Measurement of Transfer Impedance on Shielded Multiconductor Telecommunication Cables using IEC 96-1 Line Injection Method (IEC 96-1 Line Injection Method를 이용한 다 도체 통신케이블 차폐층의 전달임피던스 측정)

  • 이현영;오호석;박동철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4 no.4
    • /
    • pp.377-383
    • /
    • 2003
  • As the high-speed data communications such as xDSL using the existing copper cable come into wide use, the electromagnetic coupling characteristics of telecommunication cables become more significant. In order to describe the screening performance of telecommunication cable, the transfer impedance of cable shield is required. This paper describes the transfer impedance for two types of telecommunication cables using the line injection method of IEC 96-1. Results are analyzed to show how the materials of cable shields, the positioning of the injection line and of the inner conductor of the CUT(Cable Under Test) affect the value of transfer impedance. We then propose the transfer impedance model of telecommunication cable based on the measurement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elding System based on the Digital Technology (디지털 용접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Yu, Sang-Hun;Kim, Jong-Cheol;Kim, Jae-Gwon;Ji, Yeong-Eun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9-9
    • /
    • 2009
  • 기존 아날로그 SCR 타입의 용접시스템은 케이블 길이가 변화함으로써 신호 왜곡에 따른 와이어 송급이 일정하지 못하였다. 또한 신호선의 과다로 케이블의 무게와 보수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런 단점을 디지털 통신을 이용하여 모터제어의 신뢰성을 확보하여 정밀제어가 가능한 와이어 피더 및 통신선을 이용한 싱글케이블 단순화을 이루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케이블 길이에 따른 와이어 송급제어(송급모터 속도 제어)의 왜곡을 최소할 수 있는 디지털 통신기반의 용접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디지털 모터제어 및 용접기와의 통신장치를 개발하여 용접성능 테스트를 수행하면서 기능 보완 작업을 수행하였다. 성능테스트에는 송급모터 제어기능, 용접기와 통신 신뢰성, 용접 시��스 제어, 제어기의 신뢰성 및 용접 테스트가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디지털 기반의 송급시스템을 당사 $CO_2$ 용접시스템에 적용하여 용접품질 향상, 케이블 경량화 및 신뢰성을 확보하여 타 용접 시스템에 확대 적용하고자 한다.

  • PDF

건축물에서의 SPD와 최신 기술

  • 김언석;이기홍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8 no.4
    • /
    • pp.8-23
    • /
    • 2004
  • 정보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빌딩은 전자화 가전기기나 전기설비들이 많이 설치되고 있다. 통신 시스템의 발달 및 보안, 방재 시스템의 발달로 빌딩들은 통신이나 신호 케이블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건축물과 외부의 통신회사들과도 동축케이블 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낙뢰나 과도서지가 전원 및 통신케이블을 타고 빌딩 내부로 유입되어 전자기기나 통신기기들을 파괴시키거나 오동작하는 사례가 많다. 독일의 경우 도심 빌딩에 낙뢰가 떨어진 경우 반경 3〔km〕 떨어진 건물에서 피해가 발생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중략)

  • PDF

Assessment of material analysis for Non-flammable of cable (케이블 연소방지제의 재료에 대한 성능평가 기술)

  • Soh, Jin-Joong;Shim, Dae-Sub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c
    • /
    • pp.1472-1474
    • /
    • 2003
  • 연소방지재(난연테이프, 난연도료, 난연seal, 난연레진, 난연보드 등)란 지중 배전케이블, 접속재 및 통신케이블 등의 외피에 화재확산 방지를 위해 도포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화재 시 발포하거나 단열의 효과가 있어 케이블, 전선 등이 연소하는 것을 지연시킨다. 따라서 본 평가 기술에서는 수직불꽃시험, 산소지수, 저 염소시험, 발연농도, 케이블 허용전류저감률 등 주 재료시험에 대한 시험방법을 검토하고 시험에 적용하여 시험 시 문제점을 도출하여 시험방법을 정립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