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계 기반 철자오류 교정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daptive English Context-Sensitive Spelling Error Correction Techniques for Language Environments (언어 사용환경에 적응적인 영어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 기법)

  • Kim, Minho;Jin, Jingzhi;Kwon, Hyuk-Chu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133-136
    • /
    • 2015
  • 문서 교정기에서 문맥의존 철자오류를 교정하는 방법은 크게 규칙을 이용한 방법과 통계 정보를 이용한 방법으로 나뉜다. 한국어와 달리 영어는 오래전부터 통계 모형에 기반을 둔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그러나 대부분 연구가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 문제를 특정 어휘 쌍을 이용한 분류 문제로 간주하기 때문에 실제 응용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대규모 말뭉치에서 추출한 통계 정보를 이용하지만, 통계 정보 자체에 오류가 있을 경우를 고려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에 포함된 모든 단어에 대하여 문맥의존 철자오류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단어가 오류일 경우 대치어를 제시하는 영어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통계 정보의 오류가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에 미치는 영향과 오류 발생률의 변화가 철자오류 검색과 교정의 정확도와 재현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구글 웹데이터에서 추출한 통계 정보를 바탕으로 통계 모형을 구성하고 평가를 위해 브라운 말뭉치에서 무작위로 2,000문장을 추출하여 무작위로 문맥의존 철자오류를 생성하였다. 실험결과, 문맥의존 철자오류 검색의 정확도와 재현율은 각각 98.72%, 95.79%였으며,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의 정확도와 재현률은 각각 71.94%, 69.81%였다.

  • PDF

Improving Recall for Context-Sensitive Spelling Correction Rules by Combining Rule-Generalization and Statistical Method (규칙의 일반화와 통계 방식을 결합한 한국어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규칙의 재현율 향상)

  • Choi, Hyun-Soo;Kwon, Hyuk-Chul;Yoon, Ae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4.10a
    • /
    • pp.18-23
    • /
    • 2014
  • 한국어 맞춤법 검사기는 전자화된 한국어 텍스트에 나타난 오류어를 검색하여 이를 교정할 대치어를 제시하는 시스템이다. 이때 오류어의 유형은 크게 단순 철자오류와 문맥의존 철자오류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문맥의존 철자오류는 어절(word)단위로 봤을 때는 정확하지만, 문맥을 고려하였을 때 오류가 되는 유형으로 교정 난도가 매우 높다. 문맥의존 철자오류의 교정 방법은 크게 규칙을 이용한 방법과 통계 정보에 기반을 둔 방법으로 나뉜다. 이때 규칙을 이용한 방법은 그 특성상 정확도가 매우 높지만, 반대로 재현율이 매우 낮다. 본 논문에서는 본 연구진이 기존에 연구하였던 규칙을 일반화하는 방식에 추가로 조건부 확률을 이용한 통계 방식을 결합하여 정확도를 유지하면서 재현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tatistical Context-Sensitive Spelling Error Correction Techniques Using Default Operation Algorithm (Default 연산 알고리즘을 적용한 통계적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 기법의 성능 향상)

  • Lee, Jung-Hun;Kim, Minho;Kwon, Hyuk-Chul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165-170
    • /
    • 2016
  •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은 통계 정보를 이용한 방법으로 통계적 언어처리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샤논(Shannon)이 발표한 노이지 채널 모형(noisy channel model)을 기반으로 한다. 선행연구에서 부족하였던 부분의 성능 향상을 위해 교정대상단어의 오류생성 및 통계 데이터의 저장 방식을 개선하여 Default 연산을 적용한 모델을 제안한다. 선행 연구의 모델은 교정대상단어의 오류생성 시 편집거리의 제약을 1로 하여 교정 실험을 하지만 제안한 모델은 같은 환경에서 더욱 높은 검출과 정확도를 보였으며, 오류단어의 편집거리(edit distance) 제약을 넓게 적용하더라도 신뢰도가 있는 검출과 교정을 보였다.

  • PD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tatistical Context-Sensitive Spelling Error Correction Techniques Using Default Operation Algorithm (Default 연산 알고리즘을 적용한 통계적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 기법의 성능 향상)

  • Lee, Jung-Hun;Kim, Minho;Kwon, Hyuk-Chu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6.10a
    • /
    • pp.165-170
    • /
    • 2016
  •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은 통계 정보를 이용한 방법으로 통계적 언어처리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샤논(Shannon)이 발표한 노이지 채널 모형(noisy channel model)을 기반으로 한다. 선행연구에서 부족하였던 부분의 성능 향상을 위해 교정대상단어의 오류생성 및 통계 데이터의 저장 방식을 개선하여 Default 연산을 적용한 모델을 제안한다. 선행 연구의 모델은 교정대상단어의 오류생성 시 편집거리의 제약을 1로 하여 교정 실험을 하지만 제안한 모델은 같은 환경에서 더욱 높은 검출과 정확도를 보였으며, 오류단어의 편집거리(edit distance) 제약을 넓게 적용하더라도 신뢰도가 있는 검출과 교정을 보였다.

  • PDF

Context-sensitive Spelling Error Correction using Eojeol N-gram (어절 N-gram을 이용한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

  • Kim, Minho;Kwon, Hyuk-Chul;Choi, Sungki
    • Journal of KIISE
    • /
    • v.41 no.12
    • /
    • pp.1081-1089
    • /
    • 2014
  • Context-sensitive spelling-error correction method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rule-based methods and statistical data-based methods, the latter of which is often preferred in research. Statistical error correction methods consider context-sensitive spelling error problems as word-sense disambiguation problems. The method divides a vocabulary pair, for correction, which consists of a correction target vocabulary and a replacement candidate vocabulary, according to the context. The present paper proposes a method that integrates a word-phrase n-gram model into a conventional model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robability model by using a correction vocabulary pair, which was a result of a previous study performed by this research team. The integrated model suggested in this paper includes a method used to interpolate the probability of a sentence calculated through each model and a method used to apply the models, when both methods are sequentially applied. Both aforementioned types of integrated models exhibit relatively high accuracy and reproducibility when compared to conventional models or to a model that uses only an n-gram.

Improving Recall for Context-Sensitive Spelling Correction Rules using Conditional Probability Model with Dynamic Window Sizes (동적 윈도우를 갖는 조건부확률 모델을 이용한 한국어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 규칙의 재현율 향상)

  • Choi, Hyunsoo;Kwon, Hyukchul;Yoon, Aesun
    • Journal of KIISE
    • /
    • v.42 no.5
    • /
    • pp.629-636
    • /
    • 2015
  • The types of errors corrected by a Korean spelling and grammar checker can be classified into isolated-term spelling errors and context-sensitive spelling errors (CSSE). CSSEs are difficult to detect and to correct, since they are correct words when examined alone. Thus, they can be corrected only by considering the semantic and syntactic relations to their context. CSSEs, which are frequently made even by expert wiriters, significantly affect the reliability of spelling and grammar checkers. An existing Korean spelling and grammar checker developed by P University (KSGC 4.5) adopts hand-made correction rules for correcting CSSEs. The KSGC 4.5 is designed to obtain very high precision, which results in an extremely low recall. Our overall goal of previous works was to improve the recall without considerably lowering the precision, by generalizing CSSE correction rules that mainly depend on linguistic knowledge. A variety of rule-based methods has been proposed in previous works, and the best performance showed 95.19% of average precision and 37.56% of recall. This study thus proposes a statistics based method using a conditional probability model with dynamic window sizes.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recall. The proposed method obtained 97.23% of average precision and 50.50% of recall.

The Utilization of Local Document Information to Improve Statistical Context-Sensitive Spelling Error Correction (통계적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 기법의 향상을 위한 지역적 문서 정보의 활용)

  • Lee, Jung-Hun;Kim, Minho;Kwon, Hyuk-Chul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v.23 no.7
    • /
    • pp.446-451
    • /
    • 2017
  • The statistical context-sensitive spelling correction technique in this thesis is based upon Shannon's noisy channel model. The interpolation method is us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rrection method proposed in the paper, and the general interpolation method is to fill the middle value of the probability by (N-1)-gram and (N-2)-gram. This method is based upon the same statistical corpus. In the proposed method, interpolation is performed using the frequency information between the statistical corpus and the correction document. The advantages of using frequency of correction documents are twofold. First, the probability of the coined word existing only in the correction document can be obtained. Second, even if there are two correction candidates with ambiguous probability values, the ambiguity is solved by correcting them by referring to the correction document. The method proposed in this thesis showed better precision and recall than the existing correction model.

Alleviation of Overcorrection Problem in Neural Korean Spelling Correction (뉴럴 한국어 맞춤법 교정기에서 과교정(Overcorrection) 문제 완화)

  • Park, Chanjun;Lee, Yeonsu;Yang, Kisu;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582-587
    • /
    • 2020
  • 현재까지 한국어 맞춤법 교정 Task는 대부분 규칙기반 및 통계기반 방식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최근 딥러닝 기반의 한국어 맞춤법 교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맞춤법 교정에서 문법적 또는 철자적으로 틀린 부분을 교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올바른 문장이 입력으로 들어왔을 때 교정을 진행하지 않고 올바른 문장을 출력으로 내보내는 것 또한 중요하다. 규칙기반 맞춤법 교정기 같은 경우 문장의 구조를 흐트러트리지 않고 규칙에 부합하는 오류 부분만 고쳐낸다는 장점이 있으나 신경망 기반의 한국어 맞춤법 교정 같은 경우 Neural Machine Translation(NMT)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반복 번역, 생략, UNK(Unknown) 때문에 문장의 구조를 흐트러트리거나 overcorrection(과교정) 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Correct to Correct Mechanism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올바른 문장이 입력으로 들어왔을 시 올바른 문장을 출력하는 성능을 높인다.

  • PDF

An Implementation of a Lightweight Spacing-Error Correction System for Korean (한국어 경량형 띄어쓰기 교정 시스템의 구현)

  • Song, Yeong-Kil;Kim, Hark-Soo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2 no.2
    • /
    • pp.87-96
    • /
    • 2009
  • We propose a Korean spacing-error correction system that requires small memory usage although the proposed method is a mixture of rule-based and statistical methods. In addition, to train the proposed model to be robust in mobile colloquial sentences in which spelling errors and omissions of functional words are frequently occurred, we propose a method to automatically transform typical colloquial corpus to mobile colloquial corpus. The proposed system uses statistical information of syllable uni-grams in order to increase coverages on new syllable patterns. Then, the proposed system uses error correction rules of two or more grams of syllables in order to increase accuracies. In the experiments on fake mobile colloquial sentences, the proposed system showed relatively high accuracy of 92.10% (93.80% in typical colloquial corpus, 94.07% in typical balanced corpus) spite of small memory usage of about 1MB.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