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계적 요인분석

검색결과 791건 처리시간 0.033초

누가 행복한 직장인인가?: 인구통계적·심리분석적 요인과 행복수준 간의 관계 (Who is Happy at Work?: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Psychographic Factors and Happiness Level)

  • 이종만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59-166
    • /
    • 2013
  •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누가 행복한 직장인인지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성별, 연령대, 결혼여부, 자녀수, 종교, 학력, 직급, 직업, 소득 등과 같은 인구통계적 요인, 외향성, 신경증적 예민함, 긍정신념과 같은 심리분석적 요인 그리고 행복 수준으로 구성된 이론모형을 제안하였고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첫째, 인구통계적 요인과 심리분석적 요인 모두 직장인의 행복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자녀수, 신경증적 예민함, 긍정신념은 직장인의 행복을 예측하는 주요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직장인의 행복 수준을 증진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실증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소비자 가치와 스포츠웨어 추구혜택 및 속성평가에 관한 연구

  • 이현경;이명희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7-68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 가치와 스포츠웨어 추구혜택 및 속성평가의 관계를 조사하고, 스포츠웨어의 국내 및 외국상표 선택과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추구혜택 및 속성평가의 차이를 밝히며, 소비자 가치와 인구통계적 변인이 스포츠웨어 추구혜택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질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은 서울과 서울근교에 거주하는 10∼30대 남녀 468명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t 검증, 일원변량분석, Duncan의 다중범위검증, χ²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다변인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중략)

  • PDF

한국조리학회지에 게재된 학술적 연구의 통계적 기법 분석 (Analysis of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in Scientific Research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 나영아;나태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9-6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외식관련 학술적 연구들에 적용된 통계적 기법의 사용 현황 및 일부 통계적 기법의 잘못된 사용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3년도까지 총 4년간 한국조리학회지에 게재된 총 415편 중 자연과학적 연구, 질적 연구, 영문으로 작성된 연구 등을 제외한 총 251편의 학술적 연구를 대상으로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학 연구방법을 사용한 279편의 학술적 연구 중 269편이 양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10편의 학술적 연구만이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전체 251편의 학술적 연구 중 20편(8.0%)의 연구는 통계방법 또는 통계 프로그램의 이름 등이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석 기간 내에 한국조리학회지에 게재된 학술적 연구의 자료 분석에 가장 많이 사용된 통계 패키지는 SPSS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90.8%). 넷째, 분석대상 전체 251 편의 학술적 연구에 사용된 통계적 기법의 사용빈도를 살펴보면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구조방정식모형, 확인적 요인분석, T-test, 분산분석, 교차분석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각각의 통계적 기법에서 찾아볼 수 있는 통계적 오류에 대한 검증과 이를 통해 통계적 오류를 최소화시킬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지역주민의 특성에 따른 관광영향지각 차이분석 (Residents' Perception Differences on Tourism Impacts)

  • 조배행;최영희;김동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26-439
    • /
    • 2005
  • 이 연구는 안면도 지역의 관광 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영향지각을 측정하여 이러한 관광영향요인에 대한 지역주민의 세분화된 특성에 따른 차이를 각각 분석하고 그 유용성을 다시 종합적으로 확인함으로써 효율적인 안면도 관광지의 관리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안면도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영향 지각은 요인분석 결과 지역환경훼손, 지역문화발전, 지역경제발전, 지역문화훼손의 네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이 네 가지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각각 인구통계적 특성, 거주 특성, 관광인식 특성별로 세분화하여 분석해 본 결과 거주 특성과 관광인식 특성이 인구통계적 특성에 비해 지역주민의 관장영향에 대한 집단간 지각의 차이분석에 상대적으로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견과는 향후 지역주민의 관광영향 지각 연구에서 인구통계적 특성뿐만 아니라 거주 특성이나 관광인식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종합적으로 검토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지역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호응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인구통계적 특성뿐만 아니라 지리적, 관광인식 특성별로 세분된 집단에 대해서 각각 별도의 정책대안이 필요할 것이다.

  • PDF

가중치 산출방법에 따른 고객만족도지수의 비교 (Comparison of Customer Satisfaction Indices Using Different Methods of Weight Calculation)

  • 이상준;김용태;김성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201-211
    • /
    • 2013
  • 본 연구는 다양한 가중치 산출방법을 적용하여 각 차원별 가중치 및 고객만족도지수를 비교하고 시사점을 밝혀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중치 산출방법을 주관적 방법과 통계적 방법으로 구분하고, 다시 주관적 방법은 고정총합법, 그리고 통계적 방법은 상관분석, 회귀분석, 주성분분석, 요인분석, 구조방정식으로 세분화하였다. 연구결과 주관적 방법과 통계적 방법에 의한 가중치는 서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분석방법에 따른 가중치의 순위는 유사한 패턴으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가중치 산출방법에 따른 각 차원별 가중치는 큰 편차를 보여 차원간의 변별력 및 안정성에 차이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가중치 산출방법에 따른 고객만족도지수는 구조방정식, 회귀분석, 상관분석, 산술평균, 주성분분석, 고정총합법, 요인분석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각 방법론에 따른 고객만족도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거주자의 산림 방문수요 결정요인 분석 - 북한산, 관악산, 수락산, 도봉산 방문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Determining Visits of Seoul Metropolitan Citizens to Forests: Focusing on the Visitors of Mt. Bukhan, Mt. Gwanak, Mt. Surak, and Mt. Dobong)

  • 박정열;김태희;김성윤;박동균;이희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1호
    • /
    • pp.36-46
    • /
    • 2010
  •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 거주자를 중심으로 산림방문수요를 분석하여 산림방문수요증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산림선택속성의 요인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총 6개의 요인, 인구통계적 특성, 산림 이용과 관련된 일반적 사항 등의 독립변수를 이용하여 종속변수인 지난 1년간 산림 방문횟수에 대한 결정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산림방문수요에 정(正)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산림선택속성 중에서 관광자원요인, 인구통계적 변수들 중에서는 남성, 서울 거주자일수록, 산림이용과 관련된 변수들 중에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산림방문수요에 부(負)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산림선택속성요인 중에서 산림외적요인, 인구통계적 특성 중 화이트컬러 직업군 종사자, 대졸이상 학력자인 경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산림방문 수요 확대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의류학 연구의 통계적 오류 (Statistical Errors in a Research of Clothing and Textiles)

  • 최경호;최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485-493
    • /
    • 2014
  • 본 연구는 통계적 방법의 올바른 사용을 통해 의류학 분야 연구결과의 과학성과 윤리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실시되었으며, 나아가 본 연구가 통계적 방법을 활용하는 의류학 관련 연구 발전에 기여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계적 방법의 적용이나 통계패키지의 활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는 의류학 관련 연구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류학회지를 대상으로 연구과정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는 통계적 오류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 각 단계별로 많은 오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요인분석 등에 있어 올바른 분석방법을 적용하고 있지도 않을 뿐더러, 천편일률적으로 기계적인 기술을 하고 있었다. 또한 교차분석의 경우에도 가설설정이 없으며, 검정의 내용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았다.

어촌체험마을을 방문동기에 관한 연구 : 삼척 장호마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articipants' Motivation of Fishing Village Tourism: Focused on the Jang-Ho village)

  • 김은정;손재영;장각현
    • 산학경영연구
    • /
    • 제22권1호
    • /
    • pp.157-176
    • /
    • 2009
  • 본 연구는 어촌관광객의 방문동기를 찾아내고 방문동기가 방문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계획되었다. 방문객의 인구통계적 특성, 활동특성, 방문동기,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어촌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를 이용해 빈도분석, t-test, 분산분석, 요인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어촌관광방문동기로 어촌체험, 신체 및 자아실현, 교육 및 문화, 지위 및 명예, 휴식이라는 5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방문동기는 인구통계적 특성 및 활동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지위 및 명예요인을 제외한 4개 요인이 방문객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