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토착균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2초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의 균주(菌株) 인식(認識)과 분류(分類)를 위한 혈청면역적(血淸免疫學的) 검정(檢定) (Strain Recognition and Classification of Korean Native Rhizobium japonicum by Seroimmunological Method)

  • 임선욱;김민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1-148
    • /
    • 1988
  • 본(本) 시험(試驗)은 우리나라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의 균주(菌株) 인식(認識)과 분류(分類)를 위하여 서울농대(農大) 시험포장(試驗圃場)의 13개(個) 대두품종근류(大豆品種根瘤)에서 순수분리(純粹分離)한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 27개(個)와 본(本) 실험실보유(實驗室保有)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 6개(個)에 대하여 혈청면역적(血淸免疫學的) 시험(試驗)을 행(行)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항원조성(抗原組成)이 상이(相異)한 4개(個)의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에 대하여 얻어진 4가지 항혈청(抗血淸)과 위 33개(個)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을 tube 응집반응(凝集反應), 응집소(凝集素) 흡착반응(吸着反應) 및 gel 면역확산반응(免疫擴散反應)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33개(個) 대두근류균중(大豆根瘤菌中) 25개(個)를 4가지 serogroup과 그에 속(屬)한 각(各) serotype으로 구분(區分)할 수 있었다. 2. 33개(個) 대두근류균중(大豆根瘤菌中) Hill, 밀양품종(密陽品種)에서 분리(分離)한 2가지 분리균(分離菌) 및 방사(放射), 장백품종(長白品種)에서 분리(分離)한 2가지 분리균(分離菌), 그리고 팔달(八達), 새알, 장백품종(長白品種)에서 분리(分離)한 4가지 분리균(分離菌)이 혈청면역학적(血淸免疫擧的) 검정(檢定)에 의하여 각각(各各) 동일균주(同一菌株)로 밝혀졌다. 3. 본(本) 실험결과(實驗結果), 혈청면역학적(血淸免疫學的) 방법(方法)에 의하여 우리나라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의 균주(菌株) 인식(認識) 및 체계적(體系的)인 분류(分類)와 아울러 균주(菌株)와 대두품종간(大豆品種間)의 친화성(親和性)을 밝히는 것이 가능(可能)하리라 생각된다.

  • PDF

우리나라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의 분포상태(分布狀態)와 생리(生理) 및 생태학적(生態學的) 특성(特性) -제(第)III보(報)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의 질소고정효율 및 Nitrate reductase 특성(特性)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digenous Soybean Rhizobia Distributed in Korea -III. Symbiotic Effectiveness and Nitrate Reductase Characteristics of Indigenous Soybean Rhizobia)

  • 류진창;서장선;이상규;박준규;조무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3-53
    • /
    • 1987
  • 전보(前報)에 이어 토양별(土壤別)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의 분포(分布), 질소고정효율(窒素固定效率) 및 Nitrate reductase 특성(特性)을 비롯하여 동일(同一)한 토양조건(土壤條件)에서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과 대두품종별(大豆品種別) 친화성(親和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토착근류균(土着根瘤菌) 중 대두근류(大豆根瘤)를 형성(形成)할 수 있는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은 $0.9{\sim}42.4{\times}10^3\;cells/g$ soil 범위(範圍)로서 토양간(土壤間)에 상이(相異)하였고 특(特)히 석회암토양(石灰岩土壤)에서 균밀도(菌密度)가 높았다. 2. 토양별(土壤別) 질소고정효율(窒素固定效率)은 대두연속재배지(大豆連續栽培地) 및 석회암토양(石灰岩土壤)에서 높았으며, 토착근류균수(土着根瘤菌數)가 많았던 토양(土壤)에서 질소고정효율(窒素固定效率)도 많은 경향(傾向)이있다. 3. 대두근류(大豆根瘤)의 bacteroid에서 질소고정효소(窒素固定酵素)와 질산환원효소(窒酸還元酵素)와의 상호관계(相互關係)에서 TNA와 NRA간(間)에는 유의(有意)한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r=-0.52^*$)를 보였으나 SNA와 NRA과는 대두근류(大豆根瘤)의 분리원간(分離源間)에 2개군(個群)으로 구분(區分)되었다. 4. 동일(同一)한 토양조건(土壤條件)에서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과 대두품종간(大豆品種間) 친화성(親和性)은 품종간(品種間)에 상이(相異)하였으며 질소고정효율(窒素固定效率)이 높았던 품종(品種)은 장엽(長葉) 및 광교(光敎)로 나타났다.

  • PDF

영남지역 시설재배지에 분포하는 Arbuscular 균근균의 포자 밀도 및 기내조건에서의 포자발아와 균사생장 특성 (Density of Arbuscular mycorrhizal spore of plastic film house soil in Yeongnam area and characterestics of AMF in vitro)

  • 박향미;남민희;강항원;이재생;고지연;강위금;박경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3-209
    • /
    • 1999
  • 인산축적 시설재배지에서 Arbuscular 균근균의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영남지역 시설재배지의 토착 Arbuscular 균근균의 분포밀도를 조사하고 in vitro에서 Arbuscular 균근균의 포자 표면살균 조건에 따른 포자발아 및 균사생장정도를 검토하였다.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재배작물별 Arbuscular 균근균의 포자분포수는 수박에서 가장 높았으며 오이, 참외, 고추의 순이었으며 건토 100 g당 포자수는 101~207개 범위에 있었다. 한편, Arbuscular 균근균의 포자분포수는 B/F비가 낮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토양유효인산의 함량과는 $r=0.416^*$의 유의성 있는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Acaulospora spinosa와 Gigaspora margarita 두 균주를 대상으로 기내실험한 결과 Arbuscular 균근균의 포자표면살균은 두 균주 모두 2% Chloramin T 및2% Chloramin T와 항생제 혼합 처리시 50%이상의표면 살균력과 포자발아율을 보여 다른 화합물 처리보다 양호하였다. pH에 따른 Gigaspora margarita의 포자발아와 균사생장은 pH 5.0 ~ 9.0 사이의 넓은 범위에서 50%이상의 발아율을 보였으며, 초기 pH가 증가 할수록 균사생장이 양호한 경향이었으나 Acaulospora spinosa의 경우에는 pH 9.0에서 포자발아율이 가장 높았으며 균사생장은 실험한 pH의 범위에 상관없이 저조하였다.

  • PDF

말분변 미생물을 이용한 주스박 사료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Juice Pomace Feed by Horse Feces Microbes)

  • 황원욱;김겸헌;우개민;임정호;우제훈;채현석;박남건;김수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90-30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주스박에 토착하고 있는 미생물을 분리하고 이를 발효에 이용하여 사료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주스박과 대두박을 원료로 하여 바실러스, 효모 그리고 유산균을 혼합 접종하여 수분 60%에서 고체발효 후의 pH변화, 총 균수의 변화와 같은 발효특성과 원료의 시간대별 일반성분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과박, 당근박, 포도박, 감귤박에서 발효에 이용하기 위한 토착균주들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분리균 중 Lactobacillus plantarum, Weissella cibaria 및 Bacillus subtilis를 선택하여 농산부산물 고체발효에 이용하였다. 발효 주스박의 원료로는 사과박, 당근박, 포도박, 감귤박과 각 박을 동일비율로 혼합한 혼합박을 이용하여 5개의 시험구를 구성하였다. 위의 박들을 대두박과 2:3의 비율로 혼합하였으며 수분은 60%로 하여 발효 출발점에 바실러스, 12시간대에 효모 그리고 24시간에 유산균을 단계적으로 접종하여 $35^{\circ}C$에서 총 48시간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에 의한 pH변화는 발효 전후에서 사과박, 당근박, 포도박, 감귤박 그리고 혼합박에서 각각 $6.25{\rightarrow}4.47$, $6.23{\rightarrow}4.41$, $6.12{\rightarrow}4.66$, $5.49{\rightarrow}4.56$ 그리고 $5.45{\rightarrow}4.40$로 낮아지는 변화를 보였다. 발효 시간에 따른 생균수를 조사한 결과 발효 최초 접종시 초기 균수인 $10^7$에 비해 12, 24 그리고 48시간 발효 후에 모든 처리구에서 $10^8{\sim}10^9$로 증식되면서 발효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선별한 균주와 단계별 균주의 접종조건이 주스박을 발효함에 있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발효 초기인 12시간까지 젖산의 생성이 급격히 진행되었으며 사과박, 당근박, 포도박, 감귤박 그리고 혼합박에서 각각 632.40, 726.74, 674.29, 647.39 그리고 748.77 mMol/g으로 생성되었다. 발효 시간에 따른 건물함량은 초기 건물함량인 60%에서 12, 24시간 발효 후 당근박의 건물함량이 각각 54.84%, 56.66%로 다른 처리구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p<0.05), 포도박은 45.3%, 44.15%로 낮은 건물량을 보였다(p<0.05). 전반적으로 건물함량은 원물의 20%정도가 감소되었으며, 발효 시간에 따라서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발효 시간대별 NDF는 발효 12시간째 모든 주스박에서 많은 감소를 보였으며 24시간부터 서서히 감소 또는 유지를 하였으며, 24시간대에는 포도박과 사과박이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p<0.10). ADF는 전반적으로 발효 시간에 따라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사과박은 발효초기에 비해 12시간 때부터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0.10). 발효 시간에 따른 조회분은 쥬스박 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0.05), 전체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주스박을 이용한 말용 사료를 개발하기 위해 사과박, 당근박, 포도박 그리고 말분변을 접종하였을 때 이들을 이용하는 우점 균주를 분리할 수 있었다. 이들 균주 중에서 발효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바실러스와 유산균을 선별하였다. 바실러스, 효모 그리고 유산균을 3단계로 12시간 간격으로 각각 순서에 따라 접종하였다. 각 균주의 접종이후 12시간부터는 총 균수가 각각 $10^8$ 이상으로 유지하였다. 48시간 배양 후는 바실러스, 효모 그리고 유산균이 거의 균등하게 성장하였으며 이러한 주스박 발효물을 이용하여 말 사료로 이용하면 식품부산물을 사료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말을 위한 생균제의 급여로 말의 장내에서 유익한 균총의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추역병과 시들음병을 방제하는 토착길항세균 Pseudomonas fluorescens 4059의 선발과 길항기작 (Selection and Antagonistic Mechanism of Pseudomonas fluorescens 4059 Against Phytophthora Blight Disease)

  • 정희경;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12-316
    • /
    • 2004
  • 토양 우점능이 강한 생물학적 방제제 제조를 위해 경북지역 토양에서 길항균주를 분리하고 이들 중 Fusarium oxysporum, Phytophthora capsici 에 강력한 길항능을 보이는 Pseudomonas sp. 4059 를 선발, 동정하였다. Pseudomonas sp. 4059 의 시들음 병균 Fusarium oxysporum, 고추 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 에 대한 길항기작은 내열성 저분자의 항생물질과 철이온을 특이적으로 흡착하는 siderophore의 생산에 의한 것이다. Pseudomonas sp. 4059 는 항진균성 항생물질 Phenazine 생산 유전자를 소유하며 Salkowski test에 양성인 옥신류 생산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Pseudomonas sp. 4059 는 bioochemical tests, API test, MicroLogTM system을 통해 Pseudomonas fluorescens (biotype A)으로 98% 상동성을 보였으므로 이를 Pseudomonas fluorescens (biotype A) 4059 로 명명하였다. 선발된 길항균 Pseudomonas fluorescens (biotype A) 4059는 고추를 기주식물로 하였을 때 고추역병균인 Phytophthora capsici가 원인이 되는 고추역병을 in vivo 상에서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생물방제능을 나타내었다.

한국(韓國) 토착대두(土着大豆) 근류균(根瘤菌)의 균주(菌株) 인식(認識)을 위한 항생제(抗生劑) 내성(耐性) 검정법(檢定法)의 응용(應用) (Application of Antibiotic Resistance Test for the Recognition of Korean Native Rhizobium japonicum Strain)

  • 임선욱;김민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39-244
    • /
    • 1989
  • 본(本) 시험(試驗)은 서울농대(農大) 시험포장(試驗圃場)에 존재(存在)하는 토착대두근류균 (土着大豆根瘤菌) 분포(分布)의 다양성(多樣性)을 밝힘과 아울러 이곳에서 분리(分離)한 분리균(分離菌)들의 몇가지 항생제(抗生劑)에 대한 내성(耐性)의 일반적(一般的)인 특성(特性), 그리고 근류균(根瘤菌) 균주(菌株) 인식(認識)을 위한 항생제(抗生劑) 내성(耐性) 시험(試驗)의 적합성(適合性) 등(等)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서울농대(農大) 시험포장(試驗圃場)의 여러 대두품종(大豆品種)의 근류(根瘤)에서 분리(分離)한 27개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을 중심(中心)으로 streptomycin sulphate, ampicillin, kanamycin sulphate, oxytetracycline등(等)의 4가지 항생제(抗生劑)에 대한 내성(耐性)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結果) 27개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은 4가지 항생제(抗生劑)에 대해 21가지의 상이(相異)한 내성유형(耐性類型)을 보임으로써 서울농대(農大) 시험포장(試驗圃場)에 비교적(比較的) 다양(多樣)한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들이 분포(分布)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27개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은 streptomycin sulphate와 oxytetracycline, ampicillin에 대하여 약 $1{\mu}g/ml$의 낮은 농도(濃度)에서부터 $200{\mu}g/ml$의 높은 농도(濃度)에 이르는 넓은 농도(濃度) 범위(範圍)에 걸쳐 생육저해(生育沮害)를 보였다. 그리고 몇가지 분리균(分離菌)은 ampicillin에 대하여 $400{\mu}g/ml$의 보다 높은 농도(濃度)에서 생육저해(生育沮害)를 보인 반면(反面), kanamycin sulphate의 경우(境遇) $12.5{\mu}g/ml$이하(以下)의 낮은 농도(濃度)에서 모든 분리균(分離菌)들이 생육저해(生育沮害)를 나타냄으로써 이는 다른 항생제(抗生劑)들에 비해 생육저해력(生育沮害力)이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전에 혈청면역학적(血淸免疫學的) 시험(試驗)에 의해 서로 다른 균주(菌株)로 밝혀진 두가지 분리균(分離菌)이 4가지 항생제(抗生劑)에 대해 각각 같은 정도(程度)의 생육저해(生育沮害)를 보임으로써 항생제(抗生劑) 내성시험(耐性試驗)은 정확(正確)한 균주(菌株) 인식(認識)에는 완전(完全)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몽골에 있어서의 전통적 유산균 발효유제품 (Traditional Dairy Products by Lactic Acid Bacteria in Mongolia)

  • Inhyu Bae;Sedkhun Burenjargal;Kang, Kook-Hee;Yang, Chul-Ju;Kong, Il-Ke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83-191
    • /
    • 2002
  • 몽골의 유가공 기술은 중앙아시아 지역의 유목민 생활방식의 독특한 전통에서 온 것으로 고유의 특성을 갖고 있다. 몽골의 전통적인 유가공 방식은 몽골의 토착종인 몽골우의 원유의 품질과 각 유성분 (단백질, 지방, 그리고 유당)의 허실 없는 완전이용 개념에 바탕을 두고 있다. 몽골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유즙생산 동물로부터 젖을 취하여 가공하는 것이 발달했으므로 많은 종류의 유제품이 제조되고 있다. 몽골에서는 30종 이상의 유제품이 제조되고 있는데 그 중 36%는 발효유제품이 차지한다. 몽골의 전통적 발효유제품은 그 자체가 매우 특색이 있다. 왜냐하면 유산구균, 유산간균 그리고 효모가 함께 발효 유제품의 스타터로 사용되고 또한 함께 생육하고 있기 때문이다. 몽골에서는 유목민 생활의 여건 하에서 발효유제품에 쓰이는 유산균 스타터의 제조와 보관 방법이 매우 독특하게 전해져 오고 알다. 기존의 발효은 제품을 처리하여 스타터로 준비하거나 몇몇 특별한 야생식물로부터 유산균을 얻는 방식이 독특하다. 지금은 Rheum undulantum L., Rheum ribes L., Rumex acetosa L., Artemisa sibersena L., Artemisa vulgare와 같은 다섯 종류 이상의 야생식물이 유산균 스타터의 균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몽골에서는 젖을 가공할 때 소규모로서 매우 간단한 도구를 사용하는데 특히 발효유제품 가공기술은 배우기가 쉽고 나름대로의 과학적인 현상에 그 바탕을 두고 있다.

남부지방 농경지 Bradyrhizobium japonicum의 질소고정잠재능 (Symbiotic Potential of Bradyrhizobium japonicum Indigenous to Arable Land in Southern Parts of Korea)

  • 강위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3호
    • /
    • pp.247-252
    • /
    • 1998
  • 콩 재배시 근류균의 합리적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남부지방의 평야지 밭토양과 논토양, 산간지 밭토양에 분포한 토착 Bradyrhizobium japonicum의 질소고정 잠재능을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토착 B. japonicum의 밀도는 산간 밭토양에서 $5.7{\times}10^4\;cells/g.soil$ 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평야지 밭$(5.0{\times}10^4\;cells/g.soil)$, 평야지 논토양$(4.0{\times}10^3\;cells/g.soil)$ 순이었다. 콩 개화기의 지상부 건물생산력과 수확기의 종실수량은 서로간에 고도의 상관관계$(P{\leqq}0.001)$를 보이면서 두 성분 모두 평야지 밭 >산간지 밭 > 평야지 논토양 순으로 높았는데, 평야지 밭토양 중에서는 남해토양과 선산토양이 건물생산면에서, 김해토양은 종실수량면에서 각각 우수하였다. 콩 개화기에 조사된 근류수와 근류무게의 물질생산 기여도는 지상부 건물중의 경우 근류수$(r=0.383^*)$ 보다 근류무게가$(r=0.439^*)$ 더 높은 값을 보였으나 종실수량에서는 근류무게$(r=0.449^{**})$ 보다 근류수가$(r=0.505^{**})$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근류무게당 지상부 건물중과 종실수량 성적은 평균적으로 단원콩에서 보다 남해콩에서 각각 1.7배와 1.4배 높은 변이계수를 보였다.

  • PDF

국내에 서식하는 꽃에서 분리한 야생 효모 분포 및 종 다양성 (Distribution and Species Diversity of Wild Yeasts Isolated from Flowers in Korea)

  • 김정선;이미란;김재윤;허준;권순우;윤봉식;김수진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75-484
    • /
    • 2020
  • 국내에 서식하는 꽃에서 다양한 토착 효모를 분리 및 확보하고 효모의 분포 특성과 종 다양성에 관해 연구하였다. 국내 25지역에서 꽃 9종 77개체를 채집한 후 효모를 순수분리하였다. 효모 502균주의 large-subunit (LSU) rDNA 염기서열을 분석 및 상동성 비교로 각 효모의 종을 동정하였다. 분리된 효모는 총 50종으로 동정 되었고, 모든 꽃 시료로부터 Aureobasidium pullulans, A. leucospermi, Filobasidium magnum이 분리되었다. 꽃에 우점한 효모 3종을 제외하고, 효모 균주 수가 적게 분리된 종은 지역과 분리원에 따른 유의성을 확인할 수는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꽃으로부터 확보한 국내 토착 효모 50종은 산업적 활용을 위한 자원으로써 역할을 기대할 수 있고, 추후 효모와 기주 간의 상호작용이나 효모다양성 연구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시설원예(施設園藝) 작물(作物)에서 토착(土着) VA균근균(菌根菌)에 관한 연구 II. VA균근균(菌根菌)의 동정(同定) (Studies on the Indigenous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l Fungi(VAMF) in Horticultural Crops Grown Under Greenhouse II. Identification of the Indigenous VAMF Distributed in Greenhouse Soil)

  • 손보균;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93-301
    • /
    • 1991
  • 순천시(順天市), 승주(昇州), 보성지역(寶城地域)에 분포(分布)하는 시설원예지(施設園藝地)의 오이, 고추, 상추, 토마토 및 가지 등의 근권토양(根圈土壤)에서 분리(分離)된 VA균근균(菌根菌)의 동정(同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시설재배(施設栽培) 토양(土壤) 중(中)의 속(屬), 종(種)의 동정결과(同定結果)는 Glomales 목(目), Glomineae 아목(亞目)에 속하고 Acaulosporaceae과(科)의 Acaulospora속(屬) 그리고 Glomaceae과(科)에 속하는 Glomus속(屬)와 Sclerocystis속(屬)가 확인(確認)되었고, 아목(亞目) Gigasprineae의 Gigasporaceae과(科)에 속하는 Gigaspora속(屬)와 Scutellispora속(屬) 등의 5개속(個屬) 15개종(個種)이 확인(確認)되었다. Acaulospora속(屬)에서는 6개종(個種) 즉 A. denticulata Sievering and Toro, A. elegans Trappe & Gerd., A. bireticulata Rothwell & Trappe, A. foveata Trappe & Janos, A. rehmii Sieverding & Toro, A. appendiculata Spain, Sievering & Schenck 등이 동정(同定)되었고, Glomus속(屬)는 3개종(個種) G. ambisporum Schenck & Smith(Type II), G. hoi Berch & Trappe, G. caledonium(Nicol. & Gerd.) Trappe & Gerd. 등이 Gigaspora 속(屬)는 G. gigantea (Nicol.& Gerd.) Gerd.& Trappe, G. decipiens Hall & Abbott, 그리고 Scutellispora 속(屬)는 S. aurigloba (Hall Walker & Sanders, S. calospora (Nicol.& Gerd.) Walker & Sanders, S. coralloidea (Trappe, Gerd. & Ho) Walker & Sanders 등 3개종(個種)과 Sclerocystis속(屬)에서는 S. pachycaulis Wu & Chen의 포자낭과(胞子囊果)가 동정(同定)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