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지

Search Result 4,75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Auto-extraction of Land Characterictics Using a GSIS (GSIS를 이용한 토지 특성의 자동추출에 관한 연구)

  • Park, Sung-Kyu;Lim, Seoung-Hyeon;Park, Jung-Nam;Cho, Gi-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6 no.2 s.12
    • /
    • pp.59-67
    • /
    • 1998
  • This study deals with a auto-extraction of land characteristics using a GSIS. Major algorithm and a evaluation program was developed to automate the entire Process of land characteristics survey Through the automatic extraction of land information. To establish such a process, a method was provided to automatically extract detailed land information such as the shape, height, direction, road contact conditions, which could not be available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doption of such a automated process could lead the whole works related to the official land-value evaluation and securing residential complex to be more efficient and cost-saving in a scientific way comparing with existing process.

  • PDF

The Overview Standard of Land Suitability Assesment (Assesment System II) (토지적성평가(평가체계II)의 검수방안에 대한 연구)

  • Jung, Young-Dong;Cho, Gyu-J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2 no.3 s.30
    • /
    • pp.33-41
    • /
    • 2004
  • Land Suitability Assessment System(LSAS) that was introduced to prevent unplanned development of the nation is divided by Assessment System I and II. Assessment System II can regulate the land use on the development that was defined in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se Act'. With it, Property right can be limited in the development of private sector and this lure the investor to fabricate the result of land suitability assessment. Because of it, if we can't prepare the overview standard, we couldn't accomplish our purpose that unplanned development prevention and efficient land use. With the suggestion of overview standard for the each factor used in LSAS and the analysis result of it, we presented ways to efficient support and the fixations of LSAS.

  • PDF

Development of Trading Units between Land uses for Water Quality Trading Policy (미국의 수질 교환법 적용을 위한 토지이용 간 교환단위 연구)

  • Shin, Yee-Sook;Trauth, Kathleen 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99-99
    • /
    • 2011
  • 최근에 미국에서 출범한 수질 교환 법은 수질기준을 혁신적인 접근방법으로 만족시키는 법이다. 이 법안은 수질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조건에서 한 유역 안 다른 지점들의 점 오염과 비점오염 배출의 교환을 허용한다. 이 법안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도출하기 위하여 많은 시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만 여전히 실제 교환은 상대적으로 적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하천내의 비 점오염량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교환 지점을 선정하고 적용하는 데에 큰 어려움이 있다.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 (HSPF)은 Soil and Water Assessement Tool (SWAT)과 함께 미국 하천 모델링에 많이 쓰이는 유역 모델로써 특히 HSPF는 각각의 토지 피복도의 퍼센트 투수량을 지정함으로써 도시지역의 유출량을 시뮬레이션 하는데 강점이 있다. 미국 중서부 미조리 주의 퍼시픽시를 포함하고 있는 Brush Creek 유역을 선택하여 퍼시픽시의 도시화 증가로 인한 Brush Creek 유역의 상류와 하류지역의 유출량 및 Sediment 변화를 예측하여 수질관리법을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의 특징은 원격탐사 이미지 (QuickBird)로 구현한 최근의 토지 이용을 미래의 도시지역으로 전환한 토지이용도를 사용함으로서 특정 유역을 가장 정확하게 이해하는 시뮬레이션을 가능하도록 한다는 점이다. 각각의 토지이용에서 도시화가 3가지의 강도를 가지고 진행된다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모델링을 하였고 이로 인해 계산된 유출량과 Sediment 양을 이용하여 각각의 토지이용 변화 별 수질 교환단위를 도출 하였다.

  • PDF

Land Value Analysis Using GIS in Haeundae Gu of Busan (GIS를 이용한 해운대구 토지가치 분석)

  • Choi, Chul-Uong;Son, Jung-Woo;Lee, Chang-H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7 no.2
    • /
    • pp.3-9
    • /
    • 2009
  • These days, the value of the limited land rises in the cit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population and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various studies on estimating the land price have been accomplished for the purpose of using the land efficiently. As a result, the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system was arranged. However the system is insufficient to reflect realiti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land price by joining spatially the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of Haeundae-gu, Busan from 2004 to 2008 to the map of lot number. We also computed and compared the change rate of the land price for 5 years. And we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factors including the distance from the subway station, the land use and the land category which have an effect on the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and it using GIS technology.

  • PDF

Landcover Change Detection in Korean Peninsula using MODIS Data (MODIS 영상을 이용한 한반도 토지변화 탐지)

  • Yoon, Jong-Suk;Kang, Sung-Jin;Yoon, Yoe-Sang;Lee, Kyu-Su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131-136
    • /
    • 2008
  • 중저해상도 영상으로서 공급되고 있는 MODIS영상은 높은 temporal resolution 특성을 가짐으로써 넓은 면적에 대한 토지 이용이나 토지 피복의 변화 탐지에 대한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고해상도 영상 자료 또는 관측 자료는 중저해상도 영상과는 비교할 수 없는 경제적인 비용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중저해상도에서 변화를 탐지하여 고해상도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갱신이나 변화의 속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추출하는 전략적인 토지 피복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중저해상도 영상 자료는 고해상도 관측 자료를 획득 할 수 있는 일종의 alarm system으로써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주기적으로 촬영된 MODIS의 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에서 일어나는 토지 피복의 변화에 대한 패턴을 알아보고자 한다. 즉, 한반도에서 일어나는 일 년 간의 토지 피복의 변화로 생각할 수 있는 예로는 계절이나 경작에 의한 식생의 변화가 영상에 나타나는 주기적인 패턴을 살펴봄으로써 인간의 개발이나 재해와 같은 영향으로 일어나는 지표면의 이상적인 변화를 탐지하고자 한다. 사용된 영상은 MODIS Lnad product 중 Surface reflectance 8day composite 영상이며, NIR과 RED 밴드에서 나타나는 광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patiotemporal Operators for History Management System of Cadastre and Cadastral Map (토지대장/지적도 이력관리 시스템을 위한 시공간 연산자의 설계 및 구현)

  • Kim, Sung-Ryoung;Kim, Sang-Ho;Lee, Hwa-Jong;Ryu, Keun-Ho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2 no.2 s.4
    • /
    • pp.127-142
    • /
    • 2000
  • GIS Tools is able to not only store the integrated information between attribute data and spatial data, but also analyze them. Most of GIS Tools support current information of land. However, lawsuit of right of possession as well as statistic of past data for land policy may need historical information. Therefore, in the paper, we designed the spatiotemporal operators what can handle the historical information. and implemented them. The spatiotemporal operators are used in the history management system of Cadastre and Cadastral map based on GIS. The historical information is generated in spatial operation of spatiotemporal operators and then the implemented operators provide a function to store the historical information, and handle them.

  • PDF

A Study on Watershed Management Technique using SWAT Model and High Spatial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SWAT모형과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하천유역 관리기법연구)

  • Lee, Ji-Wan;Lee, Mi-Seon;Shin, Hyung-Jin;Park, Geun-Ae;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22
    • /
    • 2010
  • 본 연구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자료를 비점오염원 분석에 적합한 SWAT모형에 적용할 수 있는 정밀토지이용도의 분류항목으로 설정하고 영상에서 추출 할 수 있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경안천 유역($260.54km^2$)으로 기상자료는 1998년부터 2008년 동안의 경안천유역 6개의 강우관측소 자료와 3개의 기상관측소 자료를 수집하여 구축하였다. 수질자료는 환경부 물환경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1999~2008년까지 구축하여 사용하였다. 점오염원자료는 경안, 오포, 매산 하수처리장의 1990~2007년까지의 일자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고해상도 위성영상(KOMPSAT-2)을 환경부의 토지피복분류체계와 현장조사를 통하여 토지이용분류 항목을 설정하고 스크린 디지타이징 방법을 통해 제작한 정밀토지이용도를 사용하였다. 정밀토지이용도를 SWAT 모형에 적용하여 분석 시 활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30m 중해상도의 환경부 토지이용도와의 모형 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

The Characteristic of pollutions according to Landuse for a Small Watershed in PALDANG Water system (팔당수계 소하천의 토지이용에 따른 오염물질특성)

  • Song, Chul-Min;Pak, By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031-1034
    • /
    • 2010
  • 지난 2008년 11월 중앙정부와 팔당수계 7개 시 군은 수질보전과 더불어 지역사회의 개발을 위해 2008년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이하 오총제)의 의무제 도입을 합의하였다. 오총제의 의무제 도입에 따라 수행되어야 할 각 유역별 토지이용 특성 분석 및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정도의 명확한 규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유역관리의 방향 설정이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농도규제에서 좀 더 과학적 수질관리 기법인 총량관리 개념의 '수질오염 총량관리제도'의 도입에 따라 효율적이며 과학적인 소유역 관리를 위해, 토지이용과 오염물질 유출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유역은 앞서 언급한 7개 시 군의 각각 주요 하천 3개소를 선정하여 총 21개소를 2009년 6월부터 12월까지 7개월 동안 월 3회씩 BOD 및 COD를 모니터링하였다. 또한 그 유역을 전수조사를 통해 토지이용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토지이용에 따른 산림지역이 가장 많은 지역은 가평군 남양주시로 나타났고, 도시 및 주거지가 많은 지역은 여주군, 용인시 및 이천시이며, 농지가 많은 지역은 양평군 여주군으로 나타났다. COD 및 BOD의 배출 정도는 농지와 도시 및 주거지가 많은 지역에서 높은 수준(p<$0.05^*$)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도시 및 주거지가 많은 유역에서 그 정도가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임지의 토지 이용률이 증가할수록 BOD 및 COD 평균농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 PDF

Heat Balance Monitoring in Seom River Basin using Satellite Imagery (위성영상을 이용한 섬강유역의 열수지 변화 모니터링)

  • Na, Sang-Il;Park, Jong-Hwa;Shin, Hyoung-Sub;Park, Jin-Ki;Oh, S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50-750
    • /
    • 2012
  • 토지이용의 변화는 수문순환의 변화를 초래한다. 이는 토지이용에 따른 지표 특성의 변화로 열수지가 변화함으로써 미규모 및 중규모 기상현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최근 4대강 살리기 사업 등의 대규모 토목사업으로 인해 넓은 면적의 지표면 상태가 변화하고 이에 따른 수문순환 변화에 대한 관심과 함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 수문학 분야에서의 가장 큰 관심은 최신 기법을 적용한 수문분석 및 정확한 수문인자를 추출하고자 하는 것으로 원격탐사나 GIS 기법을 이용할 경우 유역의 물리적인 요소를 고려할 수 있으며 넓은 지역에 대한 정보를 공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길이 103.5km, 유역면적 $1,478km^2$, 한강의 제 1지류인 섬강유역을 대상으로 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토지피복에 따른 열수지 변화 특성을 모니터링 하였다. 대상지역의 토지피복은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수역, 도심지, 나지, 초지, 산림, 농경지, 구름 및 그림자 등으로 분류하였으며, 위성영상을 열수지 모델에 적용하여 인자별 격자기반의 공간분포도를 추출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토지피복 종류에 따른 유역내 열환경 특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열환경 관점에서 유리한 토지피복 조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Ecohydrological Effects of Climate and Land-Use Changes in Jeju Island using Ecosystem Demography Model (ED 모형을 활용한 제주도의 기후 변화 및 토지 이용 변화의 생태수문학적 영향)

  • Kim, Jeongbin;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07-107
    • /
    • 2018
  • 기후 변화가 심해짐에 따라 한반도의 기후 또한 온대에서 아열대로 변화하고 있다. 기후대가 변하게 되면 수문학적 순환 및 식생의 분포 또한 달라지게 된다. 식생의 분포는 결국 토지 이용을 의미하며, 서로 다른 토지 이용은 대기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각기 다른 반응을 보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대가 가장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제주도를 대상으로 기후 변화 및 토지 이용 변화에 따른 생태수문학적 영향을 Ecosystem Demography Model version 2.2(ED-2.2) 모형을 사용하여 살펴 본다. 제주도의 플럭스 타워 및 산림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ED-2.2 모형을 검증하였다. CRU-NCEP 기상자료 및 Land-Use Harmonization (LUH) 토지이용자료를 활용하여 과거기간(1500~2015)의 잠재 식생 및 실제 식생 상태를 산정하고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산정된 최종 실제 식생 상태를 바탕으로 기후 및 토지이용 시나리오(RCP 3.0 및 6.0)를 적용하고, 다양한 전지구모형(GFDL-ESM2M, HadGEM2-ES, IPSL-CM5A-LR, MIROC5)의 기상자료에 따라 물 순환, 탄소 순환 및 식생의 분포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 분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