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지상태

Search Result 33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termination of Instream Flow Requirement for Small Mountainous Watershed Using SWAT (SWAT을 이용한 산지 소유역의 하천유지유량 산정방안)

  • Lee, Kil-Seong;Chung, Eun-Sung;Shin, Mun-Joo;Kim, Yo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814-81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안양천 중상류 유역에 대해 SWAT 모형을 이용하여 현재(2000년)의 토지이용 및 지하수 취수량(2000년)을 토대로 유황곡선을 도출하고 개발이전의 토지이용(1975년)과 지하수 취수가 전혀 없는 이상적인 상태에서 유황곡선을 도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기존의 갈수량과 항목별 필요유량을 비교하여 큰 값으로 하천유지유량을 설정한 것과 본 연구에서 수행한 유황들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오전, 삼성, 삼막, 수암천의 경우 현재의 상태와 이상적인 상태의 갈수량이 전혀 변화하지 않음을 보였으며 삼성, 삼막천은 두 경우 모두 갈수량이 0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대상유역의 유역면적이 작은 지방2급 하천일 뿐만 아니라 경사가 급한 산간지역이 대부분을 이루어서 개발 전에도 기저유출이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하천유지유량을 항목별 필요유량으로 산정한 경우는 모든 유역에서 이상적인 상황의 저수량보다 큰 값을 보였다. 따라서 지방2급 하천과 같이 유역면적이 작거나 산지하천의 경우에도 일률적으로 갈수량이나 항목별 필요유량을 비교하여 큰 값으로 하천유지유량을 설정하기보다는 수문모의모형을 이용하여 대상유역에 대해 자연적인 상황에서의 갈수량 또는 저수량 등 다른 적절한 방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Analysis of the Effect of Differences in Spatial Resolution of Land-use/cover Data on the Simulation of CALPUFF (토지피복 자료의 해상도 차이가 CALPUFF 농도 모의에 미치는 영향 분석)

  • Hwang, Suyeon;Ham, Jungsoo;Lee, Youngjin;Choi, Jinmu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7 no.5_3
    • /
    • pp.1461-1473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how the level of resolution of land cover data affects on the local distribution and diffusion of fine dust. the CALPUFF model, which considers the spatio-temporal terrain conditions and changes in weather conditions, was used to estimate PM10 concentration in the Pyeongchon, Anyang-si, Gyeonggi-do. Three different resolutions of land cover data including 20 m, 50 m, and 100 m were compared as the input of the modeling. Using higher resolution land cover data (20 m), the wind speed of the simulated region was the largest and the PM10 concentration was the lowest. Through this study, we confirm that the resolution level of land-use/cover data can affect the local distribution and diffusion of fine dust, which can be detected by CALPUFF. Therefore, when using CALPUFF to simulate fine dust in the future, it can be suggested that checking the impact on spatial resolution according to the form of land cover in advance and proceeding with the simulation can achieve mote accurate results.

Heat Balance Monitoring in Seom River Basin using Satellite Imagery (위성영상을 이용한 섬강유역의 열수지 변화 모니터링)

  • Na, Sang-Il;Park, Jong-Hwa;Shin, Hyoung-Sub;Park, Jin-Ki;Oh, S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50-750
    • /
    • 2012
  • 토지이용의 변화는 수문순환의 변화를 초래한다. 이는 토지이용에 따른 지표 특성의 변화로 열수지가 변화함으로써 미규모 및 중규모 기상현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최근 4대강 살리기 사업 등의 대규모 토목사업으로 인해 넓은 면적의 지표면 상태가 변화하고 이에 따른 수문순환 변화에 대한 관심과 함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 수문학 분야에서의 가장 큰 관심은 최신 기법을 적용한 수문분석 및 정확한 수문인자를 추출하고자 하는 것으로 원격탐사나 GIS 기법을 이용할 경우 유역의 물리적인 요소를 고려할 수 있으며 넓은 지역에 대한 정보를 공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길이 103.5km, 유역면적 $1,478km^2$, 한강의 제 1지류인 섬강유역을 대상으로 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토지피복에 따른 열수지 변화 특성을 모니터링 하였다. 대상지역의 토지피복은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수역, 도심지, 나지, 초지, 산림, 농경지, 구름 및 그림자 등으로 분류하였으며, 위성영상을 열수지 모델에 적용하여 인자별 격자기반의 공간분포도를 추출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토지피복 종류에 따른 유역내 열환경 특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열환경 관점에서 유리한 토지피복 조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Urban Land Use by Urban Land Use Information System (도시토지이용정보체계에 의한 도시토지이용평가에 관한 연구)

  • 고준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4 no.1
    • /
    • pp.97-110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rban land used by the Urban Land Use Information System (ULIS) which can supply the micro-level land usc information for the understanding of micro-level urban spatial structure and district-level planning and managements(such as urban design, redevelopment planning and district-level transportation planning, etc.). The study evaluates the current situation of urban land use database and suggests the prototype of urban land use database using GIS. The planning and management of post-modern city which has characterized by diversity and the mixture of land use, need more detail and quantitative information about land use. Recent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of existing physical condition are increasing the density of activity. It raises urban problems such as the shortage of infrastructure and traffic congestion, etc. In this process we need to construct information system which monitors current land use situation.

  • PDF

Parameter Sensitivity Analysis of SWAT Model for Prediction of Pollutants Fate in Joman River Basin (조만강 유역의 오염물질 거동 예측을 위한 SWAT 모형의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 Kang, Deok-Ho;Kim, Tae-Won;Kim, Young-Do;Kwon, Jae-Hyu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787-790
    • /
    • 2008
  • The SWAT(Soil and Water Assesment Tool) is a relatively large scale model for the complicated watershed or river basin. The model was developed to predict the effect of land management practices on water, sediment and agricultural chemical yields in large complex watershed with varying soils, land use and management conditions over long periods of time. Usually streams are divided into urban stream and natural stream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level. In case of urban stream, according to urbanization, as impermeable areas are increasing due to the change of land use condition and land cover condition, dry stream phenomenon at urban stream is rapidly progressed. In this study, long term run-off simulations in urban stream are performed by using SWAT model. Especially, the model is applied in small scale water shed, Joman River basin. The optimization by the sensitivity analysis is also performed for the model parameter estimations.

  • PDF

Improvement of the Level-2 Land Cover Map with Satellite Image (위성영상을 이용한 중분류 토지피복도의 제작과정 개선)

  • Park, Jung-Jae;Ku, Cha-Yong;Kim, Byung-Su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5 no.1
    • /
    • pp.67-80
    • /
    • 2007
  • The land cover map represent the state of earth surfaces.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xplore present conditions of earth surfaces and develop future plans for local areas. To produce the land cover map with efficiency, gathering geographic information from satellite images is important. Exporting, building, and managing processes on the land cover information are needed as well. In this study we aim to review the producing process of the level-2 land cover map in detail and enhance it. h present status of the producing process of the land cover map in Korea is reviewed, problems of the process are explored, and measures for improving it are proposed. The criteria for fixing boundaries and providing attributes for the land cover map are proposed. This proposed criteria may solve problems in a present producing process. The improving measures proposed in this study should be continuously revised in future studies.

  • PDF

A Study of Runoff Curve Number Estimation Using Land Cover Classified by Artificial Neural Networks (신경망기법으로 분류한 토지피복도의 CN값 산정 적용성 검토)

  • Kim, Hong-Tae;Shin, Hyun-Su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4
    • /
    • pp.633-645
    • /
    • 2003
  • The techniques of GIS and remote sensing are being applied to hydrology, geomorphology and various field of studies are performed by many researcher, related those techniques. In this paper, curve number change detection is tested according to soil map and land cover in mountain area. Neural networks method is applied for land cover classification and GIS for curve number calculation. The first, sample area are selected and tested land cover classification, NN(84.1%) is superior to MLC(80.9%). So we selected NN with land cover classifier. The second, curve number from the land cover by neural network classifier(57) is compared with that(curve number) from the land cover by manual work(55). Two values are so similar. The third, curve number classified by NN in sample area was applied and tested to whole study area. As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hown that curve number is more exact and efficient by using NN and GIS technique than by (using) manual work.

Spectral Mixture Analysis using Hyperspectral Image for Hydrological Land Cover/Use Classification (수문학적 토지피복/이용 분류를 위한 초분광영상의 분광혼합분석)

  • Shin Jung-Il;Lee Kyu-Su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206-209
    • /
    • 2006
  • 강우-유출 모델링에 있어 토지피복/이용 상태는 중요한 입력변수로 사용되지만 기존의 다중분광영상을 이용한 분류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탑재 초분광영상인 Hyperion 영상의 분광혼합분석을 통해 도시지역의 수문학적 토지피복/이용 분류를 실시하였으며 분류등급의 기준은 널리 사용되고 있는 SCS 토지피복/이용 등급을 이용하였다. 정확도분석을 위해 항공사진을 디지타이징하여 불투수면적의 비율을 비교하였으며 분광혼합분석 결과와 항공사진에서 불투수면적의 비율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SCS의 분류등급은 미국을 기준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임계치를 이용하여 분류된 등급과 실제 항공사진판독의 결과가 일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Estimate Runoff Curve Number by Using GIS (GIS 기법을 활용한 유출곡선지수(CN) 산정)

  • Kim, Hyeon Sik;Oh, Yeun Kun;Yeon, Yun Jung;Kim, Han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251-1256
    • /
    • 2004
  • 본 연구는 토양도 및 Landsat 위성영상을 GIS 및 R/S기법으로 토지이용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여 토지피복의 경년적 변화에 따른 유출곡선지수를 산정하고 유출곡선지수의 변화에 따른 유출상태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른 위하여 개략토양도의 토양분류에 대한 기존분류방법과 토지이용에 따른 CN분류법을 조사 검토한 후 CN을 산정하였으며, 향후 보다 정확한 산정기법이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위하여 활용한 기초자료는 건설교통부와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시행하고 있는 전국유역조사의 자료로서 연구 분석에 이용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3 Dimensional Cadastral Model (삼차원 지적 모형의 개발)

  • 전방진;김계현;민숙주;곽태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4.11a
    • /
    • pp.453-458
    • /
    • 2004
  • 지적제도를 관리하고 있는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은 한정된 토지의 지속적인 개발과 다양화 ㆍ입체화되어 가는 토지이용을 현 상태 그대로 표현할 수 있고, 입체적 토지이용으로 인하여 복잡하게 된 토지소유권을 체계적으로 등록 및 관리할 수 있는 삼차원 지적에 대한 연구 및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며, 국제측량사연맹(FIG)에서도 지속적인 관심과 학술대회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최근 국내에서도 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삼차원 지적도입을 위하여 지적법 전문개정을 통하여 건물 및 시설물 등의 위치(현황도)를 등록할 수 있는 법적근거를 마련하였다. 아울러 대한주택공사와 대한지적공사는 용인시 신갈읍을 대상으로 삼차원 지적정보관리 구축 시험사업을 추진중에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삼차원 지적의 개념을 이론적 배경으로 삼차원 지적의 국외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국내 관련 현황을 토대로 삼차원 지적 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