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토양환경관리

검색결과 987건 처리시간 0.022초

The Study of Soil Environmental Policy in Netherland (네덜란드의 토양환경 정책연구)

  • 송창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7년도 총회 및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1-104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네덜란드에서 시행하고 있는 토양환경정책을 정리하고, 국내의 적용성에 대해서 검토해 보았다. 네덜란드의 토양환경관리의 목표점은 토양의 다기능성을 유지시키고자 한 것으로서 다기능성의 회복에 토양정화의 주목적이 있다. 네덜란드의 토양법체계는 토양보호법을 기점으로 주변에 환경관리법, 건축법등을 통해 토양환경의 보전을 하고 있으며, 공장지대나 주유소는 토양보호법의 테두리안에서 별도의 명령을 통해 관리되고 있다. 아울러 정화의 책임을 명확히 하였으며, 정화의 책임순서로는 오염원인자, 소유자, 권리행사자 순으로 되어 있으며. 정화는 오염자 스스로 정화를 하도록 유도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정부가 돈을 투자하여 정화를 행하고 있다. 아울러 건축물을 짓고자 할 경우에는 토양에 관한 조사를 하도록 하고 있으며, 토지를 사고 파는 과정에서는 반드시 토양의 질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도록 행하고 있다.

  • PDF

Developing an Effici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Soil Contaminated Sites in Korea: 2. Future-Oriented Framework (효율적인 오염토양부지 정보관리체계 구축방안: 2. 미래지향적 체계구조)

  • Hwang, Sang-Il;Kim, Hun-Mi;Lee, Yang-Hee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제12권6호
    • /
    • pp.1-7
    • /
    • 2007
  • The whole objective of two papers in series was to develop the framework of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MS) for soil-contaminated sites. In the previous first paper (Hwang et al., 2006), current status of information management in our country and the developed countries was investigated and four suggestions were made. In this work (the second paper), the future-oriented framework for information system of soil contamination sites and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A Preliminary Study for Identifying Soil Management Area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n Development Projects (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 시 토양중점관리지역 선정을 위한 예비연구)

  • Kim, Jong Sung;Kim, Choong Ki;Yoo, Keunje;Hwang, Sang-Il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제26권6호
    • /
    • pp.457-469
    • /
    • 2017
  • In order to conserve soil functions to the highest degree in development project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manage specific area (so called soil management area) including soils with good or excellent functions. Therefore, in this work, we conducted a preliminary study how to identify soil management area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n development projects. To do this, quantitative evaluation was carried out on two example projects, using InVEST model considering a couple of soil functions, i.e., erosion control and carbon sequestration functions. Then, soil management area was identified through overlay analysis. The methodology developed in this study is able to be used widely for more detailed analysis with high resolution and furthermore overlay anaysis with other assessment items. For more perfect assessment, other soil fuctions needed to be taken into account into our methodology.

A Study on Deveolpment of Management System on Soil Moving (토양 반입 부지의 합리적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정책적 고찰)

  • Yoo, Keunje;Yoon, Sung-Ji;Kim, Jongsung;Hwang, Sang-Il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제26권4호
    • /
    • pp.257-271
    • /
    • 2017
  • In Korea, soil is being transported in and taken out for the purpose of national land development, but the soil is being moved without consideration of soil contamination. Therefore, this is a policy-focused study of the management system on soil moving. In this study, we analyzed current state of domestic and foreign management and suggested three alternatives for management of soil moving in 1) self-regulation, 2) obligatory regulation, 3) phase-in according to types of regulation. In order to establish a clear and reasonable management system for soil movemen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limitations of the current soil environmental law as suggested by this study.

수묘양성에 있어서 토양관리의 제문제점

  • 임경빈
    • 한국양묘협회지
    • /
    • 통권2호
    • /
    • pp.15-27
    • /
    • 1974
  • 이상 묘포토양의 제문제점에 대해서 한측면으로 고찰을 해보았다. 묘포토양은 곳에 따라 다양복잡하고 재배수종 그리고 생태환경, 작업기술등 변화가 많은 것이므로 그러한 영향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토양분석이 잘 되고 그것을 토양관리에 합리적으로 적응한다는 것은 묘목양성기술의 과학화라는 뜻에서 결코 경시할수 없는 일이다. 다음과 같은 토양관리사항을 이곳에 적요할수 있다. (가) 토양산도는 재배수종에 알맞도록 조정이 되어야 한다. 토양산도(pH가)는 5

  • PDF

공장부지 토양.지하수 오염 조사기법 및 정화기술의 적용

  • 황종식;박연정;손명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8년도 공동 심포지엄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9-26
    • /
    • 1998
  • 토양과 지하수 오염은 오염원이나 그 정화 방법에 있어서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수질오염이나 대기오염과 달리 일단 한번 오염이 되면 오염 정화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우면서도 비용이 많이 드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오염원의 형태에 따른 통합된 관리 및 효율적 정화기술의 적용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따라서 표준화된 오염조사 절차 (Environmental Site Assessment)를 통해 대상부지를 조사한 후, 확인된 오염원의 정화를 위한 기술을 선정함에 있어 필요한, 오염원·대상부지 특성 및 사업환경에 따른 정화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토양 및 지하수 통합 정화기술의 적용 예를 들어 토양과 지하수를 통합·관리함이 필요함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Modeling the soil moisture of street trees using RZWQM (RZWQM을 활용한 가로수 토양수분 모델링)

  • Jeong, Kieun;Hong, Eunmi;Yang, Jae E;Kim, Hyuck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489-489
    • /
    • 2022
  • 도시의 가로수들이 열악한 부지 조건과 적절하지 않은 가로수 관리로 인해 죽는 현상이 몇몇 도시에서 발생하고 있다. 열악한 부지 조건과 적절하지 않은 가로수 관리에는 생물학적·기상학적으로 많은 요소들이 있고, 그 밖에 도시 설계로 인한 요인들로 다양하다. 그중 연구지역인 춘천시에서는 가로수가 죽는 원인 중 토양수분이 가장 큰 원인일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토양수분 분포의 시간적 공간적 특성들은 증발, 침투, 지하수 함량, 토양 침식, 식생 분포 등을 지배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토양수분 연구는 물순환과정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과정이다. 하지만 토양수분 분석은 중요성에 비해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가로수 토양수분에 대해서는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가로수 토양수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고, 장기적인 가로수 관리를 위해 모델링을 하였다. 모델링 기초자료 확보를 위한 토양수분 모니터링은 춘천시의 가로수 중 세 군데를 선정해 각각 10, 20, 30 cm에 센서를 설치하였다. 이를 통해 약 1년간의 토양수분 함량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모니터링 지점의 토양을 샘플링 후 분석하여 물리, 화학, 생물성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모델링은 RZWQM(Root Zone Water Quality Model)을 이용하여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모델링 결과를 활용해 가로수 및 도시 표토 기능을 위협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 PDF

Developing an Effici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Soil Contaminated Sites in Korea: State-of-the-art and Suggestions (효율적인 오염토양부지 정보관리체계 구축방안: 국내외 현황 및 시사점)

  • Hwang, Sang-Il;Kim, Hun-Mi;Lee, Yang-Hee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제11권6호
    • /
    • pp.1-7
    • /
    • 2006
  • The whole objective of two papers in series was to develop the framework of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MS) for soil-contaminated sites. In this work, we investigated current status of information management in our country and the IMSs of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A, Germany, Netherlands, and Japan. Through the investigation, we made four suggestions which c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developing the IMS's framework. Firstly, we need to append the amendments on definition of information management and opening to the public to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Law. Secondly, detailed guidelines for each cleanup phase need to be developed. Thirdly, in order to increase the access of the public into the IMS, we need to provide electronic data files (e.g., PDF files) for them. Finally, a sole institution need to be chosen to control efficiently the IMS. In the subsequent paper, we will develop the framework of the I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