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양통

Search Result 36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istribution of Soil Series in Jeju Island by Proximity and Altitude (해발고도 및 인접성에 의한 제주도 토양통 분포특성)

  • Moon, Kyung-Hwan;Lim, Han-Cheol;Hyun, Hae-Nam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0 no.3
    • /
    • pp.221-228
    • /
    • 2007
  • Quantitative analysis of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oils in Jeju Island was conducted by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echnology. Soil series could be classified 5 groups after cluster analysis with proximity ratios among soil series which mean ratios of boundary lengths of other soils to total boundary length. Classification with proximity only was similar to conventional classification system at detailed soil map although conventional system was made from several criteria such as soil color, altitude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s. Altitudinal sequence of soil series was also suggested from representative altitudes of them which could be found from areal distribution curve along altitudes. The sequence was brown forest soils - black soils - very dark brown soils - dark brown soils from the peak of Halla Mt. to the coast on all sides, which maybe related to pedogenesis process in Jeju Island.

Suggestion of classification rule of hydrological soil group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revision of soil series: A case study on Jeju Island (토양통 개정 결과를 반영한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방법 제시: 제주도를 대상으로)

  • Lee, Youngju;Kang, Minseok;Park, Changyeol;Yoo, Chulsa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1
    • /
    • pp.35-49
    • /
    • 2019
  • This study proposes a new method for categorizing the hydrological soil groups by considering the recent revision results of soil series. Also, the proposed method is evaluated by comparing the categorizing result with those based on existing three different methods. As an example,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Jeju Island to estimate the CN value, which is then compared with CN values estimated by applying the existing three different methods. Summaries of the results are as follow. (1) The revision result since 2007 shows that the soil texture has been changed in the 43 soil series, the drainage class in the 1 soil series, the permeability in the 15 soil series, and the impermeable layer in the 26 soil series. (2) The categorizing result of hydrological soil groups by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shows that the group B is the most dominant group covering up to 49.25%. On the other hand, one of the existing method of 1987 provides the group C as the most dominant group (46.43%). Method of 1995 defines the group B as the most dominant group (27.69%). The other method of 2007 distinguishes the group D (35.82%) to be the most dominant group. (3) Also, the CN value estimated by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to Jeju Island is found to be smaller than those based on existing three methods. This result indicates the possible overestimation of the CN value when applying the existing three methods.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oil in Korean Golf Courses (한국 골프 코스의 토양 분류와 특성)

  • 최병주;주영희;심재성;유병남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6 no.2
    • /
    • pp.113-119
    • /
    • 1992
  • Soil Classification of 70 golf courses in Korea was identified according to the detailed soil map from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Golf courses (GL) soils were included 6 great soil groups(by the old system) and 8 great groups (by the new system) and 17 soil series. Most abundant great soil groups by old system were Red yellow soils(50% of GL) and Lithosols (44%) and by new systems, Dystrochrepts(74%), Eutrochrepts(8.6%) and Hapludults(7.1%) were main great soil groups. Major soil series were indentified as Osan(27.1% G.F), Samgag(18.6%), Yesan(11.4%), Songsan(8.6%) and Daegu(7.1%). Characteristics of great soil groups and soil series were summaried or tabled for golf course management.

  • PDF

Estimation of Un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by Tension Infiltrometer (Tension Infiltrometer를 이용한 불포화수리전도도의 추정)

  • Hur, Seung-Oh;Jung, Kang-Ho;Ha, Sang-Keon;Kim, Je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0-188
    • /
    • 2006
  • 수리 전도도는 hydraulic gradient에 대한 flux의 비율 또는, flux-hydraulic gradient 직선의 기울기를 나타내며, 포화된 토양에서의 물의 이동이 포화수리 전도도이고 불포화된 토양에서의 이동이 불포화수리전도도이다. 일반적인 밭 상태에서의 토양수분 조건은 불포화수리 전도도로 표시하는 것이 적절하나 그 상태를 표현하기가 쉽지 않다. 토양의 불포화 상태를 나타내는데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VGM(van Genuchten Mualem) 모형은 토양수분 포텐셜과 수분함량의 함수로 구성된 모형이며 몇 가지 매개변수가 필요하다. VGM 모형의 매개변수를 얻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VGM 모형의 매개변수를 계산해주는 프로그램인 Rosetta를 사용하였다. Rosetta 모형은 신경그물 얼개(neural network)를 이용하여 토양의 물리적 자료들인 토성이나 모래, 미사, 점토 함량 또는 용적밀도나 33kPa, 1500kPa에서의 토양수분 함량 자료를 가지고 VGM의 매개변수인 Ko(effective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theta}r$(residual soil water content), ${\theta}s$(saturated soil water content), L, n, m(=1-1/n)을 예측하는 모형으로 미국 농무성(USDA-ARS)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다. Rosetta를 이용하여 10kPa에서의 불포화수리 전도도를 예측하였다. 또한 Gardner(1958)와 Wooding (1968)의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만들어진 tension infiltrometer의 포화수리 전도도 값을 Gardner 식에 적용하여 1, 3, 5, 7kPa에서의 불포화수리 전도도 값을 17개 토양통을 대상으로 하여 구했다. 토양수분 potential이 3kPa에서는 물의 이동이 거의 없는 토양들이 있었는데 반해 남계통을 비롯한 학곡통, 회곡통, 백산통, 상주통, 석천통, 예산통 등 7개의 토양은 3kPa에서도 약간의 물의 이동이 있었다. 이는 모암이 화강 편마암인 관계로 토양 내에 물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자갈의 함량이 높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되고 추후의 연구에서는 이 부분에 대한 내용도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1kPa에서 물의 이동은 삼각통에서 35.21 cm/day로 이동 속도가 가장 컸으며 그 뒤로 예산통, 화봉통, 학곡통, 백산통 등이 토양에서 빠른 속도로 이동하였다. 가천통이나 석천통 및 우곡통은 1kPa에서의 이동 속도가 아주 느린 토양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포화되지 않은 상태인 1kPa에서 물의 이동 속도를 VGM 모형에 의해 예측된 값과 측정된 값으로 비교하였을 때 불포화 수리 전도도가 예측되지 않은 토양(석천통, 지곡통, 풍천통)이 존재하여 불포화 수리 전도도 특성평가에 대한 VGM 모형의 적용성에 문제를 보였다. 이는 결과적으로 논이라는 영농형태가 존재하는 우리나라에서 토양의 수리적 특성해석을 위한 VGM 모형의 적용성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Classification of Hydrologic Soil Groups by Infiltration and Permeability in Soil Originated from Lime Stone (석회암 유래 토양의 침투 및 투수속도 평가에 따른 수문유형 분류)

  • Hur, Seung-Oh;Jung, Kang-Ho;Sonn, Yeon-Kyu;Park, Chan-Won;Ha, Sang-Keon;Kim, Je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197-1204
    • /
    • 2008
  • 강원도 남부(영월)와 충북 제천, 단양 등지에 널리 분포하는 석회암에서 유래된 토양은 점토 및 철분함량이 많은 식질계 토양이며 pH와 염기포화도(Base Saturation)가 높은 붉은색 토양이다. 이 토양은 식양질과 식질 등의 세립(細粒)질로만 구성이 되어 있고 자갈이 있는 토양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토양의 침투 및 투수속도가 우리나라 토양의 주 모재인 화강암이나 화강편마암 유래 토양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본 연구는 세립질 특성을 보이는 석회암 유래 토양의 지표면에서의 침투속도와 토양층위별 투수속도를 측정해 복잡하게 세분되어 있는 토양의 종류를 수문학적인 목적에 따라 단순화하기 위해 만든 수문학적 토양유형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위해 이용된 토양은 과림, 모산, 장성, 마지, 안미, 평안통의 6개 토양이었고 장력 침투계(Disc tension infiltrometer)와 투수속도 측정계(Guelph permeameter)로 침투 및 투수속도를 측정했다. 현장측정 이후 추정식의 개발을 위해 토양층위별로 시료를 채취하여 실험실조건에서 입도분포, 유기물함량을 측정했다. 토양통별 침투 및 투수속도를 측정한 결과는 유기물 층이 존재하는 과림통은 공극이 많고 토층 내에 나무 및 식물뿌리가 존재해 전체적으로 침투 및 투수속도가 빠른 특성을 보여 수문유형을 A로 분류되었다. 모산통은 토층 내에 자갈함량이 아주 높고 투수속도가 다른 토양에 비해 월등히 빠른 특성을 나타냈으나 50cm이내에서 암반층이 존재하는 관계로 수문유형이 C로 분류되었다. 토층이 깊지 않은 장성통은 토층 내에 나무 및 식물뿌리가 많고 암석노출지가 존재해 침투속도가 빠름에도 불구하고 C 수문유형으로 분류됐다. 자갈이나 잔돌이 많은 마지통은 잔자갈이 존재하고 침투나 투수속도가 빠른 편으로 A유형이었다. 논으로 사용되는 안미통은 다른 석회암 유래토양에 비해 토층이 깊은 편이며 석회암 충적층에서 유래된 토양으로 선상지 및 곡간지에 분포한다. 관개된 상태에서 로타리 작업에 의해 표토의 특성이 교란되는 논으로 이용되는 특성 때문에 침투 및 투수속도는 느려 C유형으로 분류됐다. 잔돌이 존재하는 평안통은 석회암 붕적, 퇴적층으로부터 유래된 토양으로 산록경사지 및 선상단구에 분포하며 표토층인 A층에서 중입상구조를 보이며 공극이 많고 작물뿌리가 매우 많아 침투속도는 빠르나 B층에서는 점토 함량이 감소했다 증가하면서 토성이 급격히 바뀌는 특성을 나타내 투수속도는 느린 값을 보였으나 수분학적 토양유형은 B유형으로 분류됐다.

  • PDF

Quantitative Approach of Soil Prediction using Environment Factors in Jeju Island (환경요인을 이용한 제주도 토양예측의 정량적 연구)

  • Moon, Kyung-Hwan;Seo, Hyeong-Ho;Sonn, Yeon-Kyu;Song, Kwan-Chul;Hyun, Hae-Nam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5 no.3
    • /
    • pp.360-369
    • /
    • 2012
  • Parent material, climate, topography, biological factors, and time are considered five soil forming facto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several environment factors on soil distribution using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called soil series estimation algorithm in the soils of Jeju Island. We selected environment factors including mean temperature, annual precipitation, surface geology, altitude, slope, aspect, altitude difference within 1 $km^2$ area, topographic wetness index, distance from the shore, distance from the mountain peak, and landuse for a quantitative analysis. We analyzed the ranges of environment factors for each soil series and calculated probabilities of possible-soil series for certain locations using estimation algorithm. The algorithm can predicted exact soil series on the soil map with correctness of 33% on $1^{st}$ ranking, 62% within $2^{nd}$ ranking, 74% within $5^{th}$ ranking after estimating using randomly extracted environment factors. In predicted soil map, soil sequences of Entisols-Alfisols-Andisols on northern area and Alfisols-Ultisols-Andisols on western area can be suggested along increasing altitude. More modeling studies will be needed for the genesis process of soils in Jeju Island.

Interpretation of Soil Catena for Agricultural Soils derived from Sedimentary Rocks (퇴적암 유래 농경지 토양에 대한 카테나 해석)

  • SONN, Yeon-Kyu;LEE, Dong-Sung;KIM, Keun-Tae;HYUN, Byung-Keun;JUN, Hye-Weon;JEON, Sa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0 no.4
    • /
    • pp.1-14
    • /
    • 2017
  • In Korea, the soil series derived from sedimentary rocks are classified into seven soil series of coarse loamy soil such as Dain, Danbug, Dongam, Imdong, Jeomgog, Maryeong, and Yonggog; seventeen soil series of fine loamy soil such as Angye, Anmi, Banho, Bigog, Deoggog, Dogye, Dojeon, Gamgog, Gugog, Jincheon, Maji, Mungyeong, Oggye, Samam, Yanggog, Yeongwol, and Yulgog; six soil series of fine silty soil such as Goryeong, Bonggog, Juggog, Gyeongsan, Yuga, and Yugog; and four soil series of clayey soil such as Mitan, Pyeongan, Pyeongjeon, and Uji. All thirty-four soil series have different drainage rates and topography. However, the soil texture depends on the parent rock. The buffer functions in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echniques were used to calculate adjacent soil series from a soil series. The length of the adjacent soil series was adjusted because a side of the buffer area was one meter long. The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CCC (Cubic Clustering Criterion) method, in which the number of clusters is calculated based on the individual soil series ratio. Soil survey has been carried out since 1964 as "The reconnaissance soil survey", and 1:5,000 detailed soil survey was completed in 1999 with a five-years plan in Korea. Today, all the soil survey information has been computerized. GIS techniques were used to establish a digital soil map; however, there have not been any studies to interpret pedogenesis using the GIS technique. In this study, the area of the adjacent soil series were obtained using the GIS technique. The area of the adjacent soil series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area. The similarities of soil originated from sedimentary rocks were estimated using the length. As a result, the distribution of grain size was different based on the types of sedimentary rocks and the location. The clusters were distinguished into limestone, sandstone, and shale. In addition, the soil derived from shale was divided into red shale and gray shale. This means that quantitative interpretation of the catena and this established method can be used to interpret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series.

Is Radar Rainfall Acceptable to Hydrologic Application? (레이더 강우가 수문모형의 적용에 적합한가?)

  • Lee, 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200-203
    • /
    • 2006
  • 지역의 공간 분포가 내포된 고해상도의 지상강우량을 추정하기 위해서 강수와 구름 입자(고체와 액체)의 양과 성질을 반영한 기상레이더의 반사도(reflectivity) 자료로부터 지상강우강도로 환산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된다. 반사도 (reflectivity) 자료로부터 지상강우강도로 환산하는 핵심은 Z-R 관계식으로, 이 Z-R 관계식의 매개변수 a와 b의 결정이 중요하다. 그러나, 지상우량 관측소에서 측정되는 강우량 자료는 지상에서 관측된 강우자료이나, 레이더에서 추정되는 강우량은 상공 (이 연구에서는1.5km)에서 관측한 반사도로 추정되는 값으로 이에 상응하는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보정하는 기법이 이용된다. 수계내의 정확한 유출량을 모의계산하기 위하여 수문수치모형이 이용되며, 이의 보다 정확한 수치결과를 모의하기 위해서 레이더 강우추정을 사용하여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상청에서 운영하는 레이더 반사도 자료를 사용하여 용담/남강유역 내에서 2002-2004년의 집중호우에 대해 Z-R 관계식을 추정하고, 유역 내 평균 강우량과 지상관측 강우량의 비 (G-R비)를 이용한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보정을 함으로써 추정된 평균 강우량의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이렇게 추정된 레이더 강우는 지상관측지점 강우만으로 보간 된 강우(gauge-only interpolation)와 비교 되어, 레이더강우의 정확성과 적용성이 수문모형에 적합한가를 평가해 보았다. 공간적 분포의 특성을 내포하며 강우예측 (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ing)에 이용될 수 있다는 잇점은 있으나, 레이더 강우 추정은 정확성과 적용성에 많은 의문점을 남긴다.리 전도도 값을 Gardner 식에 적용하여 1, 3, 5, 7kPa에서의 불포화수리 전도도 값을 17개 토양통을 대상으로 하여 구했다. 토양수분 potential이 3kPa에서는 물의 이동이 거의 없는 토양들이 있었는데 반해 남계통을 비롯한 학곡통, 회곡통, 백산통, 상주통, 석천통, 예산통 등 7개의 토양은 3kPa에서도 약간의 물의 이동이 있었다. 이는 모암이 화강 편마암인 관계로 토양 내에 물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자갈의 함량이 높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되고 추후의 연구에서는 이 부분에 대한 내용도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1kPa에서 물의 이동은 삼각통에서 35.21 cm/day로 이동 속도가 가장 컸으며 그 뒤로 예산통, 화봉통, 학곡통, 백산통 등이 토양에서 빠른 속도로 이동하였다. 가천통이나 석천통 및 우곡통은 1kPa에서의 이동 속도가 아주 느린 토양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포화되지 않은 상태인 1kPa에서 물의 이동 속도를 VGM 모형에 의해 예측된 값과 측정된 값으로 비교하였을 때 불포화 수리 전도도가 예측되지 않은 토양(석천통, 지곡통, 풍천통)이 존재하여 불포화 수리 전도도 특성평가에 대한 VGM 모형의 적용성에 문제를 보였다. 이는 결과적으로 논이라는 영농형태가 존재하는 우리나라에서 토양의 수리적 특성해석을 위한 VGM 모형의 적용성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 PDF

Soil Problems and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of the Reclaimed Land in Korea (한국의 간척지에서 토양 문제와 농업 용수 관리)

  • Jung, Yeong-Sang;Yoo, Chul-Hyu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0 no.4
    • /
    • pp.330-348
    • /
    • 2007
  • Soil problems and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of the reclaimed land in Korea were reviewed through research results conducted in RDA and ADC. According to the Korean Soil Classification and Soil Survey(NIAST, 2002), the 5 soil orders with the 45 soil series were distributed on the fluvio-marine or marine deposit of the west and south coastal plains. Yeompo, Munpo, Hasa, Gwangwhal, and Poseung soil series were most commonly distributed soil on the fluvio-marine deposits, associated with tideland of the sea coast. Former 4 soils were Entisols, and the latest one was the Inceptisols. Buyong soil associated with Poseung series was an Alfisols. Extent of Myeongji soil, a Molisols, and Yongho soil, a Histosol, were minor. Salinity control and management problems were closely related with high water table and low percolation rate due to plow-pan layer developed during the leaching process in the silty textured soil. For evaluation of field salinity, use of an electromagnetic inductance, EM38, with GPS was helpful to understand salinity status and field variability. Deep plowing, subsoiling and drainage improvement by tile drainage might be effective in paddy with plow-pan. New technology such as variable rate fertilization might save fertilizers and thus reduce environmental impact of agriculture on water quality. Water quality of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in reclaimed land was less adequate than that of inland water resources. Proper crop management is necessary depended upon quality for crop growth as well as to match with water quality target.

Topographic Characteristics, Formation and Classification of Soils Developed in Limestone -II. Clay Mineralogical Properties, Formation and Classification of Limestone Soils from Yeongweal Area of Gangweon-Do (석회암(石灰岩) 토양(土壤)의 지형적(地形的) 특성(特性)과 생성(生成) 및 분류(分類) -II. 강원도(江原道) 영월지역(靈越地域) 석회암(石灰岩) 토양(土壤)의 점토광물특성(粘土鑛物特性)과 생성(生成) 및 분류(分類))

  • Jung, Sug-Jae;Kim, Tai-Soon;Kim, Young-Ho;Moon, Joo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23 no.1
    • /
    • pp.1-7
    • /
    • 1990
  • Clay mineralogical properties, soil formation and classification for the limestone derived soil were discussed from the 4 soil series, Pyeongchang, Anmi, Yulgog, and Mungyeong, distributed over the area of Bangjeol-Ri, Yeongweol-Eup, Gangweon-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Kaolinite and Al-interlayered vermiculite were the main clay minerals and other minerals were illite, vermiculite, and chlorite. 2. CEC of topsoil ranged from 10.5 to 22.9me/100g and that of sub-soil ranged from 10.0 to 23.8me/100g. CEC seemed to be increased with descending from topograpical position and had slight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3. Lithologic changes as a runction of soil depth showed smooth change for Pyeongchang, discontinuity for Anmi, unpredictability for Yulgog, and uniformity for Mungyeong series. 4. According to the new system of soil taxanomy Pyeongchang series was classified as Typic Hapludalfs, Anmi as Fluventic Eutrochrepts, Yulgog as Fluvaquentic Eutrochrepts, and Mungyeong as Aeric Haplaquep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