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토심

검색결과 379건 처리시간 0.032초

Soil Air CO2 Concentrations in a Spruce-Fir Forest, Maine, USA

  • Son, Yow Han;Fernandez, Ivan J.;Kim, Zin-Suh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2호
    • /
    • pp.177-182
    • /
    • 1992
  • 미국 Maine 주 저지대 가문비나무-젓나무 경제림 지역의 spodosol 토양의 2개의 토심(O와 B층)에서 토양공기 $CO_2$ 농도를 측정하였다. $CO_2$ 농도 측정은 Draeger 직독(直讀) chromatography법과 가스주입기를 이용한 gas chromatography 법의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1991년 생육기 동안의 토양공기 $CO_2$ 농도(%)의 평균값은 Draeger법으로 측정된 O층의 0.11로부터 gas chromatography법으로 측정된 B층의 0.29사이의 분포를 보였다. B층과 O층 모두에서 Draeger법에 의한 토양공기 $CO_2$의 농도가 gas chromatography법으로 측정된 값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두 방법에 의해 측정된 값들 상호간에는 두 층 모두에서 고도의 상관관계 (p<0.01)를 보였으며, 시간변화에 따른 변화 유형 역시 평행적인 관계를 보여 주었다. 토양공기 $CO_2$ 농도는 토양온도와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상관계수의 값은 선발된 측정방법 및 토층에 따라 0.13-0.32의 값을 나타냈다.

  • PDF

산사태 취약성 분석: ASTER 위성영상을 이용한 점토광물인자 추출 및 공간데이터베이스의 SVM 통계기법 적용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 SVM Application of Spatial Databases Considering Clay Mineral Index Values Extracted from an ASTER Satellite Image)

  • 남경훈;이명진;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26권1호
    • /
    • pp.23-32
    • /
    • 2016
  • ASTER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팽창성 점토광물인 일라이트 인자 추출 및 SVM 통계분석을 통해 산사태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연구지역의 산사태 발생지역은 항공사진 판독 및 현장 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GIS 기반 공간데이터베이스로는 지형도, 토양도, 임상도, ASTER 위성사진을 이용하였다. 수치지형도에서는 경사 및 경사방향, 곡률도, 계곡과의 거리, 도로와의 거리, 토양도에서는 유효토심, 토질, 토양지형, 토양 배수정도 및 토양 모재, 임상도에서는 경급, 영급 및 밀도를 위성사진에서는 일라이트 인자를 추출하였다. 산사태 발생요인 데이터베이스와 SVM 통계분석 및 가중치 계산을 통해 각 요소간의 상관관계 취약성도를 구하였다. AUC 검증 결과 일라이트 인자 적용결과는 76.46%의 예측 정확도를 보였으며 일라이트 인자 미적용 모델은 74.09%의 예측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일라이트 인자가 산사태 취약성도 작성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옥상녹화용 식생매트에 적합한 토양과 토심 선정 (Soil Mixtures and Depths Selection for Mat-Type Rooftop Greening)

  • 이은희;강규이;신상희;남미아;이광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2-2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suitable planting base for the mat-type rooftop greening in order to popularize rooftop greening system easil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2004 June to 2005 May under several conditions; 4 soil depths under mats(2cm, 5cm, 10cm, 15cm), two soil mixtures(natural soil 80%+leaf mold 20%, artificial soil) and two light conditions(full sun place, 20% shaded place). In this experiment, 3 types of mats were used ; the herbaceous plants mat(11 plants inclusive of Lotus corniculatus L., Silene armeria L.), the lawn mat with Festica arundinacea and Sedum mat with Sedum kamtschaticum, Sedum sarmentosum, Sedum oryzifolium, Sedum middendorffianum. The result is as follows; in the mat-type rooftop greening, the herbaceous plants mat, lawn mat and sedum mat are the similar number of plant and effect of greening on soil depth 2cm, 5cm and 10cm, 15cm. So suitable soil depth of rooftop greening is 10cm for the load and economical factor. Thus the mat-type rooftop greening possible planting base depth of all 13cm as soil depth 10cm and mat depth 3cm. As soil mixtures, the number and growth of plants were better mat and 'natural soil 80% +leaf mold 20%' than mat and artificial soil. In herbaceous plants mat, Silene armeria L., Dianthus chinensis, Centaurea cyanus L., Lotus corniculatus L. are survival in full sun place and Silene armeria L., Dianthus chinensis, Centaurea cyanus L. are survival in 20% shaded place. In conclusion, selection of suitable soil mixtures and plants is possible extensive management rooftop greening with effect of continuous greening. The mat-type rooftop greening are lightweight and simple preparation without management and can popularize readily.

GIS와 원격탐사를 이용한 강릉지역 산사태 연구($\textrm{I}$) -산사태 발생 위치와 영향 인자와의 상관관계 분석 (Study on Landslide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at the Kangneung Area($\textrm{I}$)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Landslide Location and Related Factors)

  • 이명진;이사로;원중선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4호
    • /
    • pp.425-436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2002년 태풍 루사로 인해 강릉지역에서 발생한 산사태와 관련 요인들 간의 공간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산사태 위치는 위성영상 및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탐지하였다. 지형도, 토양도, 임상도, 지질도, 토지피복도 등을 GIS를 이용하여 공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었고,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경사, 경사방향, 곡률, 수계, 지형 종류, 토질, 토앙모재, 토앙배수, 유효토심, 임상종류, 임상경급, 임상영급, 임상밀도, 암상, 토지피복도, 선구조도 등이 산사태 발생요인으로 이용되었다. 빈도비 모델을 이용하여 산사태와 발생 요인 간의 공간적 관계를 추출하였다. 그 결과인 공간적 상관관계는 2002년 루사로 인한 산사테의 특성을 설명하고, 산사태 취약성도를 작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분포형 유출모형의 초기토양함수상태 자동보정 기법 개발 (A Development of Auto-Calibration for Initial Soil Moisture Condition in Distributed Runoff Model)

  • 박진혁;차기욱;류경식;허영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971-97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격자강우량과 GIS와 연계한 격자기반의 공간수문자료들을 모형의 입력매개변수로 활용하고, 수계망을 통하여 유역 출구까지 운동파(kinematic wave)이론에 의해 유출량을 물리적으로 추적해 나가는 격자기반의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인 K-DRUM(Kwater Distributed RUnoff Model)을 개발하였고, 지표유출량에 가장 큰 영향을 주지만 실제 관측 및 적용이 용이하지 않은 유역의 초기토양함수상태에 대한 자동보정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자동보정기법을 이용하여 남강댐유역을 대상으로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연구에서 사용한 강우사상은 남강댐 유역에 큰 영향을 준 태풍 루사 (2002년 8월 31일 01시$^{\sim}$9월1일 23시), 태풍 매미 (2003년 9월 12일 01시$^{\sim}$9월13일 23시), 2004년의 대류성강우 (2004년 7월14일 01시$^{\sim}$7월 16일 10시) 및 태풍 에위니아 (2006년 7월 8일 18시$^{\sim}$7월11일 12시)의 총 4개의 사상을 대상으로 하였다. 개발한 유역의 초기토양함수상태 자동보정기법에 의한 유출모의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모의에 사용된 매개변수 중 토지피복도에 의해 결정되는 조도계수와 토양도에 의해 결정되는 유효토심, 흡인수두계수, 공극률 및 투수계수는 4개의 강우사상에서 모두 동일한 조건으로 설정하였고, 유역내 토양 내부 수분함유량 산정을 위한 초기 기저유출량은 검토대상 기간 시점부에서 관측된 유출량으로 설정하였다. 초기토양함수상태 자동보정기법 적용을 통한 유출해석의 정확도는 체적오차 백분율(VER)과 첨두 유량 오차 백분율(QER)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 모형이 유출량에 대한 정확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자동보정 기법을 적용한 결과, 초기토양조건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시행착오법으로 인해 소요되는 시간과 유역내 토양 특성과 지형형상을 고려하지 않는 설정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유출계산 결과도 유량의 크기와 첨두시간 모두 관측값과 비교적 잘 맞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신개간지에서 삼요소와 토양개량제 시용방법이 율무수량과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Application Methods of NPK Fertilizer and Ameliorator on Job′s Tears(Coix Lacryma-Jobi L.) Yield and Soil Properties at Newly-reclaimed Land)

  • 허봉구;한영희;김주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75-179
    • /
    • 1994
  • 신개간지에서 삼요소비료시용시 몇가지 물리화학적인 개량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함으로써 율무재배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신개간지에서 율무를 1985년부터 4년간 재배하면서 율무에 대한 삼요소의 수량반응과 토양특성 변화를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율무의 초장은 종합개량처리구에서 가장 컸는데 2년차까지는 컸으나 3년차부터는 작아졌다. 2. 율무수량은 종합개량처리가 평균 2.16 t/ha로 가장 많고 삼요소 시용 대조구에 비하여 49% 증수되었으며 다른 처리구의 수량은 심경구>인산구>석회구>퇴비구>대조구 순으로 많았다. 3. 토양의 용적밀도나 경도는 표토에서 3년차까지 계속 낮아지다가 개량제 시용이 없었던 4년차에는 높아졌다. 토양산도는 토심이나 년차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생태면적률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단지내 일조조건 분석을 중심으로- (Study of Improving the Biotope Area Ratio System for Urban Agriculture Vitalization - Focus on Daylight Condition Analysis-)

  • 이건원;정윤남;민병학;김세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393-7402
    • /
    • 2014
  • 본 연구는 최근에 높아지고 있는 도시농업 요구에 건축, 도시분야가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서 법제도적 장치로서 기존에 활용도가 높은 생태면적률의 개선에 주목한 연구이다. 기존의 생태면적률은 여러 작물생장조건 중 토심과 투수만을 다룬 지표로 조경식재 등의 관리에는 활용될 수 있으나 도시농업의 주요요소인 작물을 다루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설을 증명하고 그 개선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실제로 생태면적률 지표만으로 작물생장까지를 다루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실제 단지계획상에서의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생태면적률에 빠져 있는 작물생장 조건 중 가장 중요한 일조를 중심으로 생태면적률 개선의 가능성 및 개선 방향을 타진했다는 점에서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옥상녹화에서 토심, 토양배합비 및 지피식물에 따른 식재지반 수분 및 온도변화 (Change of the Moisture and Temperature in Planting Ground as Effected by Different Soil Thickness, Soil Mixture Ratios and Ground Cover Plants in the Green Roof System)

  • 주진희;윤용한
    • KIEAE Journal
    • /
    • 제10권3호
    • /
    • pp.11-16
    • /
    • 2010
  • This paper h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soil moisture volume and temperature of architecture by planting ground(soil thickness and soil mixture ratio) and ground cover plants(Sedum sarmentosum, Zoysia japonica, Chrysanthemum zawadskii) for middle region green roof system. For this, a test was conducted on the roof of Konkuk University building from April 2009 to October 2009. In terms of treatment, five types(SL,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 depending on soil mixture ratio and two types(15cm, 25cm) by soil depth were created. Results of soil moisture volume by soil mixture ratio in the 15cm soil thickness showed that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ce between simple soil and mixture soil treatment, howeve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recognized according to soil mixture ratio. In case of 25cm soil thickness, soil moisture volume by soil mixture ratio was more higher 7Vol.%~10Vol.% in the mixture soil than simple soil treatment. In terms of districts planted ground cover plants, soil volume moisture differed among plants in the order Zoysia japonica 17.74 Vol.%$34.86^{\circ}C$, district non-planted $27.49^{\circ}C$, Sedum sarmentosum $25.11^{\circ}C$, Chrysanthemum zawadskii $23.08^{\circ}C$, Zoysia japonica $24.45^{\circ}C$ respectively So, concrete surface showed more higher $5^{\circ}C{\sim}15^{\circ}C$ than other things among the all the time. Result of inner temperature of the architecture and soil, it was measured inner of architecture $25.69^{\circ}C$, inner district non-planted $24.29^{\circ}C$, Chrysanthemum zawadskii $23.90^{\circ}C$, Zoysia japonica $24.02^{\circ}C$, Sedum sarmentosum $25.13^{\circ}C$, respectively.

CART기법과 보조자료를 이용한 토양수분 추정 (Soil Moisture Estimation Using CART Algorithm and Ancillary Data)

  • 김광섭;박한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7호
    • /
    • pp.597-60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역에 대한 토양수분 분포도 작성을 위하여 지상관측 토양수분, 강수량, 지면온도, NDVI, 토지피복, 유효토심 등과 같은 보조자료와 CART기법을 이용한 새로운 추정기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신뢰성 높은 토양 수분 관측자료를 가진 용담댐 유역(4개 지점)에 대하여 토양수분을 추정하여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3개 지점(부귀, 상전, 천천2)의 토양수분 관측치는 토양수분 추정 모형 수립에 사용하였으며, 검증에 1개 지점(계북2)이 사용되었다. 관측지점들의 토양수분의 관측치와 추정치 사이의 상관계수가 약 0.737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토양수분의 거동을 잘 나타내고 있어 토양수분 추정 모형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용담댐 유역의 토양수분 분포와 우리나라 전역에 대한 토양수분 분포도를 추정하였다. 다양한 지상조건에 대하여 신뢰할 수 있는 지상관측 토양수분 관측치가 존재하지 않는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시된 토양수분추정방법은 제한된 가용자료를 사용한 우리나라 전역의 토양수분 추정에 있어 합리적인 접근법이라 판단된다.

인공지반 녹화용 방수방근 복합공법의 시공환경을 고려한 성능평가 시스템 연구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Environment of the Unified Waterproofing-Root Resistance Membrane layer of the Green Roof System)

  • 박창화;오상근;임남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89-199
    • /
    • 2011
  • 도심지 환경 개선을 위한 인공지반녹화(옥상녹화 등)사업의 확대 보급을 위해서는 옥상부 구조체의 장기적 안정성을 보증할 수 있는 안전한 방수방근층을 구성하여야한다. 따라서 인공지반 녹화용 방수방근층은 식물 뿌리의 침입으로부터 안전해야 하며, 녹화부의 잔류수 및 침체수 등에 대해 장기적으로 수밀해야 하며, 식물 성장에 필요한 비료 등의 화학물질 및 기타의 화학성분에 장기적으로 안전해야 하며, 시공 시에 발생하는 각종 공구류, 설비류, 가설물에 의해 손상되지 않아야 하고, 식재 및 토심의 하중, 설비류의 하중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종합적 성능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옥상녹화 현장의 환경 조건을 대상으로 방수방근층의 환경 성능 지표를 설정하였고, 이와 관련한 방근성능, 수밀성능, 내움패임 저항성능, 충격저항성능, 내화학성능을 방수방근층의 요구 성능으로 정하였으며, 그와 관련한 평가 방법을 제시하고, 실무적인 검증 시험을 통하여 복합 방수방근층의 성능 평가 시스템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