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성분석

검색결과 320건 처리시간 0.03초

청미천 산림사면에서의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에 대한 지형 및 토성인자들의 영향 (The impact of topography and soil property to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soil moisture at a Forest Hillslope in the Cheong-Mi Catchment)

  • 곽용석;장은세;김상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472-472
    • /
    • 2015
  • 토양수분은 수문학에서의 물 순환을 비롯한 여러 다양한 자연과학적 분야에 중요한 인자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사면인 지형학적, 토양학적으로 복합적이고, 불균질한 작은 산지사면에서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에 대한 지형, 토성인자의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토양수분은 TDR방식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안정적으로 측정이 되었으며, 각 영향인자들은 사면의 지형분석 및 토성분석을 실시하여 확보되었다. 지형인자는 습윤지수, 기여사면면적, 지역적 경사 그리고 토양깊이 인자이며, 토성은 모래, 실트, 점토함량, 가밀도 값을 이용하였다. 사면의 측정된 토양깊이별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변동에서의 각 인자와의 상관분석 및 다변량 분석을 통해, 각 영향인자들의 관련성 평가하였다. 사면 전체측정지점들의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와 영향인자의 상관분석을 통해서 토양수분의 결정에는 지형보다는 토성의 영향이 지배적으로 나타났지만, 모래함량이 높은 토성을 가진 측정지점들에 한해 분석한 결과에서는 지형의 영향은 증가하였고, 토성의 영향은 오히려 줄어들었다. 토양깊이별 상관분석에서는 토양깊이 10cm의 각 인자와의 관련성이 30, 60cm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수분변화에 따른 각 인자와의 상관계수 변화는 토양수분이 약 28~32%정도의 포화되기 전의 습윤한 조건일 때, 각 인자들과의 상관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한 등산로 훼손요인 분석: 고루포기산~생계령 대상으로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iking Trails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cus on Golupogisan~Saenggyelyeong)

  • 최태헌;김준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4호
    • /
    • pp.478-48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백두대간 등산로 훼손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환경요인을 선정하고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백두대간 고루포기산~생계령 구간 내 표본지 총 123개소이며 등산로 훼손, 임상, 하층식생, 수관밀도와 FGIS를 통해 얻은 경사, 토성, 암석노출 총 7가지 정보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등산로 훼손 발생지 43곳과 미발생지 80곳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등산로 훼손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환경요인으로 경사도, 하층식생, 토성, 암석노출 총 4가지를 선정하였다. 경사도와 하층식생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암석노출은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토성은 미사 비율이 낮고 모래 비율이 높은 토성일수록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등산로 훼손을 줄이기 위해서는 경사도, 하층식생, 토성, 암석노출 4가지 자연환경요인들을 적절하게 관리하여야 한다.

행성탐사선과 지상관측에 의한 목성, 토성, 타이탄 분광 탐사

  • 김상준
    • 천문학회보
    • /
    • 제43권1호
    • /
    • pp.71.1-71.1
    • /
    • 2018
  • 천문학자들에게 분광관측은 천체를 연구하는데 가장 강력한 방법이다. 태양계 바깥쪽에 위치한 목성, 토성, 타이탄 연구도 분광관측은 행성천문학자들에게 매우 유용하여 대형 지상 망원경을 사용한 분광 관측과 더불어 행성탐사선들에 장착된 분광기를 사용하여 새롭고 유용한 과학적 정보를 얻어왔다. 본 발표에서는 20세기 말에 시작된 탐사선을 이용한 외행성계 탐사와 지상관측 결과를 리뷰하고 얼마 전 토성 탐사를 마친 카시니 탐사선, 현재 목성에서 활약하고 있는 주노 탐사선, 이들과 병행하여 수행되었고, 수행되고 있는 지상 분광관측 결과를 소개한다. 목성, 토성, 타이탄 탐사는 미국과 서구유럽에 의해 주도적으로 수행되어 왔는데, 지금까지의 탐사선들과 지상관측으로 축적된 자료들에 대한 정밀 분석과 비판적 검토를 수행하면 우리나라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에 포함 되어 있는 행성탐사계획의 최적화된 방향 결정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OSL 연대측정을 통한 풍납토성 축조연대 산출 (Evaluation of construction era of Pungnabtoseong earthen wall, Seoul by using OSL dating)

  • 김명진
    • 분석과학
    • /
    • 제25권5호
    • /
    • pp.324-332
    • /
    • 2012
  • 백제 한성기의 왕성으로 알려진 풍납토성의 축조연대는 고고학 분야의 대표적인 논쟁사항 중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풍납토성의 축조연대 편년을 위해 7 개의 토기 시료에 대하여 OSL 연대측정을 수행하였다. 연대측정에 앞서 TL/OSL 신호 관찰 및 절대영년도 평가, 재현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풍납토성 토기 시료는 절대영년이 완벽히 이루어졌으며 고고선량은 $220^{\circ}C$ 열전처리 온도의 단일시료재현법으로부터 신뢰도 높은 값이 산출되었다. 산출된 고고선량을 연간선량율로 나누어 풍납토성 토기 시료의 OSL 연대를 결정하였다. 풍납토성의 축조연대 편년을 위해 각 토기 시료의 OSL 연대와 고고학적 맥락, 14C 연대 등을 종합하여 판단한 결과, 풍납토성의 초축시점을 $294{\pm}52$ yrs AD ($1{\sigma}$ SE), 제 III 단계 증축을 $328{\pm}30$ yrs AD ($1{\sigma}$ SE), 최종성벽의 완성을 $400{\pm}76$ yrs AD ($1{\sigma}$ SE)로 비정하였다. 따라서 풍납토성은 서기 3세기 후반에 초축된 이후 475년 백제의 웅진천도 이전까지 여러 번의 중축 및 개축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토성 판정을 위한 비중계방법 개선연구 (A More Simplified Hydrometer Method for Soil Texture Analysis)

  • 현병근;김무성;엄기철;조인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53-159
    • /
    • 2000
  • 토성분석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표준비중계법 (Standard Method ; SM)과 개선비중계법(Simplified for Soil Texture Analysis ; SSTA)및 간이계산법(Simplified Clay Fraction Piocedure;SCFP)간의 $2{\mu}m$ 점토함량을 비교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사용된 시료는 점토함량이 2~40% 내외의 토양 28점이었다. 현재 국내사용 표준방법은 particle size Distribution을 위한 것이지, 토성판정을 위한 $2{\mu}m$ 점토함량을 계산하는데는 약간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표준분석법과의 상관을 볼 때는 개선비중계법과 간이계산법 모두 1.0에 가까운 상관계수를 보였으나, 간이계산법의 경우 표준분석 법보다는 $2{\mu}m$ 점토함량이 0~2%정도 높게 평가 되었다. 또한 분석한 시료의 토성판정결과 표준분석법과 개선비중계법은 28점 모두 동일한 결과를 얻었으나, 표준분석법과 비교할 때 간이계산법은 28점중 4점이 다른 토성으로 판정되었다. 그러므로 표준분석법 방법보다는 개선비중계법 방법이 $2{\mu}m$ 점토함량을 측정하는데 더 신속하고 정확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서울 백제역사유적지 관리를 위한 현존식생과 과거 대상식생 비교 연구 - 풍납토성(風納土城)과 몽촌토성(夢村土城)을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f Actual Vegetation and Past Substitutional Vegetation to Baekje Historic Site in Seoul - Focusing on Pungnaptoseong(風納土城) and Mongchontoseong(夢村土城) -)

  • 차두원;오충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4-80
    • /
    • 2022
  • 유적지의 식생은 일부 과거부터 잔존하는 식생형태이지만 근·현대 이르러 산업화에 따른 도시개발로 인해 식생과 지형이 변형되거나 훼손이 많아졌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유적지 내 잔존하는 식생과 경관을 지표로 참고하여 복원 및 관리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 백제역사유적지인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을 대상으로 입지 특성, 현존식생, 과거 대상식생의 잔존식생을 비교·분석하여 서울 백제역사유적지 식생 및 경관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의 입지 특성은 한강 본류 부근에 위치하며 풍납토성은 자연제방과 범람원으로 구성된 평지에, 몽촌토성은 구릉지에 입지하고 있다. 현존식생의 경우, 풍납토성은 조경수목식재지가 주로 나타나는 반면 몽촌토성은 마을과 구릉 저지대에 생육하는 과거의 잔존수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과거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주민들에 의해 관리된 대상식생은 입지 특성과 현존식생을 바탕으로 종합한 결과 구릉지에는 갈참나무, 신갈나무 등, 건조지에는 소나무, 하천 및 지류에는 버드나무, 가래나무, 오리나무, 산림 주연부에는 상수리나무, 마을 초입에는 신목으로 소나무, 버드나무, 느티나무 등이 분포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1960년대 이후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내에 외래수종의 도입과 시가지 조성 등으로 과거의 대상식생은 모두 사라졌으며 경관 또한 훼손되었다. 다행히도 성벽을 따라 일부 분포하는 잔존수종과 기후, 입지 특성, 시대상을 고려하여 대상식생을 추정하였으나 본 연구는 문헌과 현존식생 조사를 중심으로 진행된 연구이므로 향후 식물 유체 분석 등 정량적인 실험을 통해 서울 백제역사유적지 내 과거의 대상식생을 보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토성(土城)의 공간구조 특성 연구 (A Study on Spatial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Earthen Walled Fortresses)

  • 이상석;장미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4-8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지형에 의한 입지, 평면 및 단면 형태 등 토성의 공간구조적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사적이나 시도기념물로 지정된 37개소의 토성을 대상으로 문헌연구, 현장조사, 지형자료조사, 지형과 공간구조와의 관계 분석이 이루어졌다. 토성의 공간구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지형 토성은 강이나 천과 같은 수계와 인접하였으며, 토성의 평면 형태는 정형적이었으며, 토루의 단면 형태는 단일경사의 사다리꼴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구릉지형 토성은 1.5km이하의 근거리에 수계가 존재하는 곳이 70%이상을 차지했다. 평면 형태는 부정형이 73%이상으로 가장 많았고, 토루의 단면 형태는 테두리형과 산탁형이 86%이상을 차지하였다. 셋째, 산지형 토성은 1.5km이하의 근거리에 수계가 존재하는 곳이 59%이하로 평지형이나 구릉지형에 비해 외부 수계의존도가 낮았다. 평면 형태는 부정형이 67%이상으로 주류를 이루었으며, 토루의 단면 형태는 단일경사방식의 테두리형과 산탁형이 94%이상으로 나타났다.

자탈 콤바인용 수분 센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The Basic Study on Development of Moisture Sensor for Head-feeding Combine)

  • 정인규;이충근;김상철;성제훈;박우풍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2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0-375
    • /
    • 2002
  • 동일한 포장내에서도 위치별로 토성과 비옥도에 따른 수확량에 서로 차이가 있으나 현재는 비료와 농약 등을 전체 포장에 대하여 동일한 기준으로 다량 살포하고 있어 농자재의 과다투입에 의한 환경오염이 초래되고 있다. 이러한 불합리한 영농을 배제하고 친환경적인 정밀농업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작물재배 환경에 따른 포장 각 지점의 수확량을 정확히 계측하여, 수확량과 토성이나 토양의 비옥도, 생육상태, 균평도 등과 같은 포장정보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비료 농약의 적절한 투입량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략)

  • PDF

토성(土性)에 따른 시호(柴胡)의 생육(生育) 및 Saikosaponin 함량(含量) (Effect of Soil Textures on Growth and Saikosaponins Content in Bupleurum falcatum L.)

  • 성낙술;김관수;소은희;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93-197
    • /
    • 1994
  • 토성(土性)에 따른 시호(柴胡)의 생육특성(生育特性)과 saikosaponin 함량(含量) 변이(變異)를 조사(調査)하여 시호(柴胡) 재배(栽培)에 있어서 토성(土性)이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아보고자 본(本) 실험(實驗)을 수행(遂行)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토성(土性)에 따른 시호(柴胡)의 생육량(生育量)은 사양토(砂壤土)와 양토(壤土)에서 양호(良好)하였고 근수량(根數量)은 사양토(砂壤土)에서 가장 좋았다. 2. 시호근(柴胡根)의 총(總) saikosaponin 과 엑스함량(合量)은 식양토(埴壤土)에서 가장 높았다. 3. 1년생(年生)과 2년생(年生) 모두 토성(土性)에 따른 생욱특성(生育特性)과 성분함양(成分含量)은 동일(同一)한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2년생(年生)의 생육(生育) 및 근수량(根收量)이 1년생(年生) 보다 높았으나 엑스 및 saikosaponin 함량(含量)은 낮았다. 4. 각(各) 생육요소(生育要素)와 엑스 및 saikosaponin 함량(含量)과의 교관분석(橋關分析) 결과(結果) 고도(高度)로 유의(有意)한 부(負)의 상관(相關)을 나타냈다.

  • PDF

풍납토성 성벽 토양의 성분 특성 연구 (Compositional Characterization Analysis of Wall Soils Excavated in Poongnatoseong Earthen Castle, Seoul)

  • 서민석;이한형;허준수;김수경;유영미;이성준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4호
    • /
    • pp.114-12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풍납토성 동성벽 내부토양을 대상으로 색도색차계, XRD, 입도분석기 등을 이용하여 색도, 입도, 주요화학조성, 광물결정구조 등을 분석하였다. 성벽토양은 황갈색, 회황색의 모래 또는 실트질 모래(SW~SC)로 분류되고, 입도와 화학 광물학적 특성이 유사하며, 도로나 활주로 등의 성토재료로 적합한 특성임이 확인되었다. 색도, 입도, 화학조성, 강열감량의 4인자를 기준으로 비교분석한 결과, 풍납토성이 위치한 지역의 대조군 토양(PNS)은 성벽축조에 사용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한다. 모든 토양은 풍납토성이 위치한 지역과 지질학적으로 유사한 곳에서 채굴되었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성벽 축조 이전에 분포했던 구지표면의 토양과는 다른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유적 주변에 대량채굴이 가능했던 토양분포지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향후 성벽 축조재료의 여러 특성들을 비교 분석하면, 성벽 내부토양의 산지, 축조방법, 보수방법 및 시기 등을 보다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