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석류 특성

Search Result 156,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Numerical Modeling for the Detection of Debris Flow Using Detailed Soil Map and GIS (정밀토양도와 GIS를 이용한 토석류 발생지역 예측 분석)

  • Kim, Pan Gu;Han, Kun Ye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7 no.1
    • /
    • pp.43-59
    • /
    • 2017
  • This study presents the prediction methodology of debris flow occurrence areas using the SINMAP model. Former studies used a single calibration region applying some of the soil test results to predict debris flow occurrence in SINMAP model, which couldn't subdivide the soil properties for the target areas. On the other hands, a multi-calibration region using a detailed soil map and soil strength parameters (c, ${\phi}$) for each soil series to make up for limitation of former studies is proposed. In this process, soils with soil erodibility factor (K)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1) gravel and gravelly soil. 2) sand and sandy soil, and 3) silt and clay. In addition, T/R estimation method using mean elevation of target area instead of T/R method using actual occurrence time is suggested in this study. The suggested method is applied to Seobyeok-1 ri area, Bonghwa-gun where debris flow occurred.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wo T/R estimation method, both T/R estimations are almost equal. Therefore, the suggested methodologies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set up the national-wide mitigation plan against debris flow occurrence.

Development of a Prediction Technique for Debris Flow Susceptibility in the Seoraksan National Park, Korea (설악산 국립공원 지역 토석류 발생가능성 평가 기법의 개발)

  • Lee, Sung-Jae;Kim, Gil Won;Jeong, Won-Ok;Kang, Won-Seok;Lee, Eun-Ja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10 no.1
    • /
    • pp.64-71
    • /
    • 2021
  • Recently, climate change has gradually accelerated the occurrence of landslides. Among the various effects caused by landslides,debris flow is recognized as particularly threatening because of its high speed and propagating distance. In this study, the impacts of various factors were analyzed using quantification theory(I) for the prediction of debris flow hazard soil volume in Seoraksan National Park, Korea. According to the range using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order of impact factors was as follows: vertical slope (0.9676), cross slope (0.6876), altitude (0.2356), slope gradient (0.1590), and aspect (0.1364). The extent of the normalized score using the five-factor categories was 0 to 2.1864, with the median score being 1.0932. The prediction criteria for debris flow occurrence based on the normalized score were divided into four grades: class I, >1.6399; class II, 1.0932-1.6398; class III, 0.5466-1.0931; and class IV, <0.5465. Predictions of debris flow occurrence appeared to be relatively accurate (86.3%) for classes I and II. Therefore, the prediction criteria for debris flow will be useful for judging the dangerousness of slopes.

Influenced o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on Debris Flow Occurrence (토석류 위험지역에 영향하는 산림환경 특성 분석)

  • Park, Jae-hyeon;Kang, Min-Jeong;Kim, Ki-D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4 no.3
    • /
    • pp.403-410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fores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a total of 20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debris flow against 272 sites of risk areas. In the case of environmental factors, it showed the high risk of debris flow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such as soil depth of less than 30cm, west slope, altitude of 200~300 m, mountain average slope of $25{\sim}30^{\circ}$, sandy loam, igneous rocks, and composite slope. Among the rainfall factors, 50~100 mm of maximum hourly rain fall and 300 mm of maximum rain fall per day have been shown the high risk of debris flow. Furthermore, the high risk of debris flow was related to the river-bed average slope of $10{\sim}20^{\circ}$, the river-bed average width of >10 m, the small amount of debris in river-bed (less than 20% of river-bed structure), the drainage density of >$1km/km^2$, the 40~60% of area with more than $20^{\circ}$ slope, and the 40~60% of areas with risk grade 2 of landslide. In addition,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the driftwood, soil erosion control structures, age-class 3, crown density (density), and mixed forest were important factors causing the high risk of debris flow.

A Study on Debris Flow Landslide Disasters and Restoration at Inje of Kangwon Province, Korea (2006년 강원도 인제지역의 토석류 산사태 수해 및 복구에 관한 연구)

  • Lee, Cheol-Ju;Yoo, Nam-J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9 no.1
    • /
    • pp.99-105
    • /
    • 2009
  • The main purpose of this work is to analyse damages caused by debris flows during the heavy rainfalls at Inje of Kangwon Province, Korea. A series of site investigations have been carried out to survey the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s occurred during the summer season of 2006. It has been found that major losses in human life and property are caused by discharge of soil and rock fragments from landslides. During the rainfall high precipitation rate of 113.5 mm/hour and 355 mm/day was recorded, which could happen at 80-500 year period. Comparing the rainfall record with the time of landslides being occurred, occurrence of the landslides is directly related to heavy rainfalls. At present, several debris barriers have been built at the valleys and natural slopes have been protected by the seed spray method. It is intended to propose an alternative of restoration of landslide damages and maintenance based on findings from the current study.

Numerical Simulation of Alluvial Fan Formed by Sediment Inflow (유사의 유입에 의한 충적 선상지(沖積 扇狀地) 형성에 관한 수치모의)

  • Jang, Chang-L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618-622
    • /
    • 2006
  • 충적 선상지(alluvial fan)는 자갈이나 유사가 과도하게 이송되어 부채모양으로 퇴적된 것으로서, 하류로 하폭이 증가하는 곳에서 형성된다. 충적 선상지는 유사가 이송하는 하천, 토석류, 그리고 박층류에 의해 형성된다. 토석류는 자갈에서부터 상대적으로 작은 진흙에 이르기까지 운반하는 밀도체이다. 충적하천의 흐름은 사행하천 및 망상하천에 이르는 흐름을 말하며, 박층류는 기본적으로 비하천 홍수류로서, 한 홍수사상에 대하여 선상지에서 부분분할로 형태로 흐른다. 본 연구에서는 충적 선상지에 대한 공학적인 문제를 검토하기 위한 예비연구로서 유입부에서 유사량의 유입조건에 따른 충적 선상지 델타의 형성 과정을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파악하였다. 본 모형은 2차원 모형으로서, 이동경계좌표계를 사용하였고, 수치해석 기법으로는 CIP법이 이용되었으며, wet/dry를 고려하여, 유입 유사량의 변화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였다. 초기에는 급격하게 선상지의 높이가 급격하게 증가하며, 유입 유사량의 증가에 따라 선상지의 높이가 평형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 짧은 것을 보여주고 있다. 선상지의 면적은 유입 유사량이 적을 경우에는 평형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완만한 증가 현상을 보여주었다. 유입 유사량이 증가할 경우에는 초기에 급격한 상승을 하다가 평형상태가 없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 PDF

Monitoring of Experimental Watershed of Mountainous Rivers (산지하천 시험유역 운영)

  • Lee, Chang-Hun;Youn, Moon-Sang;Choi, H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943-947
    • /
    • 2009
  • 강원지역은 산지가 89%를 차지하고 있어 도로의 대부분이 하천을 끼고 발달되어 있어서 집중호우 시 하천 만곡 수충부에서 급격한 홍수위 상승과 하상세굴이 발생되고 산지의 수로나 계곡 등에서 토석류가 발생되기 때문에 극심한 도로피해가 빈발하고 있다. 산지하천은 지형 및 지질적인 요인으로 경사가 급하고 만곡 수충부가 많이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홍수시 유속이 매우 빠르고 만곡 수충부에서 수위상승과 횡방향 수위 변동이 심하다. 따라서 산지유역의 하천과 도로의 방재설계를 위해 평창 속사천 시험유역의 운영을 통하여 신뢰성 있는 고품질의 산간유역 수문자료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고자 한다. 강우-유출구조 규명을 위한 강우관측소와 수위 관측소 등의 계측시스템을 설치와 실시간 수문관측 자료의 전송 및 정기적인 현장 방문으로 수집된 수리수문자료에대해 DB를 구축을 필요하다. 또한 홍수시 하천으로 유입되는 토석류의 수리특성자료인 조도계수 산정, 분석, 평가를 통해 하천유역내의 수리 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 하천개수 및 하도의 안정 등을 할수 있을 것이다. 수자원개발 및 관리를 위한 하천계획에 필요한 요소 중 유사량을 측정할 수 있는 부유사량 및 소류사량 측정기기를 도입하여 유역의 수문특성에 대한 보다 정확한 규명과 관측된 자료를 이용한 장/단기 수문순환모형의 개발을 위한 검정 및 검증자료의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ransport the Hydrological Property of Debris Accumulation at Flood (홍수시 유송잡물 이동에 관한 수리학적 특성연구)

  • Oh, Chae-Yeon;Jun, Ky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747-1752
    • /
    • 2008
  • 강원도 산간지역에 위치한 소하천의 경우 유송잡물 및 토석류에 의하여 교량이 파괴되거나, 통수능이 작아져 댐의 역할을 하게 됨으로 인해 교량 상류지역이 침수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강원도 산간지역에 설치된 소규모 수공구조물들은 교량의 경우 교각이 많아 경간장이 짧고, 교량 상판이 제방고 보다 낮게 설치되어 있는 등 하천흐름에 장애를 주는 많은 요인들을 내재하고 있어 홍수시 하천유량의 증가에 따른 하천흐름 해석, 유송잡물의 발생원인 및 수공구조물에 미치는 영향들에 관한 판단기준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유송잡물의 발생경로는 대부분 산지계류에서 집중호우시 산사태발생에 따른 유목과 토석류 발생이 주원인이 된다. 또한 유송잡물은 큰 홍수시 고수위가 오랜 시간동안 지속될 경우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 이때 발생한 유송잡물은 개별적으로 이송되고 일반적으로 하천의 중앙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으며 수심이 깊고 유속이 빠른 곳에 집중된다. 또한 유송잡물은 큰 홍수시 고수위가 오랜 시간동안 지속될 경우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 이때 발생한 유송잡물은 개별적으로 이송되고 일반적으로 하천의 중앙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으며 수심이 깊고 유속이 빠른 곳에 집중된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시 유송잡물 이동특성에 대한 국내 외 문헌조사, 현장피해사례조사 및 현장모니터링 조사를 실시하고 1차원 모형인 HEC-RAS와 2차원 모형인 RMA-2를 이용하여 수리모델링 분석에 따른 수치모의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 PDF

Monitoring of Experimental Watershed of Mountainous Rivers (산지하천 시험유역 운영)

  • Kim, Si-Hoon;Park, Ji-Hoon;Choi, He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98-398
    • /
    • 2011
  • 강원지역은 산지가 89%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도로의 대부분이 하천을 끼고 발달되어 있으며 집중호우시 하천 만곡 수충부에서 급격한 홍수위 상승과 하상세굴이 발생되고 산지의 수로나 계곡 등에서 토석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극심한 도로피해가 빈발하고 있다. 산지하천은 지형 및 지질적인 요인으로 경사가 급하고 만곡 수충부가 많이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홍수시 유속이 매우 빠르고 만곡 수충부에서 수위상승과 횡방향 수위변동이 심하다. 본 연구는 한강의 제1지류인 평창강의 상류 속사천에 위치한 시험유역으로 산지유역의 하천과 도로의 방재설계를 위하여 신뢰성 있는 고품질의 산간유역 수문자료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고자 한다. 강우-유출구조 규명을 위한 강우관측소와 수위관측소 등의 계측시스템을 설치하여 실시간 수문관측 자료의 전송 및 정기적인 현장 방문으로 수집된 수리수문자료에 대한 DB구축을 하였으며, 홍수시 하천으로 유입되는 토석류의 수리특성자료인 조도계수 산정, 분석, 평가를 통해 하천유역 내의 수리 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 하천개수 및 하도의 안정 등을 도모 할 수 있다. 수자원개발 및 관리를 위한 하천계획에 필요한 요소 중 유사량을 측정할 수 있는 부유사량 및 소류사량 측정기기를 도입하여 유역의 수문특성에 대한 보다 정확한 규명과 관측된 자료를 이용한 장/단기 수문순환모형의 개발을 위한 검정 및 검증자료의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Hydrological analyses and Bottom Substrate Characteristics of Mountain River Bed (산지하천 수문분석 및 하상특성)

  • Choi, Heung-Sik;Kim, Sang-Ho;Youn, Moon-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481-1485
    • /
    • 2010
  • 강원지역은 산지가 89%를 차지하고 있어 도로의 대부분이 하천을 끼고 발달되어 있어서 집중호우 시 하천 만곡 수충부에서 급격한 홍수위 상승과 하상세굴이 발생되고 산지의 수로나 계곡 등에서 토석류가 발생되기 때문에 극심한 도로피해가 빈발하고 있다. 산지하천은 지형 및 지질적인 요인으로 경사가 급한 만곡 수충부가 많이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홍수시 유속이 매우 빠르고 만곡 수충부에서 수위상승과 횡방향 수위변동이 심하다. 따라서 산지유역의 하천과 도로의 방재설계를 위해 평창 속사천 시험유역의 운영을 통하여 신뢰성 있는 고품질의 산간유역 수문자료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고자 한다. 강우-유출구조 규명을 위한 강우관측소와 수위관측소 등의 계측시스템을 설치와 실시간 수문관측 자료의 전송 및 정기적인 현장 방문으로 수집된 수리수문자료에 대해 DB를 구축을 실시하였다. 또한 홍수시 하천으로 유입되는 토석류의 조도계수 산정을 통해 하천유역내의 수리 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 하천개수 및 하도의 안정 등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하천계획에 필요한 유사량을 측정하여 유역의 수문.수리특성에 대한 보다 정확한 규명과 관측된 자료를 이용한 장/단기 수문순환 및 수리모형의 개발을 위한 검정 및 검증자료의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haracteristic Analysis of Dredging and Sedimentation Debris Control Facilities in Inje, Gangwon (강원 인제지역 토석류 사방시설의 준설 및 퇴적 특성)

  • Park, Byungsoo;Jun, Sanghyun;Um, Jaekyung;Cho, Kwangjun;Yoo, Namjae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4 no.1
    • /
    • pp.15-22
    • /
    • 2013
  • 5 each permeable and impermeable debris dam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redging and sedimentation according to facility type in Inje, Gangwon. Field tests for the ground water table and sedi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dams were performed. Furthermore, data of the dredging amount, storage capacity, and drainage area were analyzed for the 51 more debris control facilities. From the results of field tests, it was found that the storage capacity of impermeable debris dam could be not enough when the large debris flow is produced since sediments are accumulated even if large debris flow was not occurred. Drainage can be a problem since the ground water table of impermeable debris dam was reached to the surface of ground.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ground saturation should not occur at heavy rain since ground water table of permeable debris dam was located in lower part of buttress. Furthermore, from the analysis results of relation among the dredging amount, basin area, and capacity of debris control facility, it was found that size of debris control facility was not reflected by the basin area. Effective planning and construction should be accomplished for the future since the real sedimentation amount was not significant even though large debris dams were constru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