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사발생특성

Search Result 29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Sediment Produce by Landslide in a Basin 2. Rainfall Event-based Analysis (유역 내에서의 산사태에 의한 토사발생특성 분석 2. 강우사상별 분석)

  • Yoo, Chul-Sang;Kim, Kee-W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3
    • /
    • pp.147-154
    • /
    • 2010
  •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produce by landslide triggered by rainfall. One-dimensional unsaturated groundwater model and infinite slope stability analysis were used to estimate the behavior of soil moisture and slope stability according to rainfall, respectively. Slope st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considering on soil depth and characteristics of tre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sediment produce according to rainfall events showed that the sediment produce by landslide was mainly contributed to rainfall intensity and its temporal cluster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sediment produce by extreme events showed that remaining rainfall amount of typhoon 'Rusa' was much more than that of the other extreme events, and thus this remaining rainfall was to contribute to sediment transportation. Additionally, only a small number of extreme events were found to cause most amount of sediment produce in a basin.

Spectral Reflectanc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from Turbid Water Environmental Change using Remote Sensing (RS를 이용한 탁수환경변화에 따른 토사의 분광반사특성)

  • Shin, Hyoung-Sub;Lee, Kyu-Ho;Park, Jo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73-2077
    • /
    • 2009
  •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생각되는 이상기온이 세계각지에서 발생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최근 몇 년 동안 각지에서 집중호우에 의한 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재해는 모든 분야에서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중 산과 택지개발 및 도로공사 등에서 발생하는 토사는 하천, 저수지, 댐 및 하구를 빠르게 메우고 탁수환경을 지속시켜 수질악화와 오염원이 되며 저서생태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토사는 농업용저수지와 수리구조물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하상을 높여 흐름을 방해하거나 변화시켜 하천의 범람을 유도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토사는 토사농도변화에 따라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초래하고 있어 그 특징을 다각도로 분석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사의 농도와 분광반사특성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원격탐사(RS)기법을 이용하였다. 탁수환경을 분광복사계(Li-1800)를 이용하여 미리 제작한 2개의 수조(흑색, 백색) 안 토사(실트질, 모래질)의 농도를 변화시켜 반사값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반사값을 이용하여 토사농도에 따른 분광반사 특성을 파악하였고, 토사 정보를 추정하는데 유용한 파장영역에 대해 검토, 고찰하였다.

  • PDF

Comparison of Runoff and Sediment Yield According to Factors to Environmental Change in Mountainous Watersheds (산지유역 환경변화 요인에 따른 유출 및 토사유출 특성 비교)

  • Park, Sang Deog;Shin, Seung Sook;Kim, Seon Jeong;Lee, Jong Seol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201-201
    • /
    • 2011
  • 산지유역의 지표 환경이 급격히 교란된 지역에서 집중 호우가 발생하면, 과대한 토사유출로 인해 하천유역 홍수 재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불발생지역, 벌목지역, 도로공사지역과 같이 산지환경이 급변한 지역을 토사유출 시험유역으로 운영하였다. 세 개의 시험유역 중에 지표교란이 심각한 도로공사시험유역에서 강우유출 및 토사유출이 가장 크게 발생하였다. 그림 1은 각 시험유역별 강우강도에 따른 첨두유량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산불 후 10년이 경과된 급경사 산불시험유역이 벌목시험유역보다 유출 및 토사유출량이 많았다. 벌목시험유역은 벌목이후 잔류물과 빠른 식생회복으로 지표상태가 빠르게 안정화되어 유출 및 토사유출량이 적게 발생하였다. 도로공사 시험유역 나지사면에서 시행된 사면처리 공법 시공 전 후로 토사유출량의 변화가 현저히 크며(그림 2), 이는 공사를 진행하는 중에 적절한 사면관리 처리를 통한 토사유출량 저감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

소규모 개발지역의 토사재해예측에 관한 연구

  • Park, Ki-Bum;Park, Eun-Yeong;Cha, Sang-Hwa;Kim,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12-515
    • /
    • 2012
  • 최근의 재해 발생은 하천에 의한 범람, 제방의 붕괴 등에 의한 피해발생보다는 일정지역에 국한적으로 내수배제 불량, 토사유출, 산사태 등으로 인한 피해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나 도시지역과 신규개발지역을 중심으로 집중호우로 인한 토사유출 등으로 인한 배수로 막힘, 산사태등의 2차적인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11년의 서울의 우면산 산사태 등과 같은 도시중심에서의 피해와 강원도 등의 신규개발지역에서의 토사로 인해 2차, 3차 피해는 국지적이고 예측이 불가능한 곳에서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토사유출, 산사태에 의한 예측기법은 최근의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보다 다양한 방법의 접근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기법들이 개발되고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지형의 소규모 개발지의 토사재해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GIS 기술을 이용한 사면의 안정성과 산사태 위험성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Pack et al. (1998)이 제안한 수리적 무한사면 안정모델과 결합하여 사면안정분석을 위해 개발된 SINMAP을 이용하여 소규모 개발지역의 토석류 해석과 사면의 안정성 검토 그리고 범용토양공식을 이용하여 토사유출량을 산정하여 개발지역내 사면 및 토사재해의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GIS를 이용한 지형적 특성에 따른 사면의 위험성과 토사유출량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소규모 개발지역의 토사재해의 위험성을 정량적이고 다각적으로 평가하여 재해발생에 따른 위험성을 노출하고 이에 대한 대책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pectral Reflectance Characteristics of Turbid Water from River Sediment Density Change using Remote Sensing Techniques (Remote Sensing기법을 이용한 하천 토사농도변화에 따른 탁수의 분광반사특성)

  • Shin, Hyoung-Sub;Park, Jo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033-2037
    • /
    • 2008
  • 최근 들어 국지성호우와 장마, 태풍에 의한 자연재해는 모든 분야에서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연재해로 발생한 토사는 하천, 농업용 저수지, 댐 및 하구를 메워 흐름을 방해하고 저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이러한 토사는 농업용 저수지와 홍수 조절용 구조물의 사용 수명을 단축시키고, 하상을 높여 흐름을 방해하거나 변화시켜 하천 범람을 발생하기도 한다. 한편 하천범람과 제방 붕괴 등은 농지 침수는 물론 작물의 성장을 방해하는 등 많은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사의 농도와 분광반사특성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광복사계(Li-1800)를 이용하여 미리 제작한 수조 안의 토사(실트질, 모래질) 농도를 변화시켜 토사농도에 따른 분광반사 특성을 파악하고, 그 특징에 대해 검토,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실트질의 체적반사율이 모래에 비해 약 40% 높게 나타났으며, 실트와 모래 모두 $554{\sim}588nm$영역에서 최대반사율을 나타내었다. 상관분석 결과 각 토사의 상관계수는 실트질이 $0.63{\sim}0.99$, 모래가 $0.73{\sim}0.96$의 값을 나타냈으며, 두 토양 모두 $550{\sim}900nm$영역에서 r>0.90의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토사농도에 따른 반사특성은 실트질의 경우 토사 농도가 $0{\sim}60%$까지 $470{\sim}740nm$영역에서 큰 상승폭을 보인 반면, 모래의 경우 토사농도가 25%까지 크게 증가하였으나 30%이상의 농도에서는 변화 폭이 매우 적어지는 특징을 보였다. 토사농도의 변화에 따른 탁수의 분광 반사특성은 토사의 종류에 따라 크게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Using Laboratory Experiment (실내모형실험을 통한 토석류 거동특성 연구)

  • Lim, Hyuntaek;Lee, Seungjun;An, Hyunuk;Ji, Hanmi;Roh, Youngsin;Kim, Yong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62-262
    • /
    • 2022
  • 토석류는 산지 사면에서 발생하여 지형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자연재해 중 하나로 국내에서 발생하는 토석류는 홍수, 태풍 등 타 재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짧은 시간에 발생하며, 사후대응이 어려우므로 사전대비가 필수적이다. 토석류로 인한 피해를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지질, 지형 그리고 강우에 따라 발생하는 토석류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정밀현장조사를 통한 자료 구축과 이를 분석한 토석류의 발생원인, 이동경로와 침식 및 퇴적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최근의 토석류 연구에서는 침식-퇴적 및 연행작용에 의한 효과를 반영한 수치모의 연구들이 있으나, 모형의 검증을 위한 침식-퇴적 거동에 대한 자료는 현재까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토석류 발생에 따른 침식-퇴적 거동특성은 그 자체로도 공학적으로 중요한 요소이며, 수치해석 모의에 필요한 매개변수 추정에도 필요한 항목이다. 토석류 모의의 검증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토석류에 대한 실험적 연구는 토석류의 확산 형태 및 확산 길이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으로 흐름수로에서의 침식 및 퇴적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 발생에 따른 흐름부에서의 침식 및 퇴적에 대한 거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함수비, 흐름수로 경사, 상부 붕괴토조의 토사깊이, 흐름수로 침식가능 깊이 등 다양한 조건으로 실내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상부 토조의 토사 함수비가 30~80% 실험에서는 퇴적 현상이 탁월하였고, 100% 이상인 실험에서는 침식 현상이 확연하게 나타나 토사의 함수비가 높아지면 집중호우 등 선행강우로 인한 산지 지역에서 발생되는 토석류 현상과 유사하고, 함수비가 낮으면 토석류(Debris flow)가 아닌 입상유동(Granular flow)으로 보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상부 토조의 함수비를 100% 이상으로 변화하여 침식이 발생한 실험에서 상부 토조의 액화 된 토사는 빠른 속도로 흐름이 진행되면서 함수비와 붕괴 체적이 증가할수록 흐름수로 상류부에 침식이 크게 나타나고, 상류부의 토사를 중류부를 거쳐 하류부까지 연행(Entrainment)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Flooding Effect by Sediment Inflow (토사 유입에 의한 홍수 영향 분석)

  • Han, Man-Shin;Choi., Gye-Woon;Lee, So-Young;Cho, Hyung-G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14-414
    • /
    • 2012
  • 하천에 산사태, 하천 주변 개발, 제방 및 댐 붕괴 등으로 인하여 다량의 토사가 돌발적으로 유입될 경우 유입된 토사가 하천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은 막대하다. 또한 하도 내에 설치되어 있는 교량, 보와 같은 수공 구조물로 인하여 단면형태가 갑작스럽게 변화하는 경우나, 구조물로 인하여 토사가 퇴적되는 경우 하천의 수위 변화를 크게 유발하여 하천 범람과 제방 침식 등을 발생시키며 하천의 안전에 큰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현재 다량의 토사가 하천에 돌발적으로 유입되는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 토사 유입 방지 대책에 대하여 많은 연구와 사업이 실시되고 있지만 이러한 치수대책이 완전하다고 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홍수 조절 및 방재를 위한 수방대책 수립 및 수자원의 집중적인 관리가 무엇보다 절실히 요구되며, 이와 같은 토사에 의한 방재대책 수립을 위해서 수리학적 특성을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 7월에 발생한 강우에 의하여 침수피해가 발생된 경기도 이천의 오천천을 대상으로 수치해석을 통한 침수 범람 원인을 분석하였으며, 하류부에 위치하고 있는 공장의 경우 내부가 1m이상 침수됨에 따라 흔적수위 및 현장 상황을 조사하였고, 당일 강우를 통한 홍수위를 산정하여 여러 가지 원인별 홍수 원인을 분석하였다. 2011년 7월에 발생된 강우는 복하천 하천정비기본계획에 제시되어 있는 설계빈도로 30년 빈도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강우에 의한 영향보다는 외부 영향으로 판단되며, 상류로부터 순간적으로 유입된 토사의 과다 퇴적에 의한 수위 상승에 의하여 교량 및 보 등의 수공구조물과 연계된 통수 단면적의 부족 등의 영향으로 홍수 범람이 발생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홍수 범람에 의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는 단순히 강우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는 것 보다 하천의 전반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정확한 원인 규명을 통한 대처방안이 수립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하천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 PDF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Sediment Produce by Landslide in a Basin 1. Simulation of Sediment Produce and its Verification (유역 내에서의 산사태에 의한 토사발생특성 분석 1. 토사발생모의 및 검증)

  • Yoo, Chul-Sang;Kim, Kee-Wook;Kim, Seong-Joon;Lee, Mi-S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3
    • /
    • pp.133-145
    • /
    • 2010
  •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produce by landslide triggered by rainfall. One-dimensional unsaturated groundwater model and infinite slope stability analysis were used to estimate the behavior of soil moisture and slope stability according to rainfall, respectively. Slope st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considering on soil depth and characteristics of trees. As the results considering on recovery of the failed slopes, much amount of sediment was produced in 1963, 1970, and 2002. As the results of verification of simulation results using Landsat 5 TM images, we can find differences of landslide location between the results from model and satellite images. These differences can be caused by uncertainties of the rough parameters in the model. However, in the case that Obong-dam basin was divided into two subbasin, Wangsan-chun and Doma-chun basin, the results of each subbasin show errors around 20%. And only 4% of error occurred in the case of comparing landslide area on the entire Obong-dam basin. These errors seem insignificant considering on the errors which can be caused from the analyses in this study such as estimation of sediment produce, soil cover classification, and estimation of landslide area.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Solid(SS) in Harbor Construction(II) - The Landfill Construction and The Grab Dredging Construction (항만공사시 부유토사의 거동 특성에 관한 연구(II) - 매립 및 준설공사시 -)

  • Lee Ji Wang;Maeng Jun Ho;Cho Kwang Woo;Yang Gwon Weol;Kim Young Seup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6 no.2
    • /
    • pp.46-53
    • /
    • 2003
  • In order to analyze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solid(SS) in harbor construction, we investigate the generation and movement processes of the SS for the landfill construction by direct casting method and the grab dredging construction which is the most frequent process in harbor construction. We find that the SS is generated into a very high concentration right after the direct casting of landfill soil and continued up to 60 minutes in the landfill construction using the direct casting method with dredged materials by a ship of 700-tonnage. In the grab dredging construction, the SS is generated in a high density of concentration near at its source regardless of water depth, formed belt and diffused up to 700m along the trajectory of tidal current. Based on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it is recommended for the mitigation of SS generation that the silt protector be deployed near at construction site close enough to block the diffusion of SS and the body length of silt protector be long enough to mitigate the SS diffusion in the bottom layer.

  • PDF

The Influence Analysis for Soil Loss in Reservoir Slant using GIS-based Soil Loss Model (GIS기반 토사유실모델을 이용한 저수지 사면의 토사유실 영향 분석)

  • Lee, Geun-Sang;Park, Jin-Hyeog;Hwang, Eui-Ho;Koh, Deuk-K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7 no.3
    • /
    • pp.108-117
    • /
    • 2004
  • Soil particles from rainfall flow into reservoir and give lots of influence in water quality because the geological conditions and landcover characteristics of Imdong watershed have a weakness against soil loss. Especially, reservoir slant is indicated by the main source area of soil loss. This study selected RUSLE model that could apply GIS and satellite image to evaluate the contribution rate of soil loss in reservoir slant. And we carried out an on-the-spot survey for the range, width and condition of reservoir slant that give much influences to the accuracy of soil loss. As the result of evaluation to the influence of soil loss in reservoir slant, it showed 2.64% in comparison with Imdong watershed. In view of these results, the influence of soil loss in reservoir slant was evaluated in low comparing with Imdong watershed rela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