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목 BIM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초

지형공간정보기술 기반의 항만구조물 토목-BIM 구축을 위한 표준화 연구 (A Study on Standardization for Civil-BIM Construction of Harbor Structure based on Geo-Spatial Information Technique)

  • 민병근;박동현;장용구;강인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83-9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BIM 관련 선행연구들의 고찰을 통해 BIM의 동향과 BIM 관련 소프트웨어 분석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토목분야에서의 BIM 특히, 지형공간정보기술 기반의 항만구조물 BIM구축을 위한 레이어 표준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 2차원 및 건축기반의 BIM의 문제점과 토목-BIM의 적용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항만구조물을 대상으로 한 지형공간정보기술 기반의 토목-BIM의 레이어를 제시하고,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을 대상으로 구축한 기존 BIM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항만분야의 지형공간정보기술 기반의 토목-BIM 표준화 및 적용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토목공사의 BIM 현황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The Current Status and Facilitation Strategy of BIM for Civil Infrastructure Projects)

  • 박태순;박희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1호
    • /
    • pp.133-140
    • /
    • 2018
  • 본 논문은 건설업에서 전 생애주기 동안 생성되는 정보와 업무 등을 통합 및 관리할 수 있는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에 관해 국내 토목분야에서 BIM기술의 현황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토목분야와 건축분야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국내 건설업의 BIM 적용 현황, 실무자 인식조사, 활성화 방안을 위한 계층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BIM 활성화 저해요인, 단계별 업무에 따른 BIM의 필요성, BIM 적용 시 효과 등과 향후 BIM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질문들은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토목분야는 건축분야에 비해 BIM의 활용 현황, 기술 교육 정도 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BIM의 활성화 방안을 위한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 시에는 재무적, 운영적, 투자적, 기술적, 제도적인 부문별로 중요도에 따른 순위 결과 기술적인 부문이 중요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BIM의 현황 및 활성화를 위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토목분야에 BIM 적용 시 기본방향을 위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토목분야 BIM 적용을 위한 로드맵 제안 및 정보모델표준 개발 기초연구 (Proposal of Roadmap and Basic Research of Information Model Standards for Application on the BIM on Civil Engineering)

  • 김진욱;문진석;주기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6176-6186
    • /
    • 2012
  • 건축분야에서는 IFC 표준과 BIM 적용에 대한 다수의 연구 및 적용 사례가 있으나 토목분야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최근 공공 발주기관에서 토목사업에 BIM 도입을 계획하고 있으나 국가차원에서 BIM 표준 및 납품체계가 마련되지 않아 이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토목분야에 대한 BIM과 IFC 국제표준의 현황을 분석하고 토목분야의 표준과 납품체계 구축을 위해 토목분야 BIM 개발을 위한 로드맵을 수립한다. 또한 토목분야에 대한 BIM의 단계적 개발 및 적용을 위하여 도로건설분야에 대한 BIM 도입 연구를 우선 수행하고, 현행 도로건설공사를 대상으로 건설정보 분류체계를 확장 적용한 BIM 정보모델을 작성하고 분석한다.

토목공사 기획 및 설계단계의 BIM 적용방안 연구 (BIM Application for Civil Engineering Project in Planning and Design Phases)

  • 강인석;김슬기;김현승;문현석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26-31
    • /
    • 2011
  • 국내에서 BIM의 실무 활용은 건축공사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다. 건축공사의 부위별 객체 특성이 정형적, 수직적, 반복적인 형태를 갖는 반면에 토목공사의 객체 특성은 비정형적, 수평적, 비반복적인 형태를 갖으므로 3D객체 구성이 어렵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목공사의 기획단계부터 설계단계까지의 업무 및 정보관리의 문제점을 파악한 후 BIM기반에서의 적용 프로세스를 제안하며, 제시한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BIM시스템을 구축하여 교량공사를 대상으로 실무 적용성을 검토한다.

국외 BIM 발주지침 분석을 통한 국내 토목 분야 BIM 가이드라인 개발 방향 제시에 관한 연구 - 싱가폴 토목 사업 과업지시서를 중심으로- (Analysis of Singapore's BIM tender documents for the development of infrastructure BIM guidelines in Korea)

  • 구본상;옥현;유영수;정래규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9-28
    • /
    • 2018
  • Recent increase in the interest and adoption of BIM for infrastructure projects has created a need for formal BIM guidelines in the civil engineering domain. Currently a BIM guideline has been developed in Korea exclusively for the road sector. However, the guideline has gaps in the specification of how BIM models should be generated, managed and applied for maximum effect in projects. This study reviewed the guidelines and tender documents of Singapore to determine potential improvements to adopt in Korea. Results showed that Korea's guideline should focus more on process integration as to stipulating BIM deliverables, encourage a common data environment, clearly distinguish between compulsory and selective BIM applications, and require data and models that can be leveraged in the operation phase of the facility.

모델기반 사회기반시설 유지관리를 위한 BIM 가이드라인 고찰 (A Study on BIM Guidelines for Model-based Infrastructure Management)

  • 김봉근;김지원;지승구;서종원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10-16
    • /
    • 2012
  • 본 연구는 토목분야 사회기반시설물의 유지관리체계에 BIM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을 도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BIM 가이드라인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각 가이드라인에서 언급된 내용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건축분야에서 다루는 BIM 가이드라인에 대한 공통의 프레임워크를 도출하여 토목분야에서 준비가 필요한 항목들을 분류하였다. 또한 건축분야 BIM 가이드라인에서 언급된 시설물 유지관리에 관한 관점과 토목분야 시설물 유지관리에 관한 관점을 상호 비교하였다. 이러한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토목분야 사회기반시설물 유지관리에 BIM 기술을 도입하기 전 준비되어야 하는 사항을 응용모델의 발굴, 표준화, 그리고 제도정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엔지니어링업체 인지도 변화분석을 통한 토목분야 BIM 도입 기초연구 (Basic Study about BIM Introduction by Awareness Change Analysis in Civil Engineering)

  • 서명배;송종관;양성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07-1208
    • /
    • 2012
  • 최근 건설분야에 화두가 되고 있는 건축정보모델링(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건설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을 통한 새로운 성장동력의 미래로 부각되고 있으며, 건축분야는 서울시, 용인시, LH공사 등 BIM을 활용한 공공 발주사례가 확산되는 추세다. 토목분야는 건축보다 기간이 길고 비용이 크며 이해당사자가 너무 다양해서 발생하는 정보의 양이 방대할 뿐만 아니라 활용분야를 다양화하지 못하고 이를 뒷받침해주는 제도나 지침의 부재 등으로 인해 건축분야보다 BIM도입이 늦어지고 있다. 이에 토목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3차원 형상정보와 관련된 정보모델표준, 지침, 가이드를 개발하기 위해 BIM 적용시 가장 효과가 크고 도입의지가 강한 엔지니어링사의 BIM에 대한 인지도 분석을 통해 토목분야 BIM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토목설계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한 BIM 활성화 방안 (Strategies to Revitalize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y the Survey Questionnaires from Design Experts in Field of Civil Engineering)

  • 서명배;주기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46-457
    • /
    • 2012
  • 최근 건설공사에 이슈가 되고 있는 건축정보모델링(BIM)은 건설경기 둔화와 수주물량 감소에 따라 위기위식이 팽배한 건설산업의 새로운 돌파구로 주목받고 있다. 이미 건축분야는 국내외적으로 BIM을 도입하기 위해 관련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토목공사의 경우 건축공사와 달리 작업체계가 비반복적, 수평적, 비정형적이며, 프로젝트 수행 범위가 넓어 발생하는 정보의 양도 방대하여 건설사나 설계사에서는 BIM 구축을 위한 초기 투자비용의 부담과 투자대비 효과에 대한 의문과 부담을 갖고 있다. 이에, 국내 토목분야에 BIM을 적용하기 위해 토목설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BIM 기술수준을 파악하고 과거대비 현재 토목분야의 BIM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을 통해 토목분야 BIM 활성화 저해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출된 활성화 방안은 가이드 개발, 제도 개발, 납품성과 검증, 국제표준 상정 등 4가지 분야로 구성된다. 연구결과는 토목분야 BIM 적용을 위한 표준과 납품 성과품의 검수 및 검증체계 개발 연구과제의 연구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토목공사 생애주기 BIM 모델의 신뢰성 확보 방안 (Applica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to Verify Reliability of Life Cycle BIM Model for Civil Engineering Project)

  • 이재희;문현석;강인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116-124
    • /
    • 2021
  • 건설공사의 설계 및 시공단계에 BIM 모델의 활용성이 증대되면서 유지관리단계의 BIM 활용성 증대도 예상되고 있다. 유지관리단계에는 이미 작업이 완료된 설계 및 시공단계에 생성된 BIM 객체들을 사용하게 되므로, 활용하는 BIM 객체가 설계단계에 제작된 인증 모델인지 신뢰도 검증이 필요하다. 특히 철도시설물과 같이 토목, 건축, 전기, 신호, 궤도 등 다양한 공정과 기관으로 구성된 BIM 활용 프로젝트에서는 BIM 모델의 신뢰도가 더욱 중요도를 갖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지관리단계에서 사용하는 BIM 모델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블록체인기술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BIM에 블록체인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블록의 구조와 상세 프로세스를 구성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실제 시설물의 BIM 모델에 적용하여 블록을 생성함으로써 블록체인 기술이 BIM 모델의 신뢰도 확보를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토목분야 BIM 적용 사례 분석을 통한 발주자 관점에서의 BIM 발전 전략 (Case study of Civil Engineering BIM Projects: Perspective of Korean Public Owners)

  • 김창윤;문현석;나혜숙;김진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430-7437
    • /
    • 2014
  • 복잡해지고 대형화되고 있는 국내 외 건설 프로젝트의 변화에 따라 건축 토목 분야 설계 패러다임이 점차 2차원 설계에서 3차원 설계로 이동하고 있다. 건축 분야에서는 발주자의 적극적인 요구에 따라 건설 정보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기술을 활용하고자 많은 연구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토목 분야에서는 발주자 관점에서의 BIM 기술 적용 사례가 건축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며, 대부분의 프로젝트의 발주자가 국가나 공공기관인 토목 분야의 특성상 BIM과 관련된 제도나 기술에 대한 인식 미비로 기술 도입에 소극적인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최근 토목 분야에서도 BIM 기술의 활용가능성에 주목하여 조달청 및 국토교통부와 같은 정부기관과 공사 공단과 같은 기관에서 관련 제도 정비 및 기술 도입에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정책 및 제도 변화에 발맞추어 나아가기 위하여 대표적인 토목공사 발주 공공기관의 BIM대응 전략에 대하여 살펴보고, 각 기관별로 실제 BIM 적용 사례 분석을 통해 토목분야에서의 BIM 기술에 대한 대응 및 발전 전략에 대하여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