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탱화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9초

조선시대 감로탱화 풍속장면의 복식 연구 (Studies on the Costume of Gamrotenghwa in Choson Dynasty)

  • 양숙향;이태호;이경화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5권5호
    • /
    • pp.481-494
    • /
    • 2003
  • The Gamrotenghwa of the Choson Dynasty is a unique genre of buddhist painting in that the destiny of the dead souls and the guidance to nirvana are expressed in reality. More than 50 of the Gamrotenghwa are known to be present, and the lower part of the paintings includes a wide assortment of folk customary scenes reflecting the social life style of the time when the painting was drawn, such as difficulties in life. public life, punishment and war. Changes in the costume of the people shown on the customary scenes of the Gamrotenghwa according to the time based changes in painting style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 three points. First, the costumes of bureaucrats showed a tendency of preservation without any major changes in the painting. On the other hand, costumes of public and entertainer in the scenes were very close to those worn by the people at that time. The realistic description of public life in the painting may establish the value of the Gamrotenghwa as the historical documents. Second, the costume of the people in the painting showed a dual structure as the social positions; bureaucrats wore various official hats, large coats and belts to expose their social prestige. while the general public wore simple and convenient clothing which is divided into shirt and pants. The dual structure of the costume in the painting is in well accordance with that of the later period of Choson dynasty, suggesting that the customary scenes in the painting represent the social life style of the period. Finally, the customary scenes in the Gamrotenghwa are very variegated. which shows a variety of beauty of wearing even though they look coarse in a sense. The diversity of wearing beauty in the picture may contribute to the recreation of the beauty of shape in the new design of Hanbok.

중요사찰목조문화재의 소방대책을 고려한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for Fire Counterplan of Main Temple Wooden Cultural Properties)

  • 백민호;신호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121-13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문화재청에서 지정한 국가지정 중요목조문화재 124곳 중 중요사찰목조문화재 80곳에 대하여 2008년 6월부터 12월까지 각 사찰에 대해 현지조사와 사찰을 관장하는 각 관할소방서에 대한 화재진압 매뉴얼의 자료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내용은 문화재지정구분, 소재지구분, 사찰부지면적, 사찰 내 건축면적, 지정문화재의 건축면적, 화재발생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차의 진입방향, 소방관서와의 거리, 방화관리자의 지정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각 사찰의 문화재보유특성에는 사찰경내의 목조건물이 중요목조문화재로 지정이 되어 있는 경우와 석탑, 불상, 탱화, 종, 석등, 부도, 현판, 주련 등이 보유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어 각 문화재를 유형별로 이동 운반이 가능한 소산문화재와 이동 운반이 불가능한 불소산문화재로 분류 조사하였으며, 각 문화재의 재질을 조사하여 화재발생시 신속한 초기 대응과 문화재 피해 최소화를 위한 기초 연구결과를 정리하였다.

감로탱에 묘사된 전통연희와 유랑예인집단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Nomadic Entertaining Troupes Depicted in "Nectar of Immortality")

  • 전경욱
    • 공연문화연구
    • /
    • 제20호
    • /
    • pp.163-204
    • /
    • 2010
  • 감로탱은 수륙재를 거행할 때 거는 탱화로서 수륙화라고도 부른다. 중국 명나라 때의 보녕사 수륙화는 모두 139개의 족자에 장면들을 나누어서 그려 놓았다. 그러나 한국의 감로탱은 하나의 커다란 탱화에 모든 장면을 함께 그려 놓았다. 감로탱의 구성에서 가장 흥미로운 것은 바로 하단에 그려진 육도 윤회상이다. 육도윤회의 업을 반복해야 하는 미혹한 세계의 실상을 묘사하고 있는 하단은 아귀나 지옥고(地獄苦)뿐만 아니라 천상 인간 아수라 축생의 고통상을 인간 세상의 다양한 현실생활에 비유하여 표현하고 있다. 하단에 묘사된 인물들은 죽은 영혼들의 생전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이들이 바로 수륙재를 통해 천도되어야 할 대상이다. 감로탱의 하단부는 사회생활, 현실생활을 묘사한 내용으로서 그 주제가 인생의 고통, 재난, 인생무상을 표현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불교에 귀의하고 해탈하도록 의도하고 있지만, 오히려 당시의 사회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감로탱의 하단부에 묘사된 다양한 유랑예인집단과 그들의 연희도 현실생활의 일부를 사실적으로 반영한 결과이다. 감로탱의 하단부에는 외줄타기, 쌍줄타기, 솟대타기, 쌍줄백이(솟대타기의 일종), 땅재주, 방울 쳐올리기, 탈춤, 접시돌리기, 인형극, 사당춤, 검무 등 전통연희의 공연장면이 많이 그려져 있다. 이 중에는 솟대타기, 쌍줄백이, 쌍줄타기, 방울 쳐올리기, 검무(풍각쟁이패 연희)처럼 이제는 사라져버린 연희종목들도 있다. 감로탱에 묘사된 연희집단은 사당패, 남사당패, 솟대쟁이패, 초라니패, 풍각쟁이패, 굿중패, 서커스단 등 모두 유랑예인집단이다. 이 유랑광대들은 각지를 떠돌다가 죽은 후에 무주고혼(無主孤魂)이 된다. 감로탱에 묘사된 각종 연희 장면의 연희자들은 죽은 사람의 생전 모습을 재현한 내용 가운데 일부로서 수륙재의 천도대상이다. 이 중 솟대쟁이패 사당패 초라니패 풍각쟁이패 굿중패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감로탱을 통해서 현재는 전승되지 않는 여러 연희종목들의 내용, 그리고 이미 사라져버린 유랑예인집단들의 구체적인 활동상을 살펴볼 수 있다.

고려시대 인물관련 제작물을 통해서 본 복식에 관한 연구(2) -고려시대 인물관련 제작불화중 '탱화'를 통해서 본 복식에 관한 연구(2)-$\circled1$ -남녀 왕실 귀족 및 관직자 복식을 주로하여- (A Study on The Costume of The Kory Dynasty(2) -See through by the human being on the Buddist Panting of Koryo Dynasty hang on the wall(2)-1)

  • 임명미
    • 복식
    • /
    • 제22권
    • /
    • pp.205-224
    • /
    • 1994
  • It was aimed to study the costume of Koryo dynasty based upon the thirty pictures of Bud-dha to hang on the wall among the existing Buddist paintings. The costume to study were made about 64 years during the King Chung-yol(1286) to the King Chung-jong(1350) which style was mostly related in Won Dynasty. 가) Men's wear ; 1. Hair style and hair dress ; Man tied up a top knot and they put on the hat such as a Kuan Kun and Mo. The young boys binds his hair up one, two, and three knot-s, and tied up with a hair ribbon, A kinds of Kuan-mo were Mine-lu-kuan Yuan-yu-kuan, Nong-kuan, Hae-chi-kuan Pok-du Yun-wha-kuan Yip-mo- and Tu-ku(Helmeto) 2. clothes ; 1) Colour of Koryo King's Mien-ku Kuan costume was not agree with blue and reddish black colour which was used in Yo, Song, Kum and Won Dynasty, however black and greenhish blue colour was agreed with. 2) The king wore T'ung-t'ien-kuan(Yuan-yu-kuan) and the government officials wore Chin-hien-kuan Hae-chi-kuan and Nong-kuan as a court dress. In general the king and the Crown Prince wore a hats which was used in T'ung-t'ien system however sometimes they wore small hats which was cited in literature. 3) Gate guard and upper garment wore colourful costume figured gold colour pattern which was distin-gtive costume system of Koryo. 4) A monk wore big sleeve long skirt big sleeve long jacket long skirt and shoulder scar-f full shoulder scarf or right hand shoulder opened scarf. 5) The Soldiers wore helmet shoulder or scarf pee-back hung-kap, pok-kap, yang-dan-g-kap we-yu-kap kun-kap, and boots and they carried arms. 6) The young boys wore scarf, loin cloth, long skirt, belt neckless, wan-silk, boots and foots wear and wristless. 나) Women's wear ; 1. Hair style and hairs and tied up with a hair ribbon and wore precious ston decorated hair dress wheel shape hair dress pan shaped head dress handkerchif covered hair dress decorated precious stone hair pin silk chippon made of head dress muf-fler shaped hairdress. Boots mocasin hae lee, suk and sandle wored as a shoes depends on the classes. They wore neckless, earing wres-tless and wan-pu-sik. 2. Closthe 1) High rank lade's wore un-kyun attached jacket and jacket sleeves decorated pleats and pleats decorated long skirt apron back apron knot belt, scarf this type is the same with Dang Dynasty five dynasty of china Song, Kum Won, Myung Dynasty and our cos-tume of Poe-hae, and Shilla Dynas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