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태양 전지 보트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Development of Deployment Test Simulator for Satellite Solar Array (위성체 태양전지판 전개시험용 모사장치 개발)

  • 김홍배;문상무;우성현;오진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05a
    • /
    • pp.984-984
    • /
    • 2001
  • 위성체의 태양전지판과 안테나와 같은 구조물은 발사시 체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설정궤도에 도달하기 전까지 접혀진 상태로 운반되며, 설정궤도에 도달 후 고유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안테나, 태양전지판 및 로보트 팔과 같은 이차 부착물의 전개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작업은 위성체 및 발사체의 고유임무를 수행하는데 매우 중요한 작업이며, 이 작업의 성공 유무가 우주비행체 임무의 성패를 좌우한다.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 Solar Boat Prototype (솔라보트 프로토타입 제작에 관한 연구)

  • Hong, Sin-Pyo;Lee, Kyoung-Wan;Chun, Ho-Hwan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44 no.2 s.152
    • /
    • pp.189-197
    • /
    • 2007
  • In this paper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 solar boat prototype is presented. Basic components of solar boats and the construction of a simple solar boat prototype by undergraduate students are described.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developing commercial solar boats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solar boat construction on the education of students. A low-cost solar boat prototype is constructed by assembling parts available in the market or laboratory. From the prototype construction experience, students obtained basic knowledge o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commercial or racing solar boats.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the construction of a solar boat can be au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to expose students to practical multidisciplinary study involving naval architecture, ocean engineering, mechanical engineering,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ing.

Study on Catamaran Type Solar Boat Using the Pod Propulsion System (포드형 추진시스템을 이용한 카타마란형 솔라보트에 관한 연구)

  • Kim, Myoung-Jun;Chea, Gyu-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7 no.2
    • /
    • pp.161-166
    • /
    • 2011
  • In this study, design of hull and test of model boat were carried out with electric propulsion small boat driven by photo-voltaic energy. The shape of boat was made with catamaran type by considering the ship's stability, the light-receiving area from solar. According to calculation, when speed of model boat is 5 knots, it was estimated the available power for propulsion with 1.1[hp]. However, the natural energy such as solar energy is strictly dependent upon the climate conditions so the real boat speed is slightly lower than the estimated value.

Efficiency Analysis Solar Cell of the Dynamic Boat's by SPA (SPA에 의한 동적인 보트의 태양전지 효율 분석)

  • Han, Jong-Ho;Lee, Jang-Myung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
    • v.60 no.8
    • /
    • pp.1529-1536
    • /
    • 2011
  • Recently, worldwide government policy is pursuing saving energy and preservation. add to this, the solar cells are getting the spotlight nonpolluting energy source, using a variety of products for solar cell. in this paper, we'll make solar tracking system for suitable of dynamic boat. we knew that general boats are using fixed solar cell, it's first time to use tracking system of solar cells for boats so it is hard to application.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paper we use to a magnetic compass and GPS for suitable solar tracking system of dynamic movement and to analyze fixed and tracking solar system. frist. solar tracking device is designed two-axis control system. one-axis control system is taken a magnetic compass for making efficiency defence solar tracking sensor, two-axis control system apply GPS latitude and longitude data for SPA(Solar position algorithm) so we know the azimuth and altitude. it analyze data value of accuracy comparison from result. so the proposed algorithm confirm to have validity.

CdTe기반의 엑스선 검출기의 표면 구조에 따른 박막의 전기적 특성평가

  • Kim, Dae-Guk;Sin, Jeong-Uk;Lee, Yeong-Gyu;Lee, Ji-Yun;No, Seong-Jin;Park, Seong-Gwang;Nam, Sa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432-432
    • /
    • 2013
  • 현대에 이르러 직접방식 엑스선 검출기에서는 기존의 a-Se을 주로 이용하였지만, 고전압 인가에 따른 회로 손상과 짧은 수명, 그리고 누설전류에 따른 안전의 문제 등으로 낮은 에너지 밴드갭과 높은 흡수효율, 비저항 등에 의거한 다양한 대체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직접방식 엑스선 검출물질로 전기이동도와 흡수효율이 뛰어나고, 밴드갭이 낮아 태양전지분야 뿐만 아니라 최근 엑스선 검출물질로 각광받고 있는 CdTe를 선정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PVD (Physical Vapor Deposition)방식의 CdTe 검출 물질의 제작과정에서 CdTe가 기화되어 하부전극 기판에 증착될 시, 하부전극 기판 온도에 따른 CdTe의 박막형성과 전기적 측정을 실시하여 그에 따른 최적의 증착조건을 선정하는 것이다. 하부전극 기판으로는 Au/glass를 사용하였으며 증착 시, $200^{\circ}C$, $300^{\circ}C$, $400^{\circ}C$로 나누어 특성을 평가하였다. 시료는 파우더형태의 다결정CdTe를 120 g를 사용하여 증착완료 시, 약 $100{\mu}m$의 박막두께를 구현하였다. PVD증착의 조건으로는 Mo재질의 보트를 사용하였으며, 증착 시 진공도는 $5{\times}10^{-6}$ Torr, 보트온도는 약 $350^{\circ}C$ 소요시간은 5시간이었다. 증착이 완료된 CdTe의 표면구조와 전기적 특성평가를 위해 SEM촬영을 실시하였고, 전기적 특성 평가를 위해 CdTe표면에 Au를 PVD방식으로 증착하였다. 실험 결과 SEM촬영을 이용한 표면특성에서는 하부전극 기판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표면 결정입자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기적 특성에서도 하부전극 기판의 온도가 증가할수록 RQA-5 조건의 70 kVp, 100 mA, 0.03 sec 엑스선에 대한 우수한 민감도와 암전류 값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증착과정에서 온도에 따른 다결정 CdTe의 표면결정 크기 증가는 동일한 면적에서 표면결정 수의 감소를 뜻한다. 이는 결정간의 경계에서 트랩 되어지는 전자가 감소하고, 전자의 이동도 또한 높은 효율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CdTe기반의 직접방식 엑스선 검출기 제작과정에서 증착 시 하부전극기판 온도가 증가할수록 결정의 크기가 증가하여 최적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냄을 검증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