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태양전지 설치각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Solar Panel Installation Angles for Stratospheric Platform Airship Power Systems (성층권 비행선 전원공급용 태양전지의 부착각도에 관한 연구)

  • Kim, Hyoung-Jin;Lee, Chang-Ho;Yang, Soo-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0 no.8
    • /
    • pp.148-155
    • /
    • 2002
  • A study on the installation angle of solar panels is conducted as a conceptual study on solar-RFC(regenerative fuel cell) system for stratospheric airships. The airship heads for the west in winter days and the east in summer days according to wind directions. Considering this, it is found that when the solar panel is installed with the center angle of 30 degree the energy output of solar panels is maximized on winter solstice and satisfies the required energy of summer days as well. Although with the optimized solar panel installation angle, efficiency of the regenerative power system needs be improved to 47% to provide required energy of a 170m-long airship. And the required amount of efficiency improvement decreases as the airship size increases.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 (태양광발전시스템 설치 및 운전 현황)

  • Park, K.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e
    • /
    • pp.28-30
    • /
    • 2003
  • 본 논문은 10kW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설치 및 운전 상황에 대한 내용으로서 발전 뿐만아니라 학습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10kW 단독운전 또는 7kW와 3kW 병렬운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태양전지판은 20직렬 10병렬로 구성되며, 10병렬 태양전지판은 방위각 $0^{\circ}$, 경사각 $46^{\circ}\sim8^{\circ}$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경사각으로 3kW까지 선택 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 PDF

A Study on Verifying the Validity of a Solar Cell System Following Sunligh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 Aid to Navigation (태양광원에 대한 수평방향 추적식 항로표지용 태양전지 시스템의 도입 타당성에 관한 연구)

  • Jeon, Joong-Sung;Kim, Jung-Hun;Lee, Yong-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9.06a
    • /
    • pp.414-418
    • /
    • 2009
  • In this paper, a solar power tracking method using the solar cells is proposed, which has 3 solar cell located at an interval of $60^{\circ}$ in azimuth so that the sunlight may almost be perpendicular to the solar cells without excessive mechanical operation. Compared with the solar cell voltages in each azimuth, there is the highest voltage in time interval. As a results, this solar cell system achieve higher relative efficiency of $1.6{\sim}11.5%$ than fixed solar cell system. Therefore, it is verifying that this solar cell tracking system obtain more relative efficiency than fixed solar cell system for aid to navigation.

  • PDF

RIE/WET Texturing 구조의 결정질 태양전지의 입사각에 따른 양자효율

  • Seo, Il-Won;Son, Chan-Hui;Kim, Dong-Hae;Yun, Myeong-Su;No, Jun-Hyeong;Gang, Jeong-Uk;Jo, Gwang-Seop;Gwon, Gi-Ch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599-599
    • /
    • 2012
  • 태양광 발전은 태양광의 입사각과 셀 단면이 이루는각도에 따라 출력특성이 변화된다. 따라서 태양의 위치에 따른 출력특성이 바뀌며 이에 의해 발전가능 시간이 변화된다. 더욱이 건재 일체형(BIPV)의 경우 설치 방향을 조절 할 수 없으므로 입사각에 따른 출력특성이 더욱 중요하다. 이와 따라 결정질 태양전지의 입사각에 따른 광학 특성 변화는 태양전지 표면에 형성되는 Texture의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습식 texturing 방법으로는 화학적인 반응을 이용한 WET 공정, 그리고 건식 texturing 방법으로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reactive ion etching (RIE) 공정이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RIE, WET 공정을 사용하여 만든 texturing 구조의 결정질 태양전지를 SEM 장비를 이용하여 표면의 형상을 분석하고, 광 입사각에 따른 양자효율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PDF

Comparison Researches for Installation of the Module Angles and Array Spacing on Photovoltaic Power System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모듈 설치 각도와 어레이 간격의 비교 연구)

  • Choi, Dong-J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3 no.1
    • /
    • pp.162-168
    • /
    • 2009
  • This thesis is based on the research and experiment of the optimal efficiency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The research and experiment were conducted to search the optimal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from a specific amount of solar energy from Photovoltaic Power System with a solar position tracker were used. The changes in the array angles and spacing of the PV Module were also taken into account as well. Here are the findings and the conclusions. First of all, based on experiment using the various anglers, the efficiency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reased to a maximum of approximately $12{\sim}17$[%] more at the PV module inclination angle of 30[$^{\circ}$] than at the inclination angles of 20[$^{\circ}$] and 40[$^{\circ}$]. As a result, we have found that installing the PV module inclination at the angle of 30[$^{\circ}$] brought about the most efficient conversion effect of the Photovoltaic Power System. But, when the solar cell is installed on a roof or rooftop where snow builds up, it is the most appropriate to install the solar energy at an 35[$^{\circ}$] angle so that snow slides down and not build up on the modul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100kW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 (10kW 태양광발전시스템 설치 및 운전 현황)

  • Park, K.H.;Kim, M.U.;Lee, E.Y.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b
    • /
    • pp.1371-1373
    • /
    • 2003
  • 본 논문은 10kW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설치 및 운전 상황에 대한 내용으로서 발전 뿐만아니라 학습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10kW 단독운전 또는 7kW와 3kW 병렬운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태양전지판은 20직렬 10병렬로 구성되며, 10병렬 태양전지판은 방위각 $0^{\circ}$, 경사가 $46^{\circ}{\sim}8^{\circ}$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경사각으로 3kW까지 선택 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 PDF

차기정지궤도위성 태양전지판 무중력 전개시험장치 적합성 검토연구

  • Choe, Jeong-Su;Park, Jong-Seok;Kim, Hyeong-Wa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202-202
    • /
    • 2012
  • 항공우주연구원에 설치되어있는 태양전지판 무중력 전개시험장치는 지상 전개시험 시 지구 자중으로 인해 발생하는 하중과 마찰력을 상쇄하여 우주 궤도상에서 전개되는 것과 동일하게 태양전지판이 전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에어베어링을 사용하여 전개 시 발생할 수 있는 전개방향으로의 마찰력을 상쇄하고, 지구 중력으로 인한 영향이 없도록 하기 위해 중력축에 대해 각 레일이 수평이 되도록 정밀하게 정렬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천리안위성의 정밀조립 및 전개시험에 사용되었던 태양전지판 무중력 전개시험장치를 차기 정지궤도위성의 대형 태양전지판에 적용하였을 때에도 전개시험이 가능한 지를 카티아 디지털 목업 시뮬레이션을 사용해 모사하고 검토되어야 할 주요 사항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optimal Installation Angle of Solar Absorber Plates in Korea (국내 태양열 집열판의 최적 설치각 결정에 관한 연구)

  • Jo, Dok-Ki;Choi, In-Soo
    • Solar Energy
    • /
    • v.18 no.2
    • /
    • pp.69-89
    • /
    • 1998
  • The measured solar radiation incident on tilted surfaces by all directions has been widely used as important solar radiation data in installing solar collectors, hot water systems, and photovoltaic modules, and in designing solar buildings and houses. To maximize the incident beam radiation, the slope, which is the angle between the plane of the surface in question and the horizontal, and the solar azimuth angles are needed for these solar applied systems. To respond to above needs, a theoretical study with actual measurements on moving route of the sun is carried out.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an solar expert system and on the selection of slopes for solar absorber plates in Korea.

  • PDF

태양전지 자기세정 코팅을 위한 스퍼터링되어진 TiO2 박막의 특성

  • Park, Cheol-Min;Jeong, Ho-Seong;Lee, Jae-Hyeong;Park, Yo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479.2-479.2
    • /
    • 2014
  • 자가 세정 및 김서림 방지가 가능한 투명 코팅 소재로써 $TiO_2$ 코팅박막을 제안하였으며, $TiO_2$ 코팅박막은 스퍼터링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물질을 화학적으로 변형시키고 유리기판 위 텍스쳐링을 형성함으로써, 수분에 대해 완전히 다른 특성을 갖는 표면을 유도하며, 김서림 방지 기능과 자가세정, 그리고 높은 빛 투과 특성으로 스마트 표면 코팅을 구현할 수 있다. $TiO_2$ 자가세정 코팅기술은 설치 후 1년 안에 먼지 및 오염에 따라 최대 40%의 효율 저하가 나타나는 태양전지, 디스플레이 패널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TiO_2$ 세라믹 타겟이 부착된 비대칭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TiO_2$ 박막을 증착하였으며 증착되어진 $TiO_2$ 박막의 광촉매 특성과 트라이볼로지 특성을 고찰하였다. 광촉매 특성으로는 표면 접촉각 분석을 통하여 고찰하였으며, 트라이볼로지 특성으로는 경도, 잔류응력, 마찰계수, 표면 거칠기 등을 평가하였다. 또한 XRD, FESEM 분석등 구조분석을 통하여 광촉매 특성과 트라이볼로지 특성등과의 연관성을 규명하였다.

  • PDF

수소$\cdot$연료전지 기술현황 및 전망

  • 홍성안
    • New & Renewable Energy
    • /
    • v.1 no.1 s.1
    • /
    • pp.24-31
    • /
    • 2005
  • 수소에너지는 궁극적으로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에너지와 환경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꿈의 에너지원으로 평가된다. 향후 $30\~40$년 뒤에 예상되는 수소에너지 시대, 즉 수소경제의 비전이 달성될 때 수소이용 기술인 연료전지 기술은 보편화돼 새로 건설되는 발전소는 연료전지 발전소가 대부분일 것이며, 가정과 상업용 건물에도 연료전지가 설치될 것이다. 또한 운행되는 상당 부분의 승용차와 버스가 연료전지 차량이며, 이에 상응해 주유소의 절반 정도는 연료전지 차량에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 주유소로 대체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수소에너지 체계의 핵심인 연료전지 기술의 상용화는 물론 풍력, 태양 등을 이용한 대체에너지원으로부터의 수소생산기술, 수소저장, 운송에 이르는 수송 인프라스트럭처 구축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본 고에서는 수소이용기술의 대표적 기술인 연료전지 기술의 개발현황과 전망을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연료전지 기술을 조기 상용화 하고자 하는 각 국의 노력을 소개하고, 응용분야별 해결되어야 할 기술적 문제 등을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