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태양열 흡수식 냉방기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초

태양열을 이용한 냉방장치 -급수식 냉동기를 중심으로-

  • 하재현;이상천
    • 기계저널
    • /
    • 제17권1호
    • /
    • pp.23-27
    • /
    • 1977
  • 태양열을 냉방에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은 집열기,열교환기,냉동기 등으로 구성된다. 집열기는 난 방시와 마찬가지로 볼 때 냉난방을 병용하는 집열기를 사용하면 유리하다. 열교환기는 집열기에 서 수집한 열을 냉방기에 전달시키는 기능을 가지는데 용도에 따라 이것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냉동기로는 보통 흡수식 냉동기를 사요하나 그외 개방식, 분사식 등의 냉동기도 사용된다. 그러나 분방식 냉동기는 취급은 용이하나 흡수제의 재생조건이 까다로워 높은 습기를 갖는 경우 재생온도가 역시 높아져야 하므로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여름철의 습도가 높기 때문에 재생온도가 높아져야 하므로 태양열 냉방에는 부적당하다. 또 분사식 냉동기의 경우 성적계수(Coefficient of Performance) 가 다른 냉동기에 비해 낮고 증기압력이 낮으면 이것이 극히 낮아지기 때문에 태양 열 냉방에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그래서 태양열 냉방에 있어서 냉동기는 거의 흡수식을 사용하 고 있으며, 여기에서도 주로 흡수식 냉동기를 사용한 냉방에 대하여 논하고져 한다.

  • PDF

태양열 구동 흡수식 냉방 시스템 실증

  • 곽희열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년도 제17회 워크샵 및 추계학술대회
    • /
    • pp.353-362
    • /
    • 2005
  • 태양열시스템은 하절기에 급탕과 난방 부하가 적거나, 거의 없어 시스템의 과열 문제가 야기 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는 방안 중에 하나로 흡수식 냉방시스템을 이용하여 하절기 잉여열원을 활용하여 냉방하는 방법이 대두되고 있다. 태양열 냉방시스템은 전기에너지를 대체하는 효과 뿐 아니라 태양열 연간 이용 효율 극대화에도 크게 기여 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국내 기술로 최초로 개발 실용화된 중온용 단일 진공관형 태양열 집열기와 1중 효용 흡수식 냉방기를 이용하여 실증연구를 계획하였다. 태양열 냉방 실증을 위하여 단일 진공관형 태양열 집열기 집열면적 200m2, 축열조(태양열, 급탕, 냉수), 10RT급 냉방기, 냉각탑, 보조 보일러,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등이 계획 되었다. 실증시험 중간 결과 태양열 냉방시스템은 하절기 맑은 날 하루 동안 약 5 - 6시간 안정적으로 가동 되었으며, 앞으로 온수급탕, 난방 시험을 거쳐 시스템 성능 및 경제성 평가를 통하여 유용성, 안정성 및 신뢰성이 검증 될 계획이다.

  • PDF

국내 태양열 냉난방시스템 겸용 설치사례

  • 윤장수;조장현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40권5호
    • /
    • pp.18-24
    • /
    • 2011
  • 태양열 집열기에서 생산된 열원을 축열한 축열조의 온수를 겨울에는 직,간접 열교환을 통하여 난방을 실현하고 축열조의 여름에는 흡수식 냉동기 발생기(Generator)에 공급하여 흡수식 냉동기를 가동하고 냉동기에서 생산된 저온의 냉수로 냉방을 실현하는 태양열 냉난방 겸용시스템에 대한 설치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태양열을 이용한 흡수식 냉방기의 동특성 시뮬레이션 (Dynamic simulation of a solar absorption cooling system)

  • 정시영;조광운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784-794
    • /
    • 1998
  • The present study has been directed at developing thermal models to investigate the dynamic behavior of a solar cooling system including an absorption chiller, solar collectors, a hot water storage tank, a fan coil unit, and the air-conditioned space. The operation of the system was simulated for 8 hours in two different operation modes. In the mode 1, the system operated without any capacity control.0 the mode 2, an auxiliary boiler supplied heat to the generator if hot water temperature became lower than a certain value. Moreover, the mass flow rate of hot water to the generator was controlled by comparing the instantaneous room air temperature with the design value. The variation of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in the system components and that of heat transfer rates in the system were obtained for both modes of operation. It was found that the room temperature was maintained near the desired value in the mode 2 by supplying auxiliary heat or controlling the mass flow rate of hot water, while the deviation of room temperature was quite great in the mode 2.

  • PDF

태양열 냉.난방시스템의 열성능 분석 (Analysis of Thermal Performance of a Solar Heating & Cooling System)

  • 곽희열;신우철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8권4호
    • /
    • pp.43-4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imulation results and an overview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a solar heating & cooling system by means of the $200m^2$ evacuated tube solar collector. The simulation was carried out using the thermal simulation code TRNSYS with new model of a single-effect LiBr/$H_{2}O$ absorption chiller developed by this study. The calculation was performed for yearly long-term thermal performance and for two design factors: the solar hot water storage tank and the cold water storage tank. As a result, it was anticipated that the yearly mean system efficiency is 46.7% and the solar fraction for the heating, cooling and hot water supply are about 84.4 %, 41.7% and 72.4%, respectively.

태양열에 의한 냉방 및 난방시스템의 성능향상(II) - 태양열을 이용한 흡수식 냉동기의 성능 -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of Solar Cooling and Heating Systems (II) - The Characteristics of an Absorption Refrigeration Powered by Solar Systems -)

  • 박문수;김무근;김효경;노승탁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46-54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an absorption refrigerator powered by solar energy by experiments. Since the absorption refrigerator power by solar energy should have the characteristics which is suitable for the intermittence and rarity of solar energy,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eady state operations but also the partial load and the transient operations should be considered. The minimum available temperature of the storage tank should be known, and the absorption refrigerator can be suitably selected for air-conditioning systems.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data of the transient state for on-off and warming-up operations has been obtained. Also the experiments are performed which test the minimum available temperature of the storage tank. The results show that it takes 1 hour to get to the steady state of the absorption refrigerator, and the minimum available temperature of the storage tank is about $68^{\circ}C$, and show that in the partial load operations the performance of the absorption refrigerator is improved by applying the modified control method to on-off operations.

  • PDF

선형 프레넬 반사판 시스템의 집광 특성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Study of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of Linear Fresnel Reflector System)

  • 이현진;김종규;이상남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9권12호
    • /
    • pp.927-934
    • /
    • 2015
  • 고일사 지역인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태양열로 구동하는 흡수식 냉동 시스템 개발을 염두에 두고, 본 논문에서는 태양을 추적하는 선형 프레넬 반사판 시스템의 집광 특성을 수치해석 하였다. 몬테카를로 광선추적법을 기반으로 하는 광학 프로그램을 통해 집광 열유속, 집광 효율, 집광 에너지를 일년을 대표하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 날짜에 계산하였다. 동지를 제외하면, 9 시에서 15 시까지는 집광 성능이 일정한 가운데, 집광 효율도 7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시간대에서 흡수기 중심 20% 영역에 모이는 최대 열유속은 하지 때 약 $13.0{\sim}14.6kW/m^2$ 범위에서 변했다. 집광 시스템의 설계 인자 중에서 흡수기 설치 높이, 반사판의 폭, 반사판 사이의 거리가 집광 효율을 조사해 보면, 흡수기 설치 높이는 반사판의 폭에 관계없이 5 m 에서 최적의 성능을 나타냈다. 반사판의 폭이 작을수록 집광 효율이 좋지만, 반사판의 폭은 집광 되는 에너지에 직접적으로 비례하기 때문에 냉동 시스템의 용량에 맞추어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흡수기의 열전달 해석의 중요한 선행조건이므로 향후에 광학-열전달 연계된 해석을 통해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예측하고 설계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