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태양열 냉방

Search Result 6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태양열 구동 흡수식 냉방 시스템 실증

  • Gwak, Hui-Yeo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353-362
    • /
    • 2005
  • 태양열시스템은 하절기에 급탕과 난방 부하가 적거나, 거의 없어 시스템의 과열 문제가 야기 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는 방안 중에 하나로 흡수식 냉방시스템을 이용하여 하절기 잉여열원을 활용하여 냉방하는 방법이 대두되고 있다. 태양열 냉방시스템은 전기에너지를 대체하는 효과 뿐 아니라 태양열 연간 이용 효율 극대화에도 크게 기여 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국내 기술로 최초로 개발 실용화된 중온용 단일 진공관형 태양열 집열기와 1중 효용 흡수식 냉방기를 이용하여 실증연구를 계획하였다. 태양열 냉방 실증을 위하여 단일 진공관형 태양열 집열기 집열면적 200m2, 축열조(태양열, 급탕, 냉수), 10RT급 냉방기, 냉각탑, 보조 보일러,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등이 계획 되었다. 실증시험 중간 결과 태양열 냉방시스템은 하절기 맑은 날 하루 동안 약 5 - 6시간 안정적으로 가동 되었으며, 앞으로 온수급탕, 난방 시험을 거쳐 시스템 성능 및 경제성 평가를 통하여 유용성, 안정성 및 신뢰성이 검증 될 계획이다.

  • PDF

태양열을 이용한 냉방장치 -급수식 냉동기를 중심으로-

  • 하재현;이상천
    • Journal of the KSME
    • /
    • v.17 no.1
    • /
    • pp.23-27
    • /
    • 1977
  • 태양열을 냉방에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은 집열기,열교환기,냉동기 등으로 구성된다. 집열기는 난 방시와 마찬가지로 볼 때 냉난방을 병용하는 집열기를 사용하면 유리하다. 열교환기는 집열기에 서 수집한 열을 냉방기에 전달시키는 기능을 가지는데 용도에 따라 이것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냉동기로는 보통 흡수식 냉동기를 사요하나 그외 개방식, 분사식 등의 냉동기도 사용된다. 그러나 분방식 냉동기는 취급은 용이하나 흡수제의 재생조건이 까다로워 높은 습기를 갖는 경우 재생온도가 역시 높아져야 하므로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여름철의 습도가 높기 때문에 재생온도가 높아져야 하므로 태양열 냉방에는 부적당하다. 또 분사식 냉동기의 경우 성적계수(Coefficient of Performance) 가 다른 냉동기에 비해 낮고 증기압력이 낮으면 이것이 극히 낮아지기 때문에 태양 열 냉방에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그래서 태양열 냉방에 있어서 냉동기는 거의 흡수식을 사용하 고 있으며, 여기에서도 주로 흡수식 냉동기를 사용한 냉방에 대하여 논하고져 한다.

  • PDF

태양열을 이용한 제습/냉방시스템 개발

  • Choe, Gwang-Hwan;Kim, Jong-Yeol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9 no.1
    • /
    • pp.63-70
    • /
    • 2010
  • 최근에 많은 각광을 받고 있는 제습/냉방시스템 중 태양열을 이용하는 제습/냉방방식의 원리 및 응용에 이르기까지 전반적 지식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Solar Cooling Technology (태양열 냉방 시스템)

  • Baek, Nam-Choon
    • Solar Energy
    • /
    • v.18 no.2
    • /
    • pp.31-49
    • /
    • 1998
  • Four main solar cooling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over the past twenty years are considered in this paper. These technologies include absorption, vapor compression, desiccant, adsorption, etc. All of these solar cooling technologies considered here are solar thermal ones. The destails of the thermodynamic cycle of these solar cooling technologies are given. The general concept of these solar cooling and the relative advantages among them are also presented. At last, the status and outlook for each approach are summarized.

  • PDF

A Study on Heat and Mass Transfer with the Different Flows in a Solar Desiccant Cooling System (태양열제습냉방시스템에서의 유량에 따른 열전달 및 물질전달에 관한 연구)

  • Eflita, Yohana;Choi, Kwa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30 no.5
    • /
    • pp.17-24
    • /
    • 2010
  • 태양열 제습냉방은 액체흡수제를 이용한 냉각효과로 기존의 전기에너지를 가능케 하는 해결책중 하나이다. 따라서 태양열을 거의 활용하지 않는 여름에 가열온수를 열원으로 활용하여 쾌적조건을 구현하는 본 연구의 대상인 태양열냉방시스템은 제습기와 재생기로 크게 이루어져 있다. 본 논문은 제습기의 유량 변화에 따른 열전달 및 물질전달의 변화를 실험과 이론적 해석으로 규명하고 있는데, 흐름의 양상은 병렬형과 대향류형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실험결과와 이론해석이 비교적 잘 일치하였으며, 대향류형이 병렬형보다도 물질전달 면에서 유리하게 나타났으며, 입 출구의 엔탈피 차이에서도 크서 열전달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 차이를 본 논문에서는 나타내었으며, 일정한 높이나 길이 이상에서는 항상 일정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의 결과들은 제습기의 유동흐름을 통한 태양열냉방시스템 중 제습기의 설계 및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줄 것이다.

국내 태양열 냉난방시스템 겸용 설치사례

  • Yun, Jang-Su;Jo, Jang-Hyeon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40 no.5
    • /
    • pp.18-24
    • /
    • 2011
  • 태양열 집열기에서 생산된 열원을 축열한 축열조의 온수를 겨울에는 직,간접 열교환을 통하여 난방을 실현하고 축열조의 여름에는 흡수식 냉동기 발생기(Generator)에 공급하여 흡수식 냉동기를 가동하고 냉동기에서 생산된 저온의 냉수로 냉방을 실현하는 태양열 냉난방 겸용시스템에 대한 설치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Energy Efficient Smart Module with Variable Direction of Heat Flow, Heat Capacity and Surface Absorptivity (Thermo-Diode식 태양열 이용 모듈(Smart Module)개발)

  • Lee, K.J.;Chun, W.G.
    • Solar Energy
    • /
    • v.18 no.3
    • /
    • pp.119-128
    • /
    • 1998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develop a thermo-diode system capable of adjusting heat flow direction, solar absorptivity and thermal capacity. What we call "Smart Module" here has emerged from a series of repeated processes involving design, construction and test. In all, it is found that liquid thermo-diode systems are viable in harnessing the sun's energy. The module can be applied for space heating in winter and reduce the cooling load of buildings in summ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