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태양열시스템 설계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31초

단일 모듈 반사경을 이용한 태양열 집열 시스템의 설계, 제작 및 온도측정 시험연구 (Design, Fabrication and temperature measuring experiments of solar collecting system using a single module reflectors)

  • 양병수;양우;서태일;손창우
    • Design & Manufacturing
    • /
    • 제13권1호
    • /
    • pp.19-24
    • /
    • 2019
  • Currently, the world is paying keen attention to the production of renewable energy along with environmental issues, and the share of renewable energy in the world is rising above that of nuclear power. Especially when Korea, which is heavily dependent on foreign countries, needs to reconsider its national competitiveness due to the recent high oil prices, the government's energy policy is to develop and use renewable energy that replaces fossil fuels. In particular, solar energy, the most actively studied and commercialized field of renewable energy, is the main research for solar energy and is commercialized and used. However, the efficiency of solar energy has already reached saturation. Studies are also focusing on increasing the reflectivity of solar energy to increase efficiency.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solar collection system that can utilize solar energy rather than solar energy. The proposed solar heat collection system uses solar tracking systems to effectively collect solar energy, particularly those that can be easily produced using single-modular reflectors and have price competitiveness. In addition, temperature measurement experiments with temperature measuring sensors were conducted to ensure reliability in order to verify the results interpreted.

태양열 급탕시스템의 최적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un Design of Solar Hot Water Heating System)

  • 이원태;서정일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13권4호
    • /
    • pp.230-236
    • /
    • 1984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estimating the useful output of solar D.H.W. system. Heating load calculations, climate data and various conditions are used in this procedure to assess the fraction of the monthly solar energy and the actual solar energy supplied by solar energy for particular system. The design procedure presented in this paper referred to the f-Chart Method. The results of analyzing of this study by Fortran programming are as follows ; 1 . The amount of actual solar energy required to the hot water system is slowly rised to the ascend of tilt angle within the range of $45^{\circ}$, with is decreased since $45^{\circ}$. 2. The fraction of solar energy is superior when collector area is $8.64m^2$. 3. At the tilt angle with the range of $37.6^{\circ}\~45^{\circ}$, the amount of actual solar energy established the best results. 4 Both the fraction of solar energy and the actual solar energy are the most suitable during the storage volume is $300{\iota}$.

  • PDF

벤로형 온실의 잉여 태양에너지 분석 (Analysis of Surplus Solar Energy in Venlo Type Greenhouse)

  • 최만권;신익수;윤성욱;김현태;윤용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1-99
    • /
    • 2013
  • 본 연구는 주간동안 온실 내에서 발생되는 잉여 태양에너지 축열 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확보한 표준기상년 데이터를 이용하여 벤로형 온실을 대상으로 잉여 태양에너지를 분석하였다. 파프리카의 경우, 지역별 난방부하는 제주, 진주 및 대관령지역에 대해 각각 약 1,107.8GJ, 1,010.0GJ 및 3,118.5GJ로 분석되었다. 잉여 태양에너지의 경우, 제주지역 1,845.4GJ, 진주지역 1,881.8GJ, 대관령지역은 2,061.8GJ로 나타나 대관령지역이 제주 및 진주지역에 비해 각각 11.7% 및 9.6% 정도 크게 나타났다. 국화의 경우, 지역별 난방부하는 제주지역 1,202.5GJ, 진주지역 1,042.0GJ, 대관령지역은 3,288.6GJ 정도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지역별 차이는 파프리카의 경우와 유사였다. 잉여 태양에너지는 제주, 진주 및 대관령지역에 대해 각각 1,435.2GJ, 1,536.2GJ, 및 1,734.6GJ로 나타나 대관령 지역이 제주 및 진주지역에 비해 각각 20.9% 및 12.9% 정도 크게 나타났다. 파프리카를 재배하는 경우가 국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역에 관계없이 난방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적고 잉여 태양에너지는 많은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관령지역을 제외하면 잉여 태양에너지가 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보다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소요 난방에너지는 지역 및 재배작물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오이가 일반적으로 많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국화 및 파프리카 순이었다. 잉여 태양에너지는 대체적으로 파프리카, 오이 및 국화 순으로 많게 나타났다.

초임계 CO2 발전 기술개발 동향 (The Technology Development Trends of Supercritical CO2 Power Generation)

  • 김범주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2권4호
    • /
    • pp.531-536
    • /
    • 2016
  • 세계적으로 온실가스저감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고효율 발전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연구개발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초임계 $CO_2$ 발전기술은 효율 향상과 소형화, 다양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2000년대 이후 세계 여러 나라에서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초임계 $CO_2$ 발전 시스템은 $CO_2$를 작동유체로 하는 발전 시스템으로 크게 간접가열방식과 직접가열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연구는 간접가열방식의 초임계 $CO_2$ 발전 시스템 개발에 집중되어 있고, 미국은 NREL을 중심으로 태양열 연계 초임계 $CO_2$ 발전 시스템을 개발 중이며, DOE는 올 해 화력 연계 초임계 $CO_2$ 발전 시스템 개발에 대한 투자도 시작할 계획이다. GE는 10MW급 초임계 $CO_2$ 발전 시스템 개발뿐만 아니라, 50MW급과 450MW급 초임계 $CO_2$ 발전시스템의 개념 설계도 진행 중에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원자력연구원이 초임계 $CO_2$ 발전시험 설비를 구축해오고 있으며,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은 현대중공업과 함께 디젤 및 가스엔진 폐열을 이용하여 2MW급 초임계 $CO_2$ 발전시스템 개발을 진행 중에 있다.

윈치커튼 환기가 비육돈사의 실내 환경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inch-curtain Ventilation on the Indoor Environment of a Fattening Swine House)

  • 김현태;송준익;최홍림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8
    • /
    • 2012
  • 돈사의 피상부(皮上部) 환경개선을 위한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용인군에 위치한 형제농장의 비육돈사를 실험축사로 선정하여, 외부환경에 따른 돈사환경의 변화, 실내 공기유동을 위한 팬의 유무 등이 실내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외기온이 $25.7^{\circ}C$인 실험 1의 경우 측벽 윈치커튼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용마루(ridge)의 윈치커튼를 통하여 배출되었으며, 중앙단연의 속도가 바닥부근 유속의 2~3 배에 이르는 것은 열부력(thermal buoyancy) 때문에 공기유동이 에너지를 얻어 유속이 가속되었으며, 측벽 윈칙커튼으로 유입된 공기유동은 급격히 확산되어 소산(消散)(disssipation)되었다. 그러므로 윈치커튼 돈사의 경우, 외부 바람의 속도가 거의 없거나 있어도 속도가 적다면, 돈사내 공기유동의 형태는 주로 열부력에 의하여 결정됨을 알 수 있다. 2. 실험 1에서는 비교적 균일한 온도분포를 보이고 있으나 실내온도가 외부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외기온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돼지의 현열 및 배출분뇨에 의한 바닥층의 부숙열이 피상부(皮上部) 공간의 현열접적을 환기로 적절히 제거시키지 못한 결과로 판단된다. 따라서 실내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서는 강제환기 시설 또는 측벽 및 용마루 윈치커튼의 개폐정도 등을 포함한 관리논리를 개발할 필요하다. 3. 실험 2는 실험 1과 같이 외기온이 $25.7^{\circ}C$로 비슷하나 복사열의 영향여부를 실험 1과 비교검정하기 위하여 흐린 날을 선택하고 돈사내 강제환기를 위한 팬을 작동시킨 상태에서 중앙단면에서의 유속을 측정한 결과 실험 1에 비해 속도가 대체로 크나, 편차 또한 크게 나타났으며, 팬 작동시 공기유동의 정체지역(dead region)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강제환기시에는 보다 정확한 환기율을 결정하고 설계 시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바람이 없고 외기온이 매우 높은 여름철에는 열집적을 효과적으로 희석시키기 위해서 연속적인 강제환기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 실험 2에서의 유해기체의 농도를 실험 1과 비교해 보면 전체적으로는 편차가 적게 나타났으며, 외부기상의 차이로 인해 암모니아의 농도는 실험 1에 비해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외부기상에 따른 실내공기 유동의 효율저하, 상대습도의 변화 등으로 판단되며, 외기상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환기시스템의 개발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5. 실험 2에서의 온도분포는 거의 편차가 없이 균일하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비로 인하여 지붕이 받는 부가적인 태양복사열이 없었으며, 실험 1과는 달리 열부력에 의한 상고하저(上高下低)의 전형적인 수직분포가 나타나지 않고, 오히려 지붕을 냉각시키는 효과를 가져와 상저하고(上低下高)의 분포를 나타냈으며, 수평온도분포도 팬에 의한 강제환기에 의해 실내공기를 균일하게 분포시켜 거의 편차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지붕의 단열이 축사환경제어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았으며, 이를 위해서 지붕의 단열 및 높이 등의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

비연속적 에너지 발전 환경을 고려한 웨어러블 기반 P-EH 플랫폼 개발 (A Development of P-EH(Practical Energy Harvester) Platform for Non-Linear Energy Harvesting Environment in Wearable Device)

  • 박현문;김병수;김동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093-1100
    • /
    • 2018
  • 웨어러블 기기에서 반도체의 소형화 및 저전력 기술이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초소형 형태의 응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태양열, 피에조, 마찰 등 다양한 에너지 하베스터를 이용해 저전력 반도체는 매우 낮은 전원으로도 동작할 수 있게 되었다. 웨어러블 상황에서의 대부분에 에너지 하베스팅은 비연속적(non-linear)으로 발전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3Hz의 낮은 주파수기반 디바이스 플랫폼을 제작하여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비연속적 발전 환경을 고려해, 2단계의 저장환경과 사용된 에너지 발전소자의 맞춘 에너지 고효율 변환 플랫폼 설계하였다. 또한, 비연속적 에너지 수집 환경에서 안정적인 에너지를 저장 유지를 통해 약 4.67mW/min 발전하였다.

응축방식을 이용한 담수화 시스템의 성능예측을 위한 분석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the Performance Analysis of a Desalination System by Condensing Method)

  • 김철호;김원일;최재영;김재철;김민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2권1호
    • /
    • pp.47-5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태양열에 의해 증발된 해수면에서의 수증기를 응축의 원리를 이용하여 담수의 생산이 가능한 친환경 담수장치(Eco-friendly Desalination System)를 고안하고, 가능성을 판단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응축 열전달 공식을 이용하여 습공기의 물성변화에 따른 연간 응축수 생산량을 예측하였으며, 항온항습챔버의 실험을 통해 실제 습공기조건 변화에 따른 응축량을 측정하였다. 습공기의 이론 응축률과 실험을 통해 측정한 실제 응축률의 오차율을 산출하였으며, 오차의 원인을 분석하고 응축률 보정계수인 응축계수와 점성계수를 구하여 보정된 이론 응축률 공식에 도출하였다. 보정된 응축률 식을 이용하여 설계된 규모의 풍력터빈연간 생산 가능한 담수량을 산출한 결과 최대 연간 약 2,927톤 정도의 담수를 생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LID 시설 내 IoT 기술을 활용한 오염물질 상관성 분석 (Correlation analysis of pollutants using IoT technology in LID facilities)

  • 전민수;최혜선;;;김이형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453-453
    • /
    • 2021
  • 도시지역 비점오염원관리, 물순환 회복, 침투 및 증발산량 증가, 열섬현상 저감을 위한 주요한 방안으로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과 그린인프라 기법의 적용되고 있다. LID 시설은 소규모 분산형 시설로써 넓은 지역에 많고 다양한 시설들이 적용되어 시설의 개수가 많으며, 수질 및 토양 내 기성제품에 대한 센서들의 가격은 고가로 형성되어 있어 기기의 경제성 및 유지관리 등 적용하는데 제한적이다. 따라서 과거 모니터링 자료를 기반으로 오염물질들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계측이 어려운 항목들을 계측가능한 항목들로부터 예측 가능하며, 선정된 항목들에 대한 비용효율적인 센서를 개발하여 실시간 LID 모니터링이 가능한 비용효율적 모니터링을 개발하였다. 공주대학교 천안캠퍼스의 LID 시설들은 2013년에 조성되어 현재까지 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며, 5년이상의 과거 강우시 모니터링 자료들을 이용하여 오염물질 상관성 분석을 수행가능 하기에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오염물질 상관성 분석은 2013년부터 2017년도에 침투도랑에서 수행된 강우시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하여 각 오염물질들의 상관성을 분석을 수행하였다. 침투도랑 내 유입되는 평균 유입수는 TSS 286.1±318.3 mg/L, BOD 22.6±39.5 mg/L, TN 8.96±5.85 mg/L, TP 1.01±1.11 mg/L로 나타났다. 겨울철에 비해 여름철에서의 오염물질의 유입농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여름철 고온건조로 인한 노면 내 차량의 주행으로 인한 중금속, 폐타이어 등과 장마철 강우 시 유출된 토사로 인하여 유입수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오염물질 부하량은 TSS와 COD 0.66으로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왔으며, COD와 TSS, TP, TN 등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Arduino와 Raspberry PI를 활용하여 저비용 센서와 LTE 모뎀통신과 데이터 베이스 연결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을 통해서 무선으로 LID 시설에 대한 모니터링을 침투화분2와 식생체류지에 조성하였다. 전력공급이 어려운 식생체류지의 경우 태양열(Solar system) 시스템과 보조 전력 배터리를 조성하여 장마철이나 장기적인 악천후로 인한 전력을 생산하지 못할 경우 보조전력배터리에서 전력을 제공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도록 설계하였다. 토양함수량, 토양온도와 Conductivity 등 3종류의 센서를 적용하였으며, 프로그램은 현재 2단계를 통한 2차수정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구축하였다. 오차, 오작동, 계측값에 대한 검·보정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대기자료의 구축을 통해 보다 토양과 LID 시설에 대한 영향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