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태양광 발전

Search Result 2,387,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An Optimum Power Rating Selection of a Photovoltaic-Wind Hybrid Generation System Utilizing Least Square Method (최소 자승법을 이용한 태양광.풍력 복합 발전 시스템의 최적 용량 선정)

  • Kim, Si-Kyung;Yu, Gwon-Jong;Song, Jin-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6.07a
    • /
    • pp.379-381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그리드 독립형 태양광 풍력 복합 발전 시스템에 대한 최적의 태양광 어레이 사이즈 및 풍력 발전 시스템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연구에 사용되어진 풍력 및 태양광 일사량에 대한 데이터는 제주도 지역에서 1년간 실측되어진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이러한 실측되어진 데이터는 풍속 및 태양광의 확률 밀도 함수(Probability Density Function)를 결정하는데 사용되어 졌다. 풍속 및 태양광 일사량의 확률 밀도 함수와 태양광 어레이 및 풍력 발전기의 여러 파라미터는 복합 발전 시스템의 평균 발생 전력을 계산하는데 사용하였고, 도서지역에서 1년간 계측되어진 부하의 변동에 대하여 최적의 태양광 어레이, 풍력 발전 용량을 선정 하기 위하여 최적 자승의 법칙이 사용되었다.

  • PDF

Evaluation of the water quality changes in agricultural reservoir covered with floating photovoltaic solar-tracking systems (수상회전식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로 발생된 차광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의 수질 변화)

  • Lee, In Ju;Joo, Jin Chul;Lee, Dae Hong;Kim, Jong Kyu;Woo, Do 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75-179
    • /
    • 2016
  • 수상 태양광 발전시설은 댐이나 호소, 저수지의 잉여공간인 수면역에 설치하여 수위 변동에 대응하고 육상 대비 발전효율이 높은 발전시스템이지만 수상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로 인하여 수질오염 및 수생태계 교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지속적으로 대두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안성시에 위치한 금광저수지 내 수상회전식 태양광 발전시설의 모니터링을 통해 발전시설의 설치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상회전식 태양광 발전시설로 인하여 차광이 되는 차광구역 6지점과 그 외 비차광구역 4지점을 선정하여 차광으로 인한 수질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수상회전식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로 인하여 수체의 차광 및 광에너지 저하로 인한 수질 및 조류 농도의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할 정도(p<0.05)의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A Study on Voltage Variation in Grid-Connected Photovoltaic System using EMTP (EMTP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의 계통 연계시 전압변동 분석에 관한 연구)

  • Park, June-Hee;Seo, Hun-Chul;Yeo, Sang-M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1a
    • /
    • pp.241-243
    • /
    • 2008
  • 태양광 발전 기술의 발달로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계통연계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발전이 계통에 연계됨에 따라 기존 배전계통에 미치는 전압변동 즉, 플리커 현상을 분석하였다. EMTP/ATPDraw를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이 연계된 배전계통을 모델링 하였다. 태양광 발전은 직류가 3상 PWM 인버터를 통하여 교류로 변환되어 계통에 연결되도록 모델링하였다. 태양광 array를 병렬로 연결하여 태양광 발전의 출력량을 증가시켜서, 출력변동에 따른 계통의 전압변동을 분석 하였다.

  • PDF

Photovoltaic Power-Conditioning System With Super Capacitor for MPPT Control in Stand - alone Operation (자립 운전시 최대전력 추종 가능한 슈퍼커패시터 저장형 태양광 전력조절기)

  • Park, S.J.;Park, J.H.;Jeon, H.J.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11a
    • /
    • pp.68-69
    • /
    • 2010
  • 자립 운전시 전력조절기는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에서 사용을 할 경우 부하에 의해 출력이 결정되어 최대전력 추종을 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립 운전시의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안정적인 최대전력 추종을 할 수 있도록 에너지 저장장치가 결합된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태양광 발전의 전력 손실을 줄이고 또한 태양광 발전 전력이 부족할 경우에서도 부하 측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기 위하여 에너지 저장장치와 DC-DC 양방향 컨버터를 이용한다. 에너지 저장장치의 한 예로 슈퍼커패시터를 충 방전함으로써 태양광 발전 에너지에 의한 안정적인 출력을 낼 수 있고, 태양광 발전 전력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전력조절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연구 동향

  • Im, Sang-Hyeok
    • Bulletin of the Korea Photovoltaic Society
    • /
    • v.1 no.1
    • /
    • pp.34-41
    • /
    • 2015
  • 본고에서는 최근 차세대 태양광 발전소자로 주목받고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연구 동향에 대해서 소개 하고자 한다.

  • PDF

Intelligent Prediction System for Diagnosis of Agricultural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영농형 태양광 발전의 진단을 위한 지능형 예측 시스템)

  • Jung, Seol-Ryung;Park, Kyoung-Wook;Lee, Sung-K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5
    • /
    • pp.859-866
    • /
    • 2021
  • Agricultural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is a new model that installs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on top of farml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ncrease farm household income by producing crops and electricity at the same time. Recently,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utilize agricultural solar power generation. Agricultural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has a disadvantage in that maintenance is relatively difficult because it is installed on a relatively high structure unlike conventional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intelligent and efficient operation and diagnostic functions are required.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prediction and diagnosis system to collect and store the power output of agricultural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nd implement an intelligent prediction model. The proposed system predicts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based on the amount of solar power generation and environmental sensor data,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facility, calculates the aging degree of the facility and provides it to the user.

A study on solar-wind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태양광 및 풍력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에 관한 연구)

  • Oh, Jin-Seok;Jo, Kwan-Ju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3 no.8
    • /
    • pp.1226-1231
    • /
    • 2009
  • In this paper, a solar-wind hybrid system is decsribed for Stand-Alone(SA) power generation system. Mostly SA power generation system for ocean facilities composes a solar system. Normally, the output power of solar system is decreased with weather condition as cloudy and rainy. Solar-wind hybrid system can be operated as complement system each other.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 simulation of solar and wind is performed by LabVIEW. The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is designed according to simulation results, and is tested for checking the complement characteristic.

Optimization Design of Floating PV Structure for Back Surface Temperature of PV Module (PV모듈의 배면온도를 고려한 수상 태양광발전 부유구조물의 최적 설계)

  • Kim, Seok-K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088-108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의 발전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태양전지 모듈의 배면온도를 낮출 수 있는 부유구조물의 최적화 설계에 대한 것이다. 저수지 수면은 태양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면 물 온도의 상승으로 밀도저하가 발생되고 저수지의 수면이 최상층에 위치하여 지속적으로 태양에너지가 흡수는 경우 최상층의 수면온도가 $60^{\circ}C$ 이상 상승하게 된다. 이는 태양전지 모듈의 배면온도 상승을 주도하여 시스템 발전량의 감소원인으로 작용한다. 수상 태양광발전시스템의 효율 향상을 위해 태양전지 모듈의 온도 저하가 반드시 필요하고, 더불어 저수지 지리적 요건에 따른 바람의 영향 등을 고려한 태양광발전 부유구조물 최적 설계가 요구된다. 열전달 수치해석을 통해 태양광발전 구조물에 대한 최적설계, 태양전지 모듈의 온도 측정 및 성능 검증을 통해 태양광발전 구조물의 상하단의 높이의 최적 설계 조건을 확립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ower 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Buoy System for Ocean Facilities (해상용 브이 시스템의 발전 특성에 관한 연구)

  • Jo, Kwan-Jun;Bae, Soo-Young;Kwak, Jun-Ho;Jung, Sung-Young;Oh, Ji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9.06a
    • /
    • pp.502-503
    • /
    • 2009
  • 해상용 브이 시스템은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필요하다. 현재 해양시설물은 독립적인 전력 시스템을 위해 태양광 발전을 많이 이용한다. 태양광 발전은 많은 분야에 쓰이고 있지만, 해상에서는 육상에서 만큼의 효율을 갖지 못한다. 또한, 날씨가 흐리거나 밤에는 발전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발전량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파력 발전과 태양광 발전을 함께 사용하여 복합발전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논문은 복합 발전 시스템을 통해 해상용 브이 시스템에 안정적인 전력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태양광 발전과 파력 발전이 상호 보완적임을 증명하였고, 해양 시설물에 복합 발전 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 PDF

Computing the Efficiency of Solar Cell and Detecting Failures in the Solar Cells (태양 전지의 효율성 계산과 고장 여부 판단)

  • Kim, Young-Hoon;Shim, Kyu-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10-12
    • /
    • 2012
  • 태양광 발전이란 햇빛을 전기로 전환하는 친환경 차세대 대체 에너지 생산기술로 오래 전부터 주목받아 왔다. 태양광 발전에는 태양열을 모아 이를 발전에 사용하는 태양열 집중방식과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직접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으로 나뉘는데 반도체 생산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점차 태양광 발전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태양광 발전의 효율은 크게 일사량과 온도에 의해 결정되는데 두 요소에 따라 효율의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정확한 발전 효율을 측정하는 일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발전소에서 수집된 온도와 일사량, 발전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형 회기 분석과 확률적 모델링을 사용해 현재 발전량의 신뢰도를 계산하고 발전모듈 점검의 필요성을 판단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