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태도형성

Search Result 672,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Preparation of Students for Future Challenge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미래를 위한 간호교육)

  • Kim Euisook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50-59
    • /
    • 1981
  • 간호학생들이 당연하고 있는 문제점 미래의 간호학생들이 교육문제를 논하기 위하여는 간호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이해하는 것이 우선순위가 될 것이다. 간호학생들이 문제점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서 뿐아니라 미국에서도 꽤 많이 시행되어져 왔으며 특히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되는 중퇴자들에 대한 연구들 중에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언급한 것이 많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 대학과정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 보고될 Munro의 자료에 의하면 전문대학과정에서 27$\%$, 대학과정에서는 41$\%$의 간호학생들이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이 중간탈락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그 중 ''간호학에 흥미를 잃어서''가 가장 큰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이곳 한국사회에서도 역시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학입시경쟁과 대학내에서의 전과가 거의 허용되지 않는 특수여건이기 때문에 학교를 중간 탈락하는 율은 미국이 보고만큼 높지는 않으나 역시 ''간호학에 흥미를 잃는다''는 것이 간호학생들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 시행된 간호학생들에 관한 연구(표 1 참조)에 의하면 간호학생들의 학문에 대한 만족도는 조사자의 35$\~$50$\%$정도에 불과하였고 더우기 이 비율은 고학년에 올라갈수록 더욱 감소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서 시행된 어느 연구보고에 의하면 간호학에 실망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전체의 67$\%$였으며, 다른 학교로 전과를 희망한 경험이 있다는 학생이 71$\%$나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왜 흥미를 잃게 되는지 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해 주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미국의 한 저자는 간호학생들이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원인을 간호원의 역할에 대한 이해가 정확하지 못한 것과 졸업 후 진로기회에 대한 인식부족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이유는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이다. 간호학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도 다른 전공분야보다는 훨씬 다른 여러 종류를 보이고 있다. 즉, 종교적 이유,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할 수 있는 직업이기 때문에, 쉽게 취업을 할 수 있어서, 결혼 후에도 직업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외국으로 쉽게 취업할 수 있어서 등이 간호학을 선택한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흥미나 적성에 맞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간호학을 택한 학생의 수는 다른 과에 비하여 훨씬 적다. 이러한 흥미나 적성 때문이 아닌 여러 가지 다른 이유들로 인하여 간호학을 택한 경우에 특히 간호학에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는 것을 볼 수 있다. 간호학에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일수록 추상적이고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보다 더 간호학에 지속적인 흥미를 가지며 중간에 탈락하는 율이 훨씬 적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또한 흥미나 적성 때문에 간호학을 택하였다는 학생들이 다른 과로 전과를 희망하는 율이 낮다는 것도 보고되었다. 둘째, 교과내용자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이다. 간호학에 대한 체계적인 교과내용의 결여, 과중한 과제물, 임상실습에서의 욕구불만, 실습으로 인한 부담, 지식과 실습의 차이점에 대한 갈등 등이 주요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이 교과목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 특히 실습경험에서의 갈등을 학생들이 흥미를 잃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어느 한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90$\%$가 임상실습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그들 중의 88$\%$가 실습감독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교수들에 대한 불만족이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학년이 올라가면 갈수록 교수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며 또한 그에 비례하여 간호학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교육내용에 대한 전문지식의 결여, 학생들과의 인간적인 관계의 결여, 교수법에 대한 불만족 등이 교수에 대한 불만의 주요내용으로 보고되었다. 미래의 간호에 부응할 학생교육 계속적인 사회적 변동과 더불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요구도와 앞에서 기술한 문제점 등을 감안할 때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간호학에 확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준비시키므로써 간호환경에서 실망하기보다는 오히려 그것을 받아들여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책임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교육시키는 것이 미래의 간호학생을 준비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교육을 위하여 다음의 두가지 안을 제시한다. 1.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서로의 좋은 동반자 : 교수들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특히 학생들의 성취도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는 이미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 Tetreault(1976)가 간호학생들의 전문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한 바에 의하면 다른 어느 것보다도 교수의 전문의식여부가 학생들의 전문의식 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교수에게 신뢰감을 가지고 있을때, 교수들이 전문가로서의 행동을 하는 것을 보았을때 비로서 배움이 증가된다고 하였다. Banduras는 엄격하고 무서운 교수보다는 따뜻하고 인간적인 교수에게 학생들이 더 Role Model로서 모방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보고 하였다. 그러면 어떻게 학생에게 신뢰받는 교수가 될 수 있겠는가? apos;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할 때apos;라고 한마디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Lussier(1972)가 언급한 것처럼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교육은 Piaget이 언급한 교육의 기본 목표, 즉 개인에게 선배들이 한 것을 그대로 반복하여 시행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시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하는 목표에는 도달할 수 없으며 이러한 목표는 간호학에도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할 기본목표이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현재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또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계속 파악하고 있는 것이 학생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을 할 수 있는 기본조건이 될 것이다. 의외로 많은 교수들이 학생들을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표 2는 현 간호학생들이 생각하고 있는 가치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교수가 그 가치관과 문제점을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개 4년제 대학 200여명의 학생과 그 대학에 근무하는 18명의 교수진을 대상으로 질문한 결과를 간략하게 보고한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학생이 보고하는 가치관, 문제점, 교수에게 바라는 점이 교수가 이해하고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귀를 기울이고 이해하며, 그 요구에 부응하려고 노력할때 진정한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이때 비로서 우리는 apos;partnershipapos;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간호학에 대한 실망은 줄어들 수 있을 것이며 우리도 학생들에게 전문가적인 태도를 함양시켜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될때 앞으로 기다리고 있는 미지의 의무에 효과적으로 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질을 형성한 학생들을 준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2. 간호모델에 의한 교과과정의 확립과 임상실습에의 적용 : 교과과정이 학생들의 모양을 만들어주는 하나의 기본틀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학생들을 준비시키기 위하여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방향의 교과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재론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미 진취적인 간호대학에서는 guided design systems approach 또는 integrated curriculum 등의 새로운 교과과정을 시도하고 있음은 알려진 사실이다. 물론 간호모델에 준한 교과과정을 발전시키는데 대한 장점과 이에 수반되는 여러가지 새로운 문제점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으나 모든 교과과정이 처음 시도될 때부터 완전한 것이 있을 수 없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숙되는 것임을 감안해 볼 때 이러한 새로운 교과과정에의 시도는 미래의 새로운 간호방향에 필수적인 사업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몇가지 게안점을 첨부하려 한다. (1) 새로운 교과과정의 개발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교수진의 협력과 참여로 이루어져야 한다. (2) 비록 처음에는 어렵고 혼란이 있더라도 교과과정은 의학모델이 아닌 간호모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간호모델에서 다루어지는 개념들은 모두 직접 간호업무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4) 교과과정의 결과로 배출되는 학생들의 준비정도는 그 지역사회에 적합하여야 한다. (5) 그 지역사회의 고유한 문화적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아직 우리는 간호분야 내부의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시기에 있다. 우리 내부의 문제점을 잘 해결할 수 있을때 외부와의 갈등에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내부의 갈등을 잘 해결하기 위한 힘을 모으기 위하여는 동반자, 즉 교수와 학생, 간호교육자와 임상간호원 등이 서로 진정한 의미의 동반자 될때 가장 중요한 해결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 PDF

Broadening the Understanding of Sixteenth-century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 Gyeongpodae Pavilion and Chongseokjeong Pavilion (16세기(十六世紀) 실경산수화(實景山水畫) 이해의 확장 : <경포대도(鏡浦臺圖)>, <총석정도(叢石亭圖)>를 중심으로)

  • Lee, Soomi
    • MISULJARYO - National Museum of Korea Art Journal
    • /
    • v.96
    • /
    • pp.18-53
    • /
    • 2019
  • The paintings Gyeongpodae Pavilion and Chongseokjeong Pavilion were recently donated to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unveiled to the public for the first time at the 2019 special exhibition "Through the Eyes of Joseon Painters: Real Scenery Landscapes of Korea." These two paintings carry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Joseon art history. Because the fact that they were components of a folding screen produced after a sightseeing tour of the Gwandong regions in 1557 has led to a broadening of our understanding of sixteenth-century landscape painting. This paper explores the art historical meanings of Gyeongpodae Pavilion and Chongseokjeong Pavilion by examining the contents in the two paintings, dating them, analyzing their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comparing them with other works. The production background of Gyeongpodae Pavilion and Chongseokjeong Pavilion can be found in the colophon of Chongseokjeong Pavilion. According to this writing, Sangsanilro, who is presumed to be Park Chung-gan (?-1601) in this paper, and Hong Yeon(?~?) went sightseeing around Geumgangsan Mountain (or Pungaksan Mountain) and the Gwandong region in the spring of 1557, wrote a travelogue, and after some time produced a folding screen depicting several famous scenic spots that they visited. Hong Yeon, whose courtesy name was Deokwon, passed the special civil examination in 1551 and has a record of being active until 1584. Park Chung-gan, whose pen name was Namae, reported the treason of Jeong Yeo-rip in 1589. In recognition of this meritorious deed, he was promoted to the position of Deputy Minister of the Ministry of Punishments, rewarded with the title of first-grade pyeongnan gongsin(meritorious subject who resolved difficulties), and raised to Lord of Sangsan. Based on the colophon to Chongseokjeong Pavilion, I suggest that the two paintings Gyeongpodae Pavilion and Chongseokjeong Pavilion were painted in the late sixteenth century, more specifically after 1557 when Park Chung-gan and Hong Yeon went on their sightseeing trip and after 1571 when Park, who wrote the colophon, was in his 50s or over. The painting style used in depicting the landscapes corresponds to that of the late sixteenth century. The colophon further states that Gyeongpodae Pavilion and Chongseokjeong Pavilion were two paintings of a folding screen. Chongseokjeong Pavilion with its colophon is thought to have been the final panel of this screen. The composition of Gyeongpodae Pavilion recalls the onesided three-layered composition often used in early Joseon landscape paintings in the style of An Gyeon. However, unlike such landscape paintings in the An Gyeon style, Gyeongpodae Pavilion positions and depicts the scenery in a realistic manner. Moreover, diverse perspectives, including a diagonal bird's-eye perspective and frontal perspective, are employed in Gyeongpodae Pavilion to effectively depict the relations among several natural featur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l scenery around Gyeongpodae Pavilion. The shapes of the mountains and the use of moss dots can be also found in Welcoming an Imperial Edict from China and Chinese Envoys at Uisungwan Lodge painted in 1557 and currently housed in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Furthermore, the application of "cloud-head" texture strokes as well as the texture strokes with short lines and dots used in paintings in the An Gyeon style are transformed into a sense of realism. Compared to the composition of Gyeongpodae Pavilion, which recalls that of traditional Joseon early landscape painting, the composition of Chongseokjeong Pavilion is remarkably unconventional. Stone pillars lined up in layers with the tallest in the center form a triangle. A sense of space is created by dividing the painting into three planes(foreground, middle-ground, and background) and placing the stone pillars in the foreground, Saseonbong Peaks in the middle-ground, and Saseonjeong Pavilion on the cliff in the background. The Saseonbong Peaks in the center occupy an overwhelming proportion of the picture plane. However, the vertical stone pillars fail to form an organic relation and are segmented and flat. The painter of Chongseokjeong Pavilion had not yet developed a three-dimensional or natural spatial perception. The white lower and dark upper portions of the stone pillars emphasize their loftiness. The textures and cracks of the dense stone pillars were rendered by first applying light ink to the surfaces and then adding fine lines in dark ink. Here, the tip of the brush is pressed at an oblique angle and pulled down vertically, which shows an early stage of the development of axe-cut texture strokes. The contrast of black and white and use of vertical texture strokes signal the forthcoming trend toward the Zhe School painting style. Each and every contour and crack on the stone pillars is unique, which indicates an effort to accentuate their actual characteristics. The birds sitting above the stone pillars, waves, and the foam of breaking waves are all vividly described, not simply in repeated brushstrokes. The configuration of natural features shown in the above-mentioned Gyeongpodae Pavilion and Chongseokjeong Pavilion changes in other later paintings of the two scenic spots. In the Gyeongpodae Pavilion, Jukdo Island is depicted in the foreground, Gyeongpoho Lake in the middle-ground, and Gyeongpodae Pavilion and Odaesan Mountain in the background. This composition differs from the typical configuration of other Gyeongpodae Pavilion paintings from the eighteenth century that place Gyeongpodae Pavilion in the foreground and the sea in the upper section. In Chongseokjeong Pavilion, stone pillars are illustrated using a perspective viewing them from the sea, while other paintings depict them while facing upward toward the sea. These changes resulted from the established patterns of compositions used in Jeong Seon(1676~1759) and Kim Hong-do(1745~ after 1806)'s paintings of Gwandong regions.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sixteenth-century Gyeongpodae Pavilion, which seemed to have no longer been used, was employed again in late Joseon folk paintings such as Gyeongpodae Pavilion in Gangneung. Famous scenic spots in the Gwandong region were painted from early on.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they were created by several painters, including Kim Saeng(711~?) from the Goryeo Dynasty and An Gyeon(act. 15th C.)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either on a single scroll or over several panels of a folding screen or several leaves of an album. Although many records mention the production of paintings depicting sites around the Gwandong region, there are no other extant examples from this era beyond the paintings of Gyeongpodae Pavilion and Chongseokjeong Pavilion discussed in this paper. These two paintings are thought to be the earliest works depicting the Gwandong regions thus far. Moreover, they hold art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they present information on the tradition of producing folding screens on the Gwandong region. In particular,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colophon written for Chongseokjeong Pavilion, the original folding screen is presumed to have consisted of eight panels. This proves that the convention of painting eight views of Gwangdong had been established by the late sixteenth century. All of the existing works mentioned as examples of sixteenth-century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 show only partial elements of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 since they were created as depictions of notable social gatherings or as a documentary painting for practical and/or official purposes. However, a primary objective of the paintings of Gyeongpodae Pavilion and Chongseokjeong Pavilion was to portray the ever-changing and striking nature of this real scenery. Moreover, Park Chung-gan wrote a colophon and added a poem on his admiration of the scenery he witnessed during his trip and ruminated over the true character of nature. Thus, unlike other previously known real-scenery landscape paintings, these two are of great significance as examples of real-scenery landscape paintings produced for the simple appreciation of nature. Gyeongpodae Pavilion and Chongseokjeong Pavilion are noteworthy in that they are the earliest remaining examples of the historical tradition of reflecting a sightseeing trip in painting accompanied by poetry. Furthermore, and most importantly, they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Korean real-scenery landscape painting by presenting varied forms, compositions, and perspectives from sixteenth-century real-scenery landscape paintings that had formerly been unf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