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탄소오염

Search Result 52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The Effect of Support Material of Ceramic MF Membrane on the Fouling and backwashing Efficiency (세라믹 정밀여과막의 지지체 재질이 막오염과 역세척 효율에 미치는 영향)

  • 김재홍;이호상;이정학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7.04b
    • /
    • pp.39-39
    • /
    • 1997
  • 김치산업에서 원재료의 염적공정중에 발생하는 폐염적수를 처리하여 염적공정에 재사용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관형 정밀여과막을 사용한 본 연구에서 막오염의 감소와 높은 막투과유속의 유지를 위하여 산역세척과 투과수역세척이 도입되었고 대상이 되었던 세공크기가 비슷한 4종류의 막(Carbosep M14, Membralox Z100, Membralox A200, Microdyne MD020TP 2N)에 대하여 역세척의 효율이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지르코니아 재질의 막 표면과 탄소재질의 지지체로 이루어진 Carbosep M14 세라믹막은 투과수역세척시에 역세척을 하지 않았을 때 보다 오히려 투과유속이 감소하는 특이한 현상이 관찰되었고 이러한 역세척 효율의 차이의 원인을 규명하기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4종류의 막에 대하여 전처리된 폐염적수의 여과시 진행되는 막오염 메카니즘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헌에서 잘 알려진 4가지의 여과모델식을 적용하여 보았고 직렬여과저항모델을 이용하여 여과저항을 세분하여 측정하였다. 모델식의 적용결과 역세척의 효율이 좋은 3종류의 막에는 막표면의 케이크형성이 주된 투과유속의 감소원인임을 알아내었고 carbosep M14 막은 용존유기물의 비가역적인 흡착과 세공막힘이 주된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Energy Usage and Emissions of Air Pollutants in North Korea (북한 에너지 사용과 대기오염물질 배출 현황)

  • Kim, In-Sun;Lee, Ji-Yi;Kim, Yong-Py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27 no.3
    • /
    • pp.303-312
    • /
    • 2011
  • Data on the energy usage including biomass, emissions of air pollutants ($SO_x$, $NO_x$, CO), and the air quality in North Korea are analyzed. The energy usage in North Korea has decreased in the 1990s and thus, the emission amount of air pollutants. Coal and biomass constitute a major fraction of energy sources since the 1990s. It is identified that the emission amount of air pollutants per unit energy consumption in North Korea is much higher than South Korea for the period data are available (since 1990) implying that the air pollutant emission management system in North Korea is inadequate. In particular, the amount of biomass burning for household cooking and heating is significant with the huge emissions of air pollutants such as CO and organic species both in the gas and aerosol phase. Furthermore, it is found that the existing energy usage and air pollutant emission data are not consistent in biomass burning related data.

A Study on Applicability of Hydrofluoroethers as CFC-Alternative Cleaning Agents (CFC 대체 산업세정제로의 HFEs의 적용가능성 연구)

  • Min, Hye-Jin;Shin, Jin-Ho;Bae, Jae-Heum;Kim, Hong-Gon;Lee, Hyun-Joo
    • Clean Technology
    • /
    • v.14 no.3
    • /
    • pp.184-192
    • /
    • 2008
  • Fluoride-type cleaning agents such as 2,2,2-trifluoroethanol (TFEA) and hydrofluoroethers (HFEs) do not destroy ozone in the stratosphere and have low global warming potential compared to hydrofluorocarbons(HFCs) and hydrochlorofluorocarbons (HCFCs). Especially, HFEs which have no flash point are paid attention as next generation type of cleaning agents for chlorofluorocarbons (CFCs) since they are safe in handling and have excellent penetration ability compared to hydrocarbon cleaning agents with low flash point. Here, the physical properties and cleaning abilities of fluoride-type cleaning agents such as TFEA, HFE-7100, HFE-7200, HFE-476mec, HFE-449mec-f, AE-3000 and AE-3100E and silicide-type cleaning agents such as trifluoroetoxytrimethylsilane (TFES) and hexamethyldisilazane (HMDS)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ozone destruction substances such as CFC-113 and 1,1,1-trichloroethane. They were also compared with toxic methylene chloride (MC) and isopropyl alcohol (IPA) which are now being used as an alternative cleaning agents. As a result, TFEA and HFEs had lower cleaning ability for removal of various soils compared to chloride-type cleaning agents, but they showed excellent cleaning ability fur fluoride-type soils. TFES and HMDS also showed excellent cleaning ability for silicide-type soils.

  • PDF

An Assessment of Environmental Carrying Capacity by Analyzing the Emission and Concentration of Urban Atmospheric Pollutants (대기오염을 고려한 도시의 환경적 수용력 산정 연구)

  • Lee, Kwang-Ho;Jeong, Yeun-Woo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2 no.4
    • /
    • pp.517-528
    • /
    • 2011
  • Indiscreet developments cause environmental problems in major cities of Seoul Metropolitan Area. Among the environmental problems, the air pollution leads the citizens' physical and economic damages. Therefore, it needs to predict how much air pollutant which is emitted from human activities can be carried by urban environment, then to examine the reasonable level of urban development This study assumed that the air pollution is represented differently by the amount of emission. With the assumption, the acceptable air pollutant emission which keeps the air quality under the environmental standard is estimated, then the proper population is calculated in the case of Gwacheon, Gyeonggi. The result is as follow: First, air pollution concentrations of CO, $NO_2$, $SO_2$ which are estimated by using IDW interpolation of GIS don't excess the air environmental standard. Second,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ir pollutant emission and air pollution concentration shows that CO and $NO_2$ has high correlationship with total source of pollution and linear source of pollution, and $SO_2$ with linear source of pollution. Thir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the acceptable population is bigger that the real population in the case of CO, and with the estimation of $NO_2$ and $SO_2$, the current population in the urban center and boundaries where the residential and commerce land uses are concentrated is bigger than the acceptable population. The conseque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estimation of carrying capacity can suggest the acceptable human activities which keep the air quality under the environmental standard. This can leads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by control the human activities under the carrying capacity of urban environment.

교통량에 따른 배기가스량 산정에 관한 연구 -교차로를 중심으로-

  • 홍창의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6.02a
    • /
    • pp.29-58
    • /
    • 1996
  • 현재 서울은 교통사고문제, 교통혼잡문제와 자동차로부터 배출되는 유해가스에 의한 대기환경오염문제를 갖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대기환경오염을 악화시키는 자동차의 주된 배출오염가스인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및 질소화합물량을 교차로 교통량을 중심으로 어떻게 계산하는가에 있다. 연구의 대상지역은 서울시의 송파구 교차로들과 도심지역의 링크들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교통량, 지체시간, 링크길이, 정지회수, 운행속도, 주행속도 등을 고려하여, 제작차 배출가스 허용기준, 총량기준, 불량차 기준, 속도기준 등에 의한 계수산정 및 TRAF-NETSIM에 의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일정 도로상의 제한된 범위내의 배출량 산출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첫째, 어느 방법이든 실제배출량의 정확한 값을 표현 할 수는 없는 것이고, 단지 상대적인 비교에 의하면 배출가스량의 수준을 추정 할 수 있었다. 또한, 시뮬레이션 배출율표를 우리 현실에 맞는 자료에 의해 수정할 수 있다면, 그 결과는 실제량에 보다 근접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서울도로의 현재 혼잡상태에서 속도의 저감에 배출량이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는 사실이다. 셋째, 교통량변화에 따른 배출량의 변화가 일산화탄소에서 가장 심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신호운영상의 옵셋값이 잘못 설정되면 탄화수소는 35%, 일산화탄소는 40%, 질소산화물은 75%까지 초과발생할 수 있으며, 유해배출가스량을 최소화시키는 측면에서의 신호최적화를 위해서는 현재의 Stop Penalty는 상향 조정되어야 함이 밝혀졌다. 앞으로는 자동차로 인한 대기환경오염 농도의 저감을 위해서는 도로별 자동차 유해가스 배출 총량규제 방안도 고려해 볼 가치가 있으며, 이를 위해 환경공학과 교통공학의 다학제적 공동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교통정책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분석, 리용수 학모형대이십일세기상해항공운량진행예측, 제출발전상해항공운수적전 략목표급발전중점. 예측2020년 상해항공항총객운탄토량4300만인/년, 화운량달120만돈; 2050년객운량장달18150만인차/년, 화운량518만돈. 사, 발전상해민항기출경제정책, 제출위료$\ll$진흥상해, 개발포동, 복무전국, 면향세계$\gg$ 화도이십일세기중기국민경제달도중등발달국가수 평굉관전략목표적실현, 제료필수재지도사상상파교통운수진정방도전략 산업지위, 환응재관리체제상채취과단유효적개혁조시, 재기출경제정책 상급여대력부지. 오, 전략목표, 위파상해건설성위태평양서안최대적경제, 김융, 무역적중심, 요구상해항공항성위화동지구통향세계각지항선망출발참, 구성대외개방선면축심, 실현국제항선적함접화국내항반적전항, 형성다축심복사식항선망; 가강기장건설, 개피포동제이국제기장건설, 괄응포동개발경제발전적수요. 부화개시일은 각 5월 26일과 5월 22일이었다. 11. 6월 중순에 애벌레를 대상으로 처리한 Phenthoate EC가 96.38%의 방제가로 약효가 가장 우수하였고 3월중순 및 4월중순 월동후 암컷을 대상으로 처리한 Machine oil, Phenthoate EC 및 Trichlorfon WP는 비교적 약효가 낮았다.>$^{\circ}$E/$\leq$30$^{\circ}$NW 단열군이 연구지역 내에서 지하수 유동성이 가장 높은 단열군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실은 3개 시추공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추공 내 물리검층과 정압주입시험에서도 확인된다.. It was resulted from increase of weight of single cocoon. "Manta"2.5ppm produced 22.2kg of cocoon. It is equal to 9% increase i

  • PDF

Removal of Unburned Carbon from Fly Ash using Countercurrent Column Flotation Cell (역류형 컬럼 부선기를 이용한 석탄회정제에 관한 연구)

  • 이전언;이제군
    • Resources Recycling
    • /
    • v.8 no.5
    • /
    • pp.51-58
    • /
    • 1999
  • The sbdy iwestlgaled ihc propa-ties of Lhe dust\ulcorner rrom fe~~oallomya ~~ufacturTeh. e chemical composition, cornpasitlon material, p d c l e sire md shapes of the bulk dust, sired dust and magnetically separated durl were mvesligaled. As the re\ulcornerulL, we suppose that the dust from &gh Carbon Fenama~~gunesMc anuiact~vingP rocess is not sufiicient as solulce material of Mn because of ale low Mn canlenl (13.5%) and complicaled composition mate~ial. The dust from Bug F!lter or AOD Proccss is mi~inlym ade up of 0.2-2 pm Mn30, (Hausmam~iu)p iutlde in spherical shape and thc Mn content is 63.190.The dust from Cooler of AOD Process is inninly made up of coarse Ca(O1-Or)zM. n,FeyO,, SiO, and fine Mn30d.

  • PDF

The Loads and Biogeochemical Properties of Riverine Carbon (하천 탄소의 유출량과 생지화학적 특성)

  • Oh, Neung-Hwa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9 no.4
    • /
    • pp.245-257
    • /
    • 2016
  • Although rivers cover only 0.5% of the total land area on the Earth, they are windows that show the integrated effects of watershed biogeochemistry. Studies on the loads and properties of riverine carbon have been conducted because they are directly linked with drinking water quality, and because regional or global net ecosystem production (NEP) can be overestimated, unless riverine carbon loads are subtracted. Globally, ${\sim}0.8-1.5Pg\;yr^{-1}$ and ${\sim}0.62-2.1Pg\;yr^{-1}$ of carbon are transported from terrestrial ecosystems to the ocean via rivers and from inland waters to the atmosphere, respectively. Concentrations, ${\delta}^{13}C$, and fluorescence spectra of riverine carbon have been investigated in South Korea to understand the spatiotemporal changes in the sources. Precipitation as well as land use/land cover can strongly influence the composition of riverine carbon, thus shifting the ratios among DIC, DOC, and POC, which could affect the concentrations, loads, and the degradability of adsorbed organic and inorganic toxic materials. A variety of analyses including $^{14}C$ and high resolution mass spectroscopy need to be employed to precisely define the sources and to quantify the degradability of riverine carbon. Long-term data on concentrations of major ions including alkalinity and daily discharge have been used to show direct evidence of ecosystem changes in the US. The current database managed by the Korean government could be improved further by integrating the data collected by individual researchers, and by adding the major components ions including DIC, DOC, and POC into the database.

Effect of turbidity current on organic carbon cycle in Daecheong reservoir (탁수가 대청호 유기탄소 순환에 미치는 영향)

  • Dong Min Kim;Se Woong Ch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48-148
    • /
    • 2023
  • 산업 고도화로 인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유기물의 사용량이 증가하였으며, 공공수역 내 새로운 오염물질이 유입됨에 따라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중심의 수질평가에 한계를 나타내었다. 이후 난분해성 물질을 고려한 유기물관리 정책과 총량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국내 하천과 호소에서는 총 유기탄소(TOC)를 유기물 관리지표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부영양 하천과 호소에서 TOC는 외부 부하뿐만아니라 식물플랑크톤의 과잉성장에 의해 증가할 수 있는 항목이므로 TOC 관리정책 추진을 위해서는 유기물의 기원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한편, 우리나라와 같이 몬순 기후대에 속한 댐 저수지의 경우 강우시 유입하는 탁수에 의해 다량의 유기물과 인이 유입되기도 하지만 식물플랑크톤의 제한요인 중 광량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은 수체 내 유기탄소 내부생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나 점 단위의 실험적 방법을 활용한 유기탄소 순환 해석은 저수지의 시·공간적인 변동성을 고려하기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금강 수계 최대 상수원인 대청호를 대상으로 3차원 수리-수질 모델을 적용하여 유기탄소 성분 별 유입과 유출, 내부생성 및 소멸량을 평가하고 탁수가 저수지에서의 유기탄소 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유기탄소 물질수지 해석을 위해 AEM3D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2018년을 대상으로 입력자료를 구축한 후 보정 및 검정을 수행하였다. 모델은 유기탄소를 입자성, 용존성, 그리고 난분해성과 생분해성으로 구분하여 모의하며 유기물질 성상별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입력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유기탄소순환 해석을 위해 4가지의 탄소성분과 조류 세포 내 탄소의 질량 변화율을 계산하였다. 이를 위해 외부 유입·유출부하율, 수체 내 생성(일차생산, 재부상, 퇴적물과 수체 간 확산) 및 소멸률(POC 및 조류 침강, DOC 무기화, 탈질)을 고려하였으며 탁수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탁수 포함여부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유기탄소 생성 및 소멸기작별 변동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모델은 2018년의 물수지를 적절히 재현하였으며 저수지의 수온 및 탁도 성층구조를 잘 재현해내면서 전반적인 수질을 적절하게 모의하였다. 탁수를 고려하였을 시 연간 TOC 부하량 중 내부기원 부하량은 56% 수준이였으나 탁수를 배제한 경우 내부기원 부하량은 82%로 나타났다. 특히, 연평균 Chl-a 농도가 44~48% 차이가 발생하면서 1차생산량이 약 4배가량 증가하였다. 몬순지역에서의 탁수는 체류시간이 긴 성층 저수지에서 식물플랑크톤 성장제어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전반적인 유기탄소 순환을 해석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였다.

  • PDF

Sorption and Desorption Characteristics of Atrazine in Soils (토양에 따른 atrazine의 흡.탈착 특성)

  • Lee, Youn-Goog;Lee, Ju-Ry;Chung, Seon-Yong;Park, Jeong-Hun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3 no.2
    • /
    • pp.21-29
    • /
    • 2008
  • Sorption and desorption process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transport and fate of organic contaminants in subsurface system. In this study, sorption and desorption characteristics of atrazine in 7 soils selected at the Gwangju area were investigated. Soil organic carbon contents ranged from 0.42 to 2.82%. Sorption and desorp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batch slurries. Sorption distribution coefficient ($K_d$) of atrazine were ranged from 0.48 to 3.26 l/kg and $K_d$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organic carbon contents except of Kyongbang and Youngdong soils. Single desorption data were analyzed by the three-site desorption model including equilibrium, non-equilibrium and non-desorbable site. Non-desorbable site fractions of atrazine in all soils were enumerated and non-desorbable atrazine was observed in seriesdilution desorption experiment. Sorption/desorption hysteresis was also observed in the series-dilution desorption experiment.

Design and evaluation of continuous reaction system for methane reforming and hydrogen separation using nanoporous materials (나노기공성 물질을 이용한 메탄개질 및 수소분리용 연속반응시스템 설계 및 평가)

  • Bae, Jong-Soo;Park, Joo-Won;Kim, Jae-Ho;Lee, Jae-Goo;Choi, Young-Chan;Han, Cho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231-231
    • /
    • 2010
  • 아직까지 국내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에너지는 화석연료에 의존하고 있다. 지하자원에서 나오는 석탄,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는 다른 에너지원에 비해 운송이 간편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환경오염의 문제성과 오일가상승, 자원의양 및 저장장소가 한정되어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수소와 같은 대체에너지를 이용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무한히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원을 개발하기 위한 대체 방안들이 연구되고 있다. 폐기물 가스화시 발생되는 합성가스(CO, $CO_2$, $CH_4$, $H_2$) 내 일차로 생성된 일산화탄소는 수증기와 반응함으로써 이산화탄소로 전환이 가능하다. 잔류 메탄은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개질함으로써 합성가스내 수소농도를 높일 수 있다. 전환된 잔류가스(CO, $CO_2$, $H_2$)내 일산화탄소는 산소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로 산화시킬 수 있으며, 산화된 이산화탄소는 흡착제를 이용하여 제거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가스화시 발생되는 합성가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RPF가스화시 발생되는 합성가스를 직접 포집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합성가스내 소량의 메탄은 니켈촉매를 이용하여 수소로 전화시켰으며, 잔류하는 일산화탄소는 백금촉매, 이산화탄소는 탄산나트륨 흡착제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순수한 수소를 제공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