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탄소섬유시트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1초

섬유시트와 매입형 CFRP Rod를 보강한 R/C 외부 보-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 평가 및 개선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Seismic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Exterior Beam-Column Joints Retrofitting with Fiber Reinforced Polymer Sheets and Embedded CFRP Rods)

  • 하기주;하영주;강현욱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51-15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보-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의 개선을 위해 보-기둥 접합부 영역을 FRP보강재 (탄소섬유시트, 아라미드섬유시트, 매입형 CFRP Rod)를 사용하여 보강한 후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총 7개의 실험체를 제작하고 실험을 수행하여 내진성능을 평가하였으며, 본 연구의 실험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기존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의 접합부 영역을 보강한 결과, 초기 재하시 접합부 영역의 균열억제 효과와 재하 전 과정을 통하여 보강재의 구속효과로 인하여 균열억제 효과가 커서 안정적인 파괴형태 및 내력향상 효과를 나타내었다. 매입형 CFRP Rod와 탄소섬유시트를 활용한 R/C 외부 보-기둥 접합부 실험체 LBCJ-CRUS는 표준실험체 LBCJ와 비교하여 변위연성 4, 7에서 각각 최대내력은 1.54배, 에너지소산능력은 2.36배 증가하였다. 그리고 실험체 LBCJ-CS, LBCJ-AF시리즈는 변위연성 7에서 표준실험체 LBCJ 보다 에너지소산능력이 각각 2.04~2.34, 1.63~3.02배 증가하였다.

계단식 단부 형태의 탄소섬유시트로 보강된 RC보의 구조거동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Evaluating Structural Behavior of RC Beams Strengthened by Tapered Ended CFRP Sheets)

  • 김영희;김희선
    • 복합신소재구조학회 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38-44
    • /
    • 2012
  • This paper presents experimental studies aiming at evaluation of structural behaviors of RC (Reinforced Concrete) beams externally strengthened with taper ended CFRPs(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s). Experiments are performed with RC beams having different numbers of CFRP layers and length of each layer. The beams are subjected to four point-bending with simply supported condition. Test results of taper ended CFRPs and non-tapered CFRPs are compared and the better strengthening effect is observed from tapered ended CFRPs.

농어촌 지역 RC 건축물 기둥 부재의 탄소섬유시트 횡보강 효과 (Effects of Carbon-Fiber Sheets on Lateral Confinement in Columns of RC Buildings in Rural Area)

  • 김윤일;천형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106-115
    • /
    • 2004
  • In this paper,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ductility enhancement of concrete by lateral confinement of carbon-fiber sheets(CFS) have been studied experimentaly with cylinder specimens and square short columns reinforced externally by CFS. Test variables were amount of lateral reinforcement by CFS and space of hoop bars. Test results showed that lateral reinforcements by carbon-fiber sheets provided lateral confinement successfully for the concrete specimens and were more effective for ductility enhancement than for strength increase, and that the lateral confinement coefficient of cabon-fiber sheets increased according to narrowing the space of hoop bars in the double lateral confinement made by CFS and hoop bars.

  • PDF

섬유시트로 보강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부재의 방ㆍ내화성능 (Fire Resistance Property of RC Structure Member Strengthened with Fiber Sheet)

  • 이한승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5-50
    • /
    • 2002
  • 근년, 철근 콘크리트조 구조부재의 열화 및 건축물의 용도변경에 따라 건축물의 보수 및 보강에 관한 공법의 개발 및 그 효과를 검증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보강공법으로서는 경제성ㆍ시공성 면에서 우수한 탄소섬유시트, 아라미드섬유 시트, 유리섬유시트 보강공법 및 FRP판 보강공법 등 합성수지 접착제를 사용하는 새로운 보강공법들이 폭넓게 연구되어 현장 실용화되어 사용 중에 있다. 그러나, 이들 보강공법에 관한 연구는 주로 구조적인 내력 보강효과 산정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고 보강후의 내화성능 및 내구성능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들 보강공법은 주로 에폭시수지계 접착제에 의하여 콘크리트와 보강재의 접착력에 의하여 내력이 전달되는 메커니즘으로 되어있어 화재가 발생한 경우 내화피복이 없다면 접착제 자체의 연소에 의하여 유독가스의 발생 및 접착강도가 크게 저하되어 그 구조적인 보강성능은 급속히 저하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현재 이들 보강공사는 내화성능의 검토 없이 실제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화재시에는 대형참사를 일으킬 위험성이 있다.(중략)

탄소섬유시트 보강보 휨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섬유시트 인장강도 감소계수 평가 (Evaluation of CFS Tensile Strength Reduction Factor for Bending Analysis of RC Beams Strengthened with Carbon Fiber Sheets)

  • 윤진섭;이우철;정진환;김성도;조백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59-362
    • /
    • 2003
  • Carbon fiber sheet is attractive due to its good tensile strength, resistance to corrosion, and low weight. The strengthening of concrete structures with externally bonded carbon fiber sheets is increasingly being used for repair and rehabilitation of existing structures. However CFS strengthened beams break down under the service loads. As rupture strain is not reached ultimate value, reduction of the tensile strength is recommended. This study evaluate CFS tensile strength reduction factor which is required to analyze bending moment.

  • PDF

구조적 손상을 입은 R.C보의 휨보강 효과 (Flexural Strengthening Effect on R.C Beam with Structural Damage)

  • 김성용;한덕전;신창훈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47-156
    • /
    • 2004
  • 최근에 구조적인 손상을 입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내구성과 내력 향상을 위해 보수 보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보가 휨에 의해서 손상되었을 경우 손상이전의 상태로 내력복원을 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실험결과 기준실험체와 강판 탄소섬유시트 격자탄소섬유판으로 보강한 실험체를 비교할 때, 휨내력은 상승하였고, 연성도와 에너지흡수능력도 기준실험체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보강재인 강판 탄소섬유시트 격자탄소섬유판(복합재)은 R.C보의 휨보강재로 매우 우수한 성능을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도로교 RC 상판의 압축강도 차이에 따른 탄소섬유시트 보강효과 (Reinforcing effects of carbon fiber sheet by compressive strength differences on the RC slabs)

  • 원찬호;;안태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3-2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교량의 보강재료로써 주목받고 있으며, 적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탄소섬유시트(CFS) 및 새롭게 개발된 탄소섬유스트랜드시트(CFSS)를 이용하여 RC 상판 공시체에 접착보강하고, 보강을 통한 내피로성의 평가 및 RC 상판 공시체의 압축강도가 보강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윤하중 피로 실험을 통해 내피로성을 평가한 결과, 기존의 CFS 전면접착보강 공법에 비해 새롭게 개발된 CFSS 격자접착보강 공법의 보강효과는 1.2~1.3배의 보강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RC 상판의 압축강도가 보강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압축강도가 시방서의 설계기준강도 이하일 경우에는 보강 후에도 내피로성은 평가되지 않았다. 따라서, 탄소섬유재료를 이용한 접착보강을 실시할 경우에는 RC 상판의 콘크리트 압축강도 및 사전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탄소섬유시트 보수보강 콘크리트구조물에서의 자기진단기법 (Self Diagnosis Technique of Concrete Structure Repaired and Strengthened by Carbon fiber Sheets Using Optical fiber Sensors)

  • 김기수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3-139
    • /
    • 2003
  • 노후 된 콘크리트 사회기반시설 구조물의 활용성 증대와 수명의 연장을 위하여 여러 가지의 보수보강 방법이 시행되어지고 있으나 최근에는 시공이 용이하고 보강효과가 좋은 탄소섬유시트를 활용하는 방법이 널리 쓰여지고 있다. 탄소 섬유로 보수보강을 할 경우 강도가 증진되고 강성이 향상되어 좋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철근 콘크리트에 비해 연성이 떨어져 파괴 시 취성 파괴의 형태를 보일 수 있다, 그리고 보수보강된 구조물을 보강재로 인하여 크랙의 진전을 맨눈으로 확인하기가 어려워지게 된다. 따라서 구조물의 취약함을 드러내는 시기인 보수보강시 광섬유센서를 내장케 하여 취성파괴를 감시하고 구조물의 거동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안전한 구조물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광섬유센서를 이용하여 모재와 보강재의 구조거동을 분석하였으며, Peel out 효과라 불리는 계면 파괴현상을 효과적으로 자기진단 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보수보강을 실시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동결융해시험을 통한 휨강도 및 내구성 평가 (Flexural Strength and Durability Evaluation by Freezing and Thawing Test of Repaired Reinforced Concrete Beams)

  • 이창현;어석홍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455-461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DFRCC 보수모르타르와 탄소섬유시트를 사용하여 보수보강을 실시한 철근콘크리트보를 대상으로 동결융해시험을 실시하여 휨강도 및 동탄성계수를 측정하고 비교 평가한 실험적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100{\times}100{\times}400mm$ 크기의 각주형 보를 총 14개 제작하여 KS F 2456에 따른 동결융해시험과 휨강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인장 및 압축측에서 각각 3-D10의 철근을 배치하였으며, 보수보강은 보의 3면에 각각 실시하였다. 동결융해시험에서는 각각 100 Cycle 및 200 Cycle에서 상대동탄성계수를 산정하였다. 실험결과, 휨강도에서는 탄소섬유시트를 사용한 경우가 DFRCC 보수모르타르의 경우보다 약 15% 정도 크게 나타났으며, 동탄성계수 측면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공시체 크기에 비해 비교적 많은 철근량이 배근되어 간섭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추정되어 추가적인 실험과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Microstrip Patch Antenna를 이용한 탄소섬유시트 보강콘크리트의 박리 탐사 (Delamination Detection of FRP Sheet Reinforced Concrete Using Microstrip Patch Antenna)

  • 임홍철;이효석;우상균;송영철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4-141
    • /
    • 2007
  • 중심주파수가 15 GHz이고, 대역폭이 1 GHz인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 안테나를 이용하여, 탄소섬유시트로 보강된 콘크리트의 계면박리를 탐사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개발된 안테나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중심주파수 15 GHz, 대역폭 10 GHz인 상용 horn 안테나를 이용하여 비교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시편은 $600\;{\times}\;600\;{\times}\;50\;mm$의 크기를 가지며, 그 표면에 1.5 mm 두께의 FRP 시트를 3 mm 두께의 에폭시로 부착하였으며, 5, 10, 15 mm 두께의 박리를 인공적으로 형성하였다. 실험결과 5, 10, 15 mm 박리 모두 측정이 가능하였으며, 측정은 보강구역과 무보강구역을 구분하여 이루어 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