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탄성 회복율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5초

점성토의 회복 및 영구변형 특성 평가 (Evaluation of the Resilient and Permanent Behaviors of Cohesive Soils)

  • 사공명;김대현;최찬용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61-68
    • /
    • 2008
  • 교통하중이 작용하는 노반의 응력-변형율 간의 상관성의 특징을 나타내기 위하여 회복탄성계수가 사용되어왔다. 최근 도로의 경우 노반의 설계에 있어 AASHTO에서 제안된 역학적-경험적 설계가이드에 따라 회복탄성계소의 사용이 더욱 권장되는 실정이다. 이에 비해 국내 철도의 노반설계에 있어서는 정적실험 결과인 $K_{30}$이나 변형계수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철도노반의 설계에 있어 회복탄성계수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14종의 점성토 흙에 대하여 회복 및 영구변형 특성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기본 물성실험, 일축압축실험 그리고 회복탄성계수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일축압축 실험결과와 접선탄성계수, 일축압축강도, 파괴시 변형율 첨두 강도에서의 할선탄성계수와 항복변형율을 바탕으로 회복탄성계수 추정을 위한 예측모델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예측모델은 실측결과와의 비교시 만족할 만한 값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회복탄성계수 실험시 발생하는 영구변형에 대해서는 현재 고려하고 있지 않다.

2024 Al 합금의 고온 정상크리이프 중의 내부응력의 탄성 및 회복에 관한 연구 (Internal Stress, Anelasticity and Recovery in Steady State Creep of 2024 Al Alloy at High Temperature)

  • 박경동;오세욱;강상훈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292-297
    • /
    • 1986
  • 본 연구에서는 2024 Al 합금에 대하여 260-380.deg. C의 온도 범위 및 2~5kgf/ m $m^{2}$의 부과응력 범위에서 실시한 고온 정상 크리이프 변형 중의 내부응력 .sigma. $_{i}$,의탄성 변형 .epsilon.$_{A}$ 및 회복율 r의 측정 실험을 통하여 이들 상호간의 관계 를 살펴 보고자 한다.다.다.

레올로지 조절에 따른 BSF층 형성 능력 평가 (Evaluation of BSF Layer Formation Ability by the Rheological Control)

  • 양승진;이정웅;박기범;윤미경;박성용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01.2-101.2
    • /
    • 2010
  • 태양전지에서 고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알루미늄 원자의 확산에 의한 불순물층으로서 p+층이 필수적이다. P+층은 형성전자의 재결합을 방지하고, 생성 캐리어의 수집 효율을 향상시키는 BSF(Back Surface Field) 효과의 역할을 한다. 도포된 알루미늄 페이스트가 부족할 경우 BSF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과할 경우 웨이퍼가 휨이 발생하여 최적 인쇄도포량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레오미터 측정조건을 스크린 프린팅 인쇄 조건과 유사하게 진행하여 저장탄성율(G') 과 손실탄성율(G")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회복단계에서 G'>G" 이고 Cross point가 없을 경우 도포량이 1.8g 이상이였으며, 웨이퍼의 휨(bowing)이 크게 발생하였고, 이와 반대로 회복시 20초 후에 Cross point가 나타난 경우 10% 정도 도포량 감소와 함께 휨 발생도 1 mm 이하로 양호한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반복재하(反復載荷)에 의한 점성토(粘性土)의 응력변형특성(應力變形特性) (Stress-Strain Behavior of Clays under Repeated Loading)

  • 조재홍;강예묵;유능환
    • 농업과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329-344
    • /
    • 1987
  • 과압밀비(過壓密比)와 전단속도(剪斷速度) 및 다짐율(率)이 점성토(粘性土)의 응력변형특성(應力變形特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기 위해서 반부극하(反復戟荷)에 의(依)한 삼축압축시험(三軸壓縮試驗)을 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반부재하(反復載荷)를 했을 때 같은 변형(變形)에서 축차응력의 차(差)는 큰 변형(變形)에서 반부재하(反復載荷)했을 때 더욱 크게 나타났고 공극수압(空隙水壓)은 제하시(除荷時)에는 감소(減少)하다가 다시 증가(增加)하며 재재하(再載荷)되면서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現象)을 나타냈다. 2. 과압밀비(過壓密比)가 클수록 변형(變形)의 증가(增加)에 따라 회복되는 탄성변형률은 감소(減少)하였으며 제일재하계수(除一載荷係數)는 과압밀비가 증가(增加)할수록 감소(減少)하였다. 3. 전단속도(剪斷速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탄성변형율(彈性變形率)은 증가(增加)하였고 변형(變形)의 증가(增加)에 따라 탄성변형율(彈性變形率)은 감소(減少)하였다. 제일재하계수(除一載荷係數)는 변형(變形)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감소(減少)하였고 전단속도(剪斷速度)가 빠른 경우에 큰 값을 나타냈다. 4. 회복되는 탄성변형율(彈性變形率)은 다짐율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크게 나타났고 또 변형(變形)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탄성변형율(彈性變形率)은 약간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제일재하계수(除一載荷係數)는 다짐율(率)의 증가(增加)에 따라 뚜렷한 경향(傾向)은 보이지 않았으나 일반적(一般的)으로 변형(變形)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 PDF

새로운 재생셀룰로오스 섬유$(enVix{\circledR})$의 직접 염료에 대한 염색성

  • 심우섭;고준석;김성수;김재필;김익수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8-82
    • /
    • 2003
  • 셀룰로오스계 재생섬유 중 가장 먼저 개발된 Viscose rayon은 셀룰로오스 펄프를 17-18%의 가성소다 수용액에 팽윤시켜 알칼리 셀룰로스를 만든 뒤 이황화탄소(CS$_2$)에 반응시킨 후 방사하여 제조하며 흡습성, 제전성, 드레이프성 및 광택이 우수한 쾌적성 섬유이다. 그러나 탄성 회복율이 좋지 않으며 강력이 적고 특히 습윤시의 강력 저하의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과정에서 사용하는 이황화탄소의 환경 유해성이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어 선진국들이 점차 설비를 폐쇄하거나 개도국으로 이전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유한요소 해석을 이용한 스텐트 최적형상 설계 (A Study on Optimal Shape of Stent by Finite Element Analysis)

  • 이태현;양철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6
    • /
    • 2017
  • 스텐트는 인체의 좁아지거나 막힌 부위에 삽입되어 혈류의 흐름을 정상화 시키는데 사용되는 금속망 형태의 임플란트로 관상 동맥 질환을 치료하는데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널리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유한요소 해석과 다꾸지 방법을 이용하여 설정한 스텐트 설계 인자의 변화에 따른 기계적 반응을 고찰하였다. 스텐트 모델은 팔마즈 스텐트를 사용하였고 스텐트의 재료 모델로서는 탄소성 모델, 풍선은 초탄성 모델을 사용하였다. 연구의주요 관심은 스텐트의 탄성 회복량 조절을 통한 혈관의 재 협착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설계 인자의 영향을 고찰하는데 있다. 스텐트 두께, 슬롯의 가로 길이, 슬롯의 세로 길이의 각도를 설계인자로 선택하여 직교배열표를 구성하였다. 유한요소 해석을 이용하여 혈관 내 스텐트의 반경 방향 탄성회복율과 길이 방향 탄성회복율을 계산하였고 다구찌 기법을 이용한 통계적 분석을 하여 재 협착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스텐트의 최적 형상 설계 방향을 제시하였다. 최적형상은 기본 모델에 비하여 탄성회복율은 반경방향으로 약 1%, 길이방향으로 약 0.1% 감소함을 보였다.

형상기억 거동의 동적 기계적 해석 (Dynamic Mechanical Interpretations of Shape Memory Behavior)

  • 이상엽
    • 유변학
    • /
    • 제9권1호
    • /
    • pp.33-39
    • /
    • 1997
  • PCL, MDI, BD 및 DMPA를 이용, 폴리우레탄(PU)을 ionomer 및 nonionomergudxo 로 제조하였으며 이때 연질성분의 함량(SSC) 및 길이가 PU의 기계적, 동적기계적 특성은 물론 형상기억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Ionomer는 nonionomer에 비하여 경도, 탄 성율 및 강도가 모두 우수하였으며 그 효과는 실온에서 경질성분의 함량(HSC)이 높은 PU 일수록 보다 뚜렷하였는데 이는 HSC가 증가할수록 ion 중심의 농도가 증가하며 ion 중심간 의 Coulob 력이 고온보다 실온에서 보다 큰데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반복인장하중실 험에서 ionomer는 nonionomer에 비해 회복변형이 크고 잔류변형이 작았는데 이는 ionomer 의 고무탄성율이 보다 큰 데 기인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나아가 재료의 형상기억거동은 기 본적으로 탄성율의 온도의존성에 크게 의존함을 알수있었다.

  • PDF

실리콘 인상재의 보관온도에 따른 특성변화 (The Property Change of Silicone Impression Materials with Change of Storage Temperature)

  • 오상환;문승균;김경남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459-464
    • /
    • 2010
  • 본 연구는 실리콘 고무인상재의 보관온도에 따른 작업 시간과 압축 시 변형율, 탄성회복율, 점조도에 관한 물리적 특성에 대해서 평가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작업시간은 저온의 온도유지장치에서 보관한 인상재가 실온이나 고온에서 보관한 인 상재보다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고(P<0.05), 실온과 고온에서 보관한 인상재는 유의차 가 없었다. 2. 압축변형율은 저온 온도유지장치에서 보관한 인상재가 실온이나 고온에서 보관한 인 상재보다 유의하게 컸으며(P<0.05), 실온과 고온에서 보관한 인상재는 유의차가 없 었다. 3. 탄성회복율은 인상재를 보관한 각 저장온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P<0.05),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4. 점조도는 인상재를 보관한 각 저장온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P<0.05),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도시철도 침목플로팅궤도(STEDEF)의 침목방진패드 피로거동 분석 (Evaluation on Fatigue Behavior of Resilience pad for Sleeper Floating Track System in Urban Transit)

  • 최정열;이정숙;봉재근;김수진;정지승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347-352
    • /
    • 2020
  • 본 연구는 현장측정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철도 침목플로팅궤도 (STEDEF)에 사용되는 침목방진패드의 스프링 강성 변화율에 따른 궤도충격계수 변화수준의 경향성을 분석하고, 현장측정결과와 실내 700만회 피로시험결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하였다. 또한 도시철도 STEDEF 궤도구조에 사용되는 침목방진패드의 비선형 피로거동특성이 고려된 침목방진패드의 피로영향선도를 제시하였다. 현장측정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한 궤도충격계수-궤도지지강성 선도의 침목방진패드 스프링강성 변화율 30% 이상에 대한 궤도충격계수의 비선형 특성이 피로시험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부분의 침목방진패드 시료에서 침목방진패드 규격서에서 명시한 정, 동적 스프링강성 기준치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작은 하중범위에서의 변위가 큰 침목방진패드의 소재적인 특성을 감안할 때 열차하중을 부담하는 침목방진패드의 전체적인 탄성변위량이 클수록 연행집중하중으로 작용하는 열차 하중에 의한 탄성변위의 회복속도가 늦어지고 탄성변위향은 작아지게 되므로 정적 대비 동적 스프링 강성의 비가 커지게 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