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탄성침하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7초

토압분리형 교량의 보강토옹벽의 높이와 기초지반 강성에 따른 침하량 검토 (A Study on Settlement according to Height and Ground stiffness on the MSEW on the IPM Bridge)

  • 박민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99-409
    • /
    • 2018
  • 토압분리형 교량의 보강토옹벽은 교량을 구성하는 중요 구조물이고, 횡방향 토압과 접속슬래브를 지지한다. 보강토옹벽의 침하는 상부 구조의 손상과 접속부의 단차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토압분리형 교량의 보강토옹에 대한 침하량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압분리형 교량의 보강토옹벽에 대한 높이와 기초지반의 강성에 따른 침하량을 검토하였다. 보강토옹벽을 높이 4.0 ~ 10.0m로 설계하고, 탄성침하량을 산정하였다. 보강토 옹벽의 높이에 따라 보강토옹벽의 저면 면적과 접지압이 선형적으로 증가되었다. 그 이유는 옹벽 높이가 증가됨에 따른 보강토체의 자중의 증가 때문이다. 자중의 증가로 인해 탄성침하량도 선형적으로 증가되었다. 구조물기초설계기준 해설에 제시된 보강토옹벽 탄성침하량 이론식을 통해 침하량을 산정한 결과, 보강토옹벽의 높이가 증가됨에 따라 비례하여 침하량이 증가하였고 기초지반의 N치가 35 이상이 되어야 접속슬래브의 허용침하량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보강토옹벽의 높이와 기초지반의 강성에 따른 침하량 산정 결과, 기초 지반의 강성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침하량은 탄성침하량과 동일하게 감소하였다. 탄성침하량은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산정된 침하량보다 과다 산정되었다. 이는 탄성침하량이 보강토체를 연성기초로 가정하고 기초 지반을 반무한 탄성체로 가정하기 때문이다. 토압분리형 교량의 보강토옹벽은 교량을 구성하는 중요 부재이므로 침하량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로인해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침하량을 산정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지반교란 영역 규명을 위한 고분해능 천부 탄성파 반사법 탐사 (High Resolution Shallow Seismic Reflection Survey for the Investigation of Ground Disturbance Area)

  • 고광범;이두성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6권1호
    • /
    • pp.28-34
    • /
    • 2003
  • 지반침하는 지난 3년간의 본 연구실의 중요한 연구 주제로 본 연구에서는 채굴적 붕괴로 육안상 지표침하는 뚜렷이 관측되지 않으나 그 하부 지반은 이미 교란되었다고 판단되는 영역을 천부 탄성파 반사법을 이용하여 고찰함으로써 향후 예상 침하영역을 정량적으로 도출하였다. 지반교란에 의한 탄성파 신호의 왜곡 및 감쇠를 최소화하고자 좁은 송수신 간격(0.3m) 및 가능한 짧은 오프셋(<30m)의 0.15m의 CMP간격을 가지는 측선배열로써 고주파수 천부 탄성파 자료를 획득하였다. 짧은 측선길이(43m)를 감안하여 고정된 지오폰에 대하여 송신원을 이동하는 배열법을 선택하였다. 침하에 의해 지반교란이 심한 조사지역의 탄성파 자료의 특성과 획득자료 대부분이 짧은거리 오프셋 탄성파 자료임을 고려하여 신중한 뮤팅과 잔여정보정 처리과정을 거쳐 탄성파 중합단면을 작성하였다. 지표 침하양상과 대비하여 중합단면을 해석, 정량적인 예상 침하영역을 분리하였다.

탄성파 토모그래피 기법을 이용한 제방의 사석침하 평가 (The Determination of settlement boundary for the rock filled embankment using seismic geotomography)

  • 원경식;박충화;정백;박상욱
    • 지질공학
    • /
    • 제12권1호
    • /
    • pp.89-93
    • /
    • 2002
  • 본 조사는 "○○항 건설공사 동방파제 지반조사"에서 기시공된 동방파제 구간 중 No.38+0단면과 No.40+0단면에 대해서 사석침하의 확인과 안정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공대공 탄성파 토모그래피 탐사를 실시하였으며, 그리고 토모그래피 탐사에 의한 속도분포를 가지고 지반의 성층상태를 정량적으고 표현하였다 탄성파 토모그래피 탐사결과와 시추 결과를 종합분석하여 보면, 탄성파 속도 2100m/sec를 기준으로 투하된 사석층과 원지반 퇴적층이 명확히 구분된다. 설계시 설정한 침하예상선과 현재의 사석침하 상태는 다소 차이가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며, 탄성파 토모그래피는 이러한 현재의 침하상태를 정량적으로 잘 표현해 주고 있다.

말뚝기초의 침하예측 (Settlement Predictions for Pile Foundations)

  • 윤길림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3권2호
    • /
    • pp.137-154
    • /
    • 1997
  • 한계상태설계법상에서 말뚝기초는 상부구조물의 안정성과 공용성에 근거하여 지지력과 침하 량을 만족하도록 설계되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용성을 검토하기위해 과압밀된 점토지반에 위치한 9본의 군말뚝과 2본의 단말뚝에 대하여 실무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예측식과 현장에서 수행한 피조콘 자료를 이용하여 침하량을 산정했다. 지반에 따라 공간적으로 변화하는 탄성계수가 침하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간략히 조사했다. 예측방법으로는 단순탄성론적 예측식 인 베직법 (Vesic's method)과 풀러스법 (Poulos'B method)을 이용했으며 산정된 침하량을 실지 말뚝재하실험을 통해서 계측한 것과 비교한 결과 대부분 과다하게 예측했고 지반의 탄성계수를 직선적으로 가정한 같파는 침하계산에 큰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유전자 알고리즘 기법에 근거한 SCP 복합지반의 침하 예측 (Prediction of Settlement of SCP Composite Ground using Genetic Algorithm)

  • 박현일;김윤태;이형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4-74
    • /
    • 2004
  • SCP공법(Sand Compaction Pile Method)은 안벽구조물 하부 지반이 연약할 경우에 압밀침하 속도를 증가시키고, 침하를 감소시키며,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널리 적용되어 왔다. 연약지반에 타설 된 모래말뚝과 주변 연약지반으로 구성된 SCP 개량지반 상부에 상부 캐이슨과 상치구조물이 설치됨에 따라, SCP 복합지반에서는 모래말뚝에 의한 즉시침하와 함께 주변 점토지반의 압밀침하가 복합적으로 유발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SCP 복합지반에 대한 기존의 탄성침하 및 압밀이론에 근거하여 침하 예측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침하모델의 모델정수값들의 산정하기 위하여 유전자 알고리즘에 근거한 역해석 기법을 적용하여 최적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국내 SCP 복합지반에 대한 예제해석을 수행하여 제안된 침하예측기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추계론적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지반의 부등침하 신뢰도 해석 (Reliability Analysis of Differential Settlement Using Stochastic FEM)

  • 이인모;이형주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4권3호
    • /
    • pp.19-26
    • /
    • 1988
  • 본 논문에서는 기초지반의 부등침하를 해석하기 위하여 추계론적 수치해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부등침하는 토질탄성계수의 공간적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Kriging 이론은 탄성계수의 공간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이 방법은 선형최적불편추정기법으로 제한된 자료로 부터 최소의 분산을 가진 추정값을 구할 수 있다. 추계론적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일차근사 2차모멘트 기법으로 변위의 평균값과 분산값 그리고 공분산값을 구한다. 최종적으로 부등침하의 신뢰도모델이 제시되었다. 해석결과 두 기초사이의 거리와 탄성계수의 수평방향 변동거리가 거의 같을 때 최대부 등침하량이 일어난다는 것과 이 때 부등침하량이 허용간을 넋을 확률이 상당히 크다는 것이 밝혀 졌다.

  • PDF

지구물리탐사로 고찰한 지반침하

  • 김성욱;이현재;원지훈;서동주;이종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299-302
    • /
    • 2002
  • 침하지반의 지하구조 해석을 위한 방법으로 전기비저항, 지하투과레이더, 굴절법 탄성파탐사를 실시하였다. 침하가 발생한 지점을 중심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보강을 위한 경계를 설정하였으며 그라우팅 보강공사가 이후에 재차 시행되었다. 지반의 침하는 원지반 상부 연약지반에서 발생하였으며 침하량은 최대 50cm 정도이다. 침하의 원인은 해수 유입에 따근 지지력의 감소가 주된 원인으로 추정되며 보강공사 후 상부 연약지반의 전기비저항은 원지반과 거의 같은 크기를 보여준다.

  • PDF

모래층 지반 안벽구조물의 탄성침하거동 연구 (A Study on Behavior of Elastic Settlement of Coastal Structure on Sandy Ground)

  • 유남재;전상현;전진용
    • 산업기술연구
    • /
    • 제27권B호
    • /
    • pp.201-208
    • /
    • 2007
  • This paper is research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elastic settlement behavior of the coastal caisson structure built on the sandy deposit by comparing results of centrifuge model experiments and those of existing methods of estimating elastic settlement. Basic soil property tests such as specific gravity test, grain size distribution test and organic content test with disturbed soil sampled from the site were carried out. The centrifuge experiment of model satisfying the required design criteria was performed under 50 of artificial accelerated gravitational force condition. The Centrifuge model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current methods of estimating settlement based on the elastic modulus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odeometer tests and empirical methods from literature reviews.

  • PDF

고속철도에서의 소성침하를 고려한 강화노반 설계기법 개발 (Development of Design Method for Reinforced Roadbed Considering Plastic Settlement for High-speed Railway)

  • 최찬용;최원일;한상재;정재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9호
    • /
    • pp.55-69
    • /
    • 2013
  • 본 설계법은 기존 탄성이론에 근거한 강화노반 설계방법의 대안으로 노반의 소성침하와 열차 반복하중에 따른 응력-변형 특성을 고려한 노반 설계 방법이다. 특징은 설계자가 요구하는 허용설계기준에 따라 교통하중과 열차 년간 통과톤수에 따라 노반의 탄성변위 뿐만 아니라 소성침하량을 평가할 수 있다. 본 설계법을 이용하여 허용 탄성 및 소성 침하량, 열차 속도 및 총통과톤수등의 설계조건을 고려하여 호남고속철도 표준노반단면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노반의 회복탄성계수 모델인자($A_E$), 일축압축강도, 흙 재료 종류 등의 요구수준 등을 평가할 수 있다.

평판재하시험과 이론적 침하량 예측식의 비교를 통한 N치 보정방법 검토 (A Study on the Modified N-value by the Comparison Plate Load Test with Calculated Settlement)

  • 안창윤;김원철;황영철;남현우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25-34
    • /
    • 2005
  • 사질토상의 직접기초는 기초의 지지력보다 침하량이 기초의 설계에 있어 주요 지배요소이다. 침하량을 산정함에 있어 토질 특성치 중 표준관입시험 N치가 주된 요소이다. 그러므로, 침하량 예측시 장비 효율에 대한 적절한 N치의 보정이 이루어질 때 예측 침하량의 정확성이 확보된다. 특히, N치가 50/30이상인 지반의 경우 롯드의 30cm 관입시 타격수를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50회 타격시 롯드의 관입량으로 N치를 기록하고, 침하량 산정시 N치 50을 일률적용함으로 실측 침하량과 큰 오차를 보이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N치 50/30이상인 지반의 침하량 산정을 위한 N치 보정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미보정 N치, 보정 N치를 적용하여 탄성이론에 근거한 4가지 방법과 7가지의 경험적 제안식으로 산정한 침하량을 평판재하시험 실측치와 비교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풍화지반(풍화암)에서 탄성이론에 근거한 방법 중에는 Original Elastic Theory, 경험적 제안식 중에서는 Terzaghi-Peck(1948, 1967) modified 1 방법이 평판재하시험 실측치에 가까운 값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