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탁아의 질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취업모의 직업관련 특성, 탁아기판의 질 및 심리적 안녕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Working Mother′s Parenting Behavior as Related to Job Characteristics, Day Care Qu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박성연;임미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0권2호
    • /
    • pp.57-6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orking mothers'parenting behavior as related to job characteristics, day care qu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2 working mothers of 3-to-6 year old children enrolled in day care centers. Data were gathered via questionnaires responded by mothers. As results, both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arenting behaviors were positively related to job characteristics such as husband's support and work place policy and day care Quality Most significantly, the relations between husband's support as well as day care Quality and mother's behaviors were completely mediated via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working mothers'psychological well -being is an important mediating variable in predicting positive child-rearing behaviors.

탁아의 질과 어머니 자아존중감에 따른 어머니 격리불안 (Maternal Separation Anxiety on Quality of Day Care and Mother's Self-Esteem)

  • 송진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09-319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aternal separation anxiety depending on the quality of day care and mother's self-esteem. subjects consisted of 187 mothers who had children from 60 t 36 months of age.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questionnaires which consisted of the Maternal separation anxiety scale(Cho and park, 1992), Self-Esteem Inventory(Coopersmith, 1967), and the checklist which consisted of the early childhood environment Rating scale(Harms & Clifford, 1980) and the Family Day Care Rating scale(Harms & Clifford, 1989). The datas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 based o frequency, percentile, t-test, and one-way ANOVA.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ernal separation anxiety by mothers' age and not by their educational levels.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ernal separation anxiety by children's age, sex, and girth order.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ernal separation anxiety by quality of day 2 care, size of group, and adult-child ratio. Fo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ernal separation anxiety by mother's self-esteem.

  • PDF

탁아기관의 질, 탁아경험 및 가족특성과 아동의 사회성발달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Day Care Quality, Child-care Experience and Family Characteristics)

  • 양연숙;조복희
    • 아동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81-193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development and day care quality, child-care experience and family characteristics, and (2) to investigate the explainability of those related variables for social development.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52 4-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from 32 day care centers in Seoul. Harms & Clifford's Early Childhood Environment Rating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quality of day care.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Day care quality, child-care experience and family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ocial development. (2) Child's gender, months of age,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the length of child-care experience, overall quality of day care, and group size significantly predicted social development. 33% of the variance of social development was explained by these variables.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to the prediction of social development was about the same.

  • PDF

직장내 탁아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영·유아를 중심으로 - (Infant and Toddler Group Care at the Mother's Work Place)

  • 지혜련
    • 아동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5
    • /
    • 1986
  • 한국은 급속도로 산업화해감에 따라서 점점 더 많은 어머니들이 가정 밖에서 일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 계속될 전망이며, 이에 따른 어머니 부재시의 영 유아 양육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 영(1986 a, 1986 b)의 연구에서 조사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자녀를 가진 여성의 취업율은 훨씬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자녀 관리문제에 대한 대안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기존 제도하에 있는 시설로써는 취업모의 요구에는 물론 유아를 위한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여성인력의 활용과 변화하는 가족 구조에 맞추기 위한 제도적인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 가정 외의 자녀 양육에 대해서는 다양한 선택의 여지를 둘 것이 권장되고 있으며(Beck, 1982), 국내에서도 대안책이 논의되어 왔는데(한국여성개발원, 1984), 본 논문에서는 특히 직장내 탁아소를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했다. 여성 종사자가 많은 직장에서 부터 우선적으로 직장내 혹은 직장 근처에 탁아소를 설치함으로써 여성이 직장에 더욱 충실할 수 있고 능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건전한 2세 교육에 이바지할 수 있으리라 본다. 특히, 3세 이하의 영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절대적으로 시급한 현 시점에서 3세이하의 영 유아를 위한 직장내 탁아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대안적 모형을 제시하고자 했다. 대안적 모형 연구에서 취업모의 자녀양육지원제도에 관한 국제적 추세와 외국의 대표적인 모형에 관한 문헌조사를 통해 한국의 실정에 맞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취업모의 자녀양육을 지원하기 위한 시설과 제도에서 가장 중요시되어야 할 개념은 무엇보다도 질적 수준이다. 질적 수준에서는 인적 환경의 측면으로 교사의 자질, 교사(양육자)대 아동의 비율, 아동과 교사간의 상호작용의 질이 고려되었고, 물리적 환경 및 교육프로그램의 철학적 배경 및 건강 위생 측면이 가장 핵심적인 측면이 가장 핵심적인 측면으로서 고려되었다.

  • PDF

여성의 생산노동과 재생산노동의 상호연관성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험적 연구 (A Dynamic Analysis of the Women's Labor Market Transition: With a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ve and Reproductive Labor)

  • 이재열
    • 한국인구학
    • /
    • 제19권1호
    • /
    • pp.5-44
    • /
    • 1996
  • 여성, 특히 기혼여성의 사회적 참여는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들을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정책적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기혼여성 노동력의 노동시장 참여를 걸정짓는 요인에 대한 분석은 매우 부진했으며, 특히 가사분담과 생애주기에 따른 가족내 재생산노동의 수요변화 등에 동태적인 변화에 대한 경험적 분석은 매우 미미하였다. 이 연구는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관한 개인사적 자료를 활용하여 여성의 재생산노동과 생산노동간의 연관성, 그리고 생애주기에 따른 가족내 여성의 변화 등이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사건사분석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경험적인 분석을 행하였다. 한국여성개발원이 1991년도에 수집한 '제2차 여성취업실태 조사' 자료를 토대로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여성들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횡단면자료를 중심으로는 로짓분석을, 취업과 비취업간의 전환에 대해서는 전환율을 종속변수로 하는 콕스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가 전반적인 증대에도 불구하고 나이, 코호트, 가족형성의 주기 등에 따라 상당한 편차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결혼과 출산은 고용의 지속성에 강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가사노동과 육아 책임의 대부분을 여성이 부담하는 상황에서 가족내 재생산과 노동시장내 생산노동간의 상호교환관계(trade-off)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여성의 취업주기는 개인의 인적 특성과 가족형성기의 특징 이외에 전반적인 노동시장구조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내는데, 특히 하층 저학력 여성의 전환과정은 신경제학적 개념이, 고학력 여성의 비취업으로의 강한 회귀현상은 신구조주의적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할 사항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제고하고 취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족형성주기와 연관된 여성들의 기회비용를 낮추는 방법, 예를 들면 다양한 탁아 및 보육시설의 설치, 차별적 고용관행의 폐지, 유연한 시간근무를 가능케 하는 다양한 파트타임제의 확대 등과 같은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