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탁상시계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Conservation and Analysis of the Bracket Clock in the Collection of the Korean Christian Museum at Soongsil University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자명종의 보존과 분석)

  • Park, Haksoo;Kwon, Mihye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 /
    • v.18
    • /
    • pp.51-64
    • /
    • 2017
  • The Bracket clock in the collection of the Korean Christian Museum at Soongsil University underwent conservation treatment for a special exhibition. The compositional analysis showed that the body was made of brass plated with gold by fire-gilding(gold amalgam process), while the dial was identified as pure copper coated with enamel. The hands were made of steel. Remnants of adhesive tape on the dial were cleaned, followed by the addition of a protective coating. In order to restore it to a condition as similar to its original form as possible, replacements for missing parts were newly constructed out of brass and were connected to the hands and the dial. The dial was then fixed to the body using an acrylic support. The compositional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have left the clock in stable condition and readily available for exhibitions and future studies.

선풍기(Electric Fan)의원리

  • Korea Electrical Products Safety Association
    • Product Safety
    • /
    • no.7 s.151
    • /
    • pp.60-63
    • /
    • 2006
  • 선풍기 한 대 쯤 없는 집이 거의 없을 정도로 선풍기는 우리에게 매우 친숙한 가전제품중 하나이다. 이번에는 여름철의 풍물인 선풍기의 구조 및 원리 등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먼저 선풍기의 역사를 보면, 최초의 선풍기는 1600년대 천장에 매달아 놓은 추의 무게를 이용하여 기어장치의 회전축을 돌려 1장으로 된 커다란 부채를 시계추 모양으로 흔들어 바람을 일으키는 것이었다. 이어 1850년대는 현재의 탁상선풍기 모양으로 된 것에 태엽을 감아 사용하는 것이 고안되었다. 최초의 전기선 풍기는 T.A.에디슨이 발명하였으며, 이것이 점차 발달하여 보호망을 씌운 현재의 아름답고 정교한 것으로 진보되었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Cultural Products of Region Image Spread (지역 이미지의 확산을 위한 문화상품개발)

  • Young, Gu-Hwa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871-873
    • /
    • 2011
  • 본 연구는 저자가 2005년 평택시 문화상품 개발과정에 연구위원으로 참여하여 지역의 대표성을 가지는 디자인 고찰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연구목적은 고유문화재와 전통성을 바탕으로 한 상품 개발을 통한 인식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다. 그리고 평택시의 문화성립 및 자긍심 고양 및 지역 위상을 확립하는 것이다. 또한, 국 내외 관광객 유치 및 지역 문화 알리기의 기반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대표적 문화 상품의 개발을 통하여 도시 이미지 확산을 고려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평택농악(전통악기, 뱃지, 키홀더등), 문구사무용품(서류함, 책갈피, 시계, 키홀더), 생활용품 (컵받침, 탁상용 저금통, 북, 명함), 장식용품(주방용품등 문화관련 상품들을 개발) 등으로 세분화하여 조사 하였다. 연구 개발 과정을 통하여 도시브랜드 디자인 개발사례로 디자인 적용안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지역의 도시브랜드 확립을 위한 결론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아홉가지 결론을 구체화 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