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탁도제거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7초

화강석 잔사의 응집 특성 (Coagulation characteristics of Granite Particle)

  • 홍영호;조석형;전용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산학기술 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61-162
    • /
    • 2001
  • 본 연구는 화강석 가공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잔사틀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화강석 폐잔사의 응집 특성에 관하여 실시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Al₂(SO₄)₃와 FeCl₃ 그리고 KOH, Al(OH)₃, 그리고 K₂CO₃를 사용하여 만든 용액(SK용액)을 사용하여 산성 분위기와 알칼리성 분위기에서 응집특성에 관하여 실험하였다. 응집 특성은 탁도 제거와 충전밀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탁도 변화가 참갈겨니 (Zacco koreanus) 조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urbidity Changes on Tissues of Zacco koreanus)

  • 신명자;김정숙;황윤희;이종은;서을원
    • 생태와환경
    • /
    • 제41권1호
    • /
    • pp.73-8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고탁도의 사육조건에서 탁수가 어류의 조직과 생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참갈겨니의 아가미와 신장을 사용하였다. 탁도가 높고 사육기간이 길어질수록 아가미에서는 이차 새변의 간격이 불규칙해지고, 곤봉화, 부종, 상피세포의 박리가 나타났으며 새변 사이에는 이물질의 부착이 두드러지게 관찰되었다. 신장조직에서도 탁도의 증가에 따라 사구체가 수축되고 있으며 보우만 주머니의 공간이 넓게 관찰되었다. 고탁도의 탁수가 아가미와 신장 조직 내 항산화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보면 SOD활성은 아가미와 신장 조직에서 고탁수로 감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CAT와 GPX의 활성은 주로 신장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즉 고탁수의 스트레스에 의해 생성되는 유해한 라디칼은 주로 신장 조직의 항산화효소에 의해 제거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탁도 변화에 따라 어체에 축적되는 미량 중금속 농도의 경우 탁도가 매우 높은 1,000 NTU에서는 대조실험군 어류에 비해 중금속의 함량이 급격히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장기간 고탁도가 유지된다면 아가미와 신장 조직은 비정상적인 형태로 변형되고 중금속은 체내에 급격히 축적됨으로 치명적인 유해 작용을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동식 정류장치를 이용한 횡류식 침전지 침전효율 개선 연구 (Improvement of Rectangle Sedimentation basin using the Moving Baffle)

  • 조영만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726-731
    • /
    • 2005
  • 장방형 횡류식 침전지는 정수 공정에서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침전지 형태로 정수공정 전체에서 탁질 제거 비중이 가장 큰 매우 중요한 공정이다. 횡류식침전지는 유입탁도, 수온 등의 변화에 의해 단락류와 밀도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내 정류벽을 설치하는 방안이 제안되기도 했지만 정류공에서 발생되는 제트류 등의 문제로 인해 실제 적용사례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침전지의 전단면에 수류가 일정하게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는 이동식정류장치에 관한 연구이다. 이동식 정류장치는 부드러운 천 재질의 정류벽이 침전지 전단면에 거쳐 수류의 흐름과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면서 침전지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밀도류와 단락류를 조절하여 침전지내 수류 흐름을 전단면에서 일정하게 유도하는 장치이다. 이동식 정류장치를 가동한 결과 침전지 체류시간이 1시간 연장되는 효과를 나타냈다. 즉 다시 말해 염소 이온 최고농도 유출시간이 100분에서 160분으로 연장되었다. 탁도 제거율 시험은 원수 탁도와 체류시간 변화에 따라 연속식과 회분식으로 각각 시험하였다. 탁도 개선율은 연속 운전 방식에서 36%, 회분식 운전 방식에서 58%를 각각 나타냈다. 따라서 장방형 횡류식 침전지에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이동식 정류장치를 도입할 경우 30% 이상 탁도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용존성 유기물질 및 탁도 제거를 위한 반탄화목분 천연재료 혼합응집제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Torrefied Wood Flour Natural Material Based Coagulant to Removal of Dissolved Organic Matter and Turbidity)

  • PARK, Hae Keum;KANG, Seog G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4호
    • /
    • pp.472-487
    • /
    • 2020
  • 급격한 산업화로 인한 이상기후의 발생으로 매년 수질관리 중요성과 관리비용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국내의 경우 수질오염의 주요 원인물질인 총인, 총질소의 관리를 위해 하수처리장에서 응집제를 투입하여 유기물질을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PAC(Poly Aluminium Chloride)의 경우 응집제 과다 주입 시 2차 오염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국내에서는 천연재료를 혼합한 응집제를 이용한 응집제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의 1차 침전지 유출수를 대상으로 PAC와 반탄화목분의 최적 혼합비율을 도출하기 위해 수질 오염물질인 T-P, T-N 및 탁도를 분석하여 개발한 혼합응집제의 적용성 평가를 하고자 한다. PAC(10%)와 반탄화목분 함유량이 1%가 되는 조건에서 T-P의 경우 최대 92%의 제거효율이 나타났으며, T-N의 경우 약 22%의 제거효율이 나타났다. 이는 혼합응집제와 동일한 양전하성 유기물질이 다수 포함된 T-N의 제거가 잘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탁도는 약 91%의 제거효율이 나타났다. 이에 반탄화목분 1%가 최적 첨가량이라고 판단하였으며, PAC 농도를 저감하여 유기물질 제거효율을 분석한 결과, PAC 농도 7%에서 T-P의 경우 최대 91%의 높은 제거효율이 나타났으며, T-N의 경우 32%의 제거효율이 나타났다. 탁도의 경우 최대 90%의 제거효율이 나타났다. 또한, PAC(10%)와 응집성능 비교실험을 수행하여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반탄화목분 1% 함유량 기준에서 혼합응집제를 이용하여 응집공정을 수행할 경우 PAC 농도를 30-50%로 저감할 수 있으며, 시판 응집제와 유사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AC 주입량이 저감되어 경제적 효과를 확보하고, 2차 오염 문제를 저감하는 안정적인 수처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플렉소 고지가 혼입된 신문고지의 중성 탈묵

  • 류훈;이학래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7-27
    • /
    • 2001
  • 탈묵 펄프는 자원재활용을 통한 환경 보존과 원가절감이 가능한 유용한 제지원료로 주로 신문용지와 화장지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신문고지의 상당 부분을 수입 에 의존하고 있으나 외국에서도 자국의 자원 및 환경보호를 위해서 재활용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기 때문에 수입고지의 품질이 저하되고 있으며, 이는 다시 국내 신 문용지의 품질 악화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환경문제가 세계적인 관심사로 부각됨에 따라 환경친화적인 탈묵 방법으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로 수입되는 신문고지 에는 오프셋 인쇄물 뿐만 아니라 플렉소 인쇄물이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신문인쇄에 널리 쓰이는 오프셋 잉크는 기존의 알칼리 해리와 부유부상법에 의해 제거가 비교적 용이한 특정이 있으나, 플렉소 잉크는 친수성 안료로 구성되어 있어 알칼리 조건에서 탈묵할 경우 에 잉크 업자의 크기가 매우 작아져서 부상 탈묵에 의한 백색도 증가 효과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플렉소 인쇄물의 탈묵 개선을 위해 세척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 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설비 및 공정 상황으로 비추어 볼 때 불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플렉소 고지가 함유된 신문고지의 탈묵 효율을 향상시키고 환경친화적 탈묵 기술을 접목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중성 탈묵기술의 적용 가능성 및 이에 효과적인 탈묵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본 실험에서는 일반적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알칼리 조건과 중성조건에서 탈묵을 실시하여 탈묵 효율을 비교하였다. 또, 플렉소 고지를 이용할 때 심각 한 문제점의 하나인 백수의 오염 정도를 탁도 COD 등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중성조건 과 알칼리 조건에서 수율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백색도는 중성 조건에서 탈묵한 경우에 약 1 1% 높았다. 백수의 탁도와 COD는 중성 탈묵을 실시할 경우가 알칼리 탈묵시보다 약 50% 감소하여 플렉소 고지의 탈묵에 비교적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플렉소 고지의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는 없었다. 그래서 플렉소 고지의 중성 탈묵에 적합한 새로운 탈묵기술을 탐색하기 위하여 알킬 아민을 첨가하여 탈묵성을 조사하였다. 알킬 아민을 적용한 결과, 탈 묵 펄프의 백색도는 알칼리 탈묵에 비해 약 6% 증가하였으며, 백수의 탁도와 COD는 알칼 리 탈묵할 때 플렉소 고지를 첨가하기 전보다 낮아졌다. 탈묵 수율은 알킬 아민을 적용한 경우 최고 10% 정도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부상탈묵에 의한 회분 제거율은 알칼리 탈묵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탈묵 펄프의 여수도가 7 70% 이상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떫은감 껍질로부터 분리한 탄닌을 이용한 폐수처리 효과 (Effect of Wastewater Treatment with Tannins from Peel of Astringent Persimmon Fruits)

  • 조영제;천성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99-304
    • /
    • 2005
  • 감 껍질 추출물을 Sephadex LH-20 및 MCI-gel CHP 20 column을 이용하여 2개의 주요 탄닌을 분리할 수 있었으며, NMR, IR, FAB-mass 등을 이용한 구조 동정 결과(+)-catechin, (+)-gallocatechin으로 확인되었다. 소석회와 보조응집제로 정제 탄닌을 처리할 때 얻어진 탁도, T-N, T-P 및 CODcr 제거율은 gallocatechin이 catechin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탄닌 분자의 -OH기가 타 물질과의 반응성이 높아 하수속의 물질과 결합을 하게 되는데 분자구조에 이러한 -OH기가 많을수록 응집 침전하는 능력이 더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단일 탄닌을 첨가하는 것보다 혼합 탄닌 실험군이 탁도, T-N, T-P 및 CODcr 제거율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나, 물질 간 synergy 효과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l(III), Fe(III)계 응집제의 인 제거 특성 및 플럭의 가시화 (Phosphorous Removal by Al(III) and Fe(III) Coagulants and Visualization of Flocs)

  • 이상화;이규석;강익중;윤현희;함승주;곽종운
    • 공업화학
    • /
    • 제16권1호
    • /
    • pp.74-80
    • /
    • 2005
  • 탁질입자 및 인의 효과적인 제거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서 물리화학적 인자들(pH, 알칼리도, 응집제의 종류)의 체계적인 고찰을 수행하였다. AI(III)과 Fe(III)계 응집제들은 제타전위 값이 거의 영에 수렴하는 pH 7~9 영역에서 높은 탁도 제거율 및 인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응집제의 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탁도는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인의 경우에는 금속이온과의 당량적 결합에 기인하여 비례적으로 감소하였다. 고속카메라(Motion Scope 2000, Redlake Co.)를 이용하여 플럭의 생성과정을 가시화하였고 광학현미경을 통해서 플럭의 성상과 형태를 고찰하였다. Fe(III)계 응집제에 의해 생성된 플럭들은 Al(III)계 응집제에 의해 생성된 플럭들에 비해 치밀하였으며 침강성도 뛰어났다.

무기막을 사용한 먹는물 처리 시 최적의 조건 도출 및 처리수질에 미치는 영향 (Derivation of Optimal Conditions and Effect of Treated Water Quality for Treatment of Drinking Water using Inorganic Membrane)

  • 원찬희
    • 한국환경기술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43-549
    • /
    • 2018
  • 본 연구는 정수처리장의 유기막의 처리수와 원수의 블렌딩된 혼합시료를 이용하여 무기막 처리 시 flux의 량에 따른 처리 효율을 실험실 수준에서 규명하였다. 각각의 설정된 블렌딩과 flux의 값에 따라 어떠한 성능을 내는지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측정항목에 따른 최고의 효율을 도출하였다. 처리원수의 수질과 처리량에 따라 서로 다른 처리효율을 보였으며, 특히 탁도제거에 큰 효율을 보였다. 또한 $UV_{254}$의 경우 처리 원수와 flux에 따른 제거 효율이 최대 69 %에서 최소 48 %로 원수의 농도에 따라 다른 제거율을 보였으며, TOC와 DOC의 경우 원수의 값이 낮아 처리 효율이 최대 22 %와 28 %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무기막 공정에서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최적의 공정이 존재함을 시사하며, 대상 원수와 운전조건에 따른 최적화가 필요함을 보인다.

로프형 미생물 담체 침전조를 이용한 상수원수중의 NOM 제거 (Removal of NOM Using Biological Rope Media Sedimentation Tank)

  • 심상준;강연석;김우식;박대원
    • KSBB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332-336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정수처리 중에서 BAC(Biological activated carbon) 처리의 생물분해능과 같이 NOM의 생분해성 부분을 제거하고자 로프형 미생물 담체를 침전조에 적용하는 공정을 시도하였다. 다양한 운전조건을 적용하여 DOC와 UV$_{254}$ 그리고, 탁도 제거효과를 평가하였는데, 담체 설치는 일반적인 정수처리 공정을 모사한 pilot plant에 첫 번째로 아무 전 처리도 거치지 않은 팔당원수를 바로 지나도록 하였고(Media 1), 두 번째는 팔당원수를 오존으로만 전처리한 후 지나도록 하였으며(Media 2), 세 번째는 전 오존과 응집-침전과정이 끝난 후 지나도록 하였다(Media 3). 원수의 DOC 농도는 1.3~3.4 mg/L이고, UV$_{254}$는 0.027~0.039 ($cm^{-1}$ /)이며, 탁도는 0.3~4.5 NTU 였다. 평균 DOC 농도는 media 1, 2, 3에서 각각 2.2 mg/L, 1.8 mg/L, 1.3 mg/L를 보였다. 반면에 침전조에서는 1.5 mg/L의 농도를 보여 media 3에서 가장 높은 제거량을 나타내었다. 평균 UV$_{254}$ 값은 media 1, 2, 3에서 각각 0.037 ($cm^{-1}$ /), 0.027 ($cm^{-1}$ /), 0.014 ($cm^{-1}$ /)를 나타내었으며, 침전조에서의 UV$_{254}$ 값은 media 3와 비슷한 0.014 ($cm^{-1}$ /)를 보였다. 평균 탁도는 media 1, 2, 3에서 각각 1.1 NTU, 0.9 NTU, 0.5 NTU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보면 로프형 미생물 담체 침전조는 일반적인 침전 공정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장치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 PDF

부상여재 및 모래 여과장치에 의한 조류와 탁도 제거에 관한 연구 (Study on Algae and Turbidity Removal by Floating-media and Sand Filter)

  • 권대영;권재현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59-668
    • /
    • 2012
  • In Korea, almost every water treatment plant suffers from seasonal problem of algae and turbidity which result from eutrophication and heavy rainfall. To relieve this problem, experimental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o study the applicability of a floating-media and sand filter to preliminary water treatment in terms of algae and turbidity removal. Experimental results using pure-cultured algae influent showed that the shape of algae species as well as filtration velocity affects the removal efficiency. From the experiments using natural river water, it was concluded that algae removal is more sensitive to floating-media depth but turbidity more sensitive to sand depth. As the filtration velocity increased, the removal of turbidity decreased but that of algae was not affected. The floating-media and sand filter removed more than 30 % of TP, TN, turbidity, Chl-a and CODcr, and less than 20 % of DOC and $UV_{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