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타원 모델

Search Result 13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Improvement of Face Recognition Rate by Preprocessing Based on Elliptical Model (타원 모델기반의 전처리 기법에 의한 얼굴 인식률 개선)

  • Won, Chul-Ho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3 no.4
    • /
    • pp.56-63
    • /
    • 2008
  • Image calibration at preprocessing step is very important for face recognition rate improvement, and background noise deletion affects accuracy of face recognition specially. In this paper, a method is proposed to remove background area utilizing elliptical model at preprocessing step for face recognition rate improvement. As human face has the shape of ellipse, a face contour can be easily detected by using the elliptical model in face images.

  • PDF

Development of the Geoid Model in Korean Peninsula referred to Bessel Ellipsoid (베셀타원체상에서의 한반도 지오이드 모델의 개발)

  • 이석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6 no.2
    • /
    • pp.213-223
    • /
    • 1998
  • This paper deals with the geoid modelling in and around Korean peninsula referred to Bessel ellipsoid. Several useful data were used to compute precise geoidal heights referred to GRS80 by remove and restore technique and FFT technique was used to evaluate Stokes' integral. All grid point elevations extracted from GTOPO 30 and Bessel coordinates of all grid point were computed through coordinates transformation by applying three transformation parameters. Finally, geoidal heights referred to Bessel ellipsoid were calculated by geometric metho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 precise gravimetric geoid model referred to GRS80 (KOGGDM33) and geoid model referred to Bessel ellipsoid(KOBGDM33) in and around Korean peninsula were developed. KOBGDM33 shows the gradual distribution of geoidal heights from -91.8 m in Yongampo to -39.0 m in the straits of Korea.

  • PDF

Solar motion described in the Richan lili(日躔曆理), the Rìchán bùfǎ(日躔步法) and the Richan biao(日躔表) of the Yōngzhèng reign treatises on Calendrical Astronomy, Lixiang kaocheng houbian(曆象考成後編) (《역상고성후편》의 <일전역리>, <일전보법>, <일전표>에 기록된 태양의 운동)

  • choe, Seung-Urn;Kang, Min-Jeong;Kim, Seulki;Kim, Sukjoo;Suh, Wonmo;Lee, Jinhyon;Lee, Yong Bok;Lee, Myon U;Yang, Hong-Ji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2
    • /
    • pp.35.5-36
    • /
    • 2021
  • '역상고성'은 '신법산서'에 수록되어 있는 티코브라헤의 역법체계와 그 밖의 천문 내용들을 중국인 천문학자들에 의하여 확실하게 정리를 하였지만 '역상고성'에 따른 추보는 천상과 불일치를 보게 되었다. 藪內淸(야부우치 키요시) 저(1969), 유경로 역(1985)에 의하면 이러한 불일치는 옹정 8년 6월 초 1일의 일식이었는데 예보의 오류를 정정한다는 것을 중국 천문학자들이 감당하기 어려웠다. 퀘글러(Ignatius Kögler, 戴進賢, 1680~1746)와 페레이라(Andreas Pereira, 서무덕(徐懋德), 1690-1743) 등의 선교사 천문학자들이 칙명을 받아 종사하게 되고, 이들이 중심이 되어 '역상고성'보다 더 진보된 서양천문 역법에 기초를 둔 역서가 편찬되게 되었다. '신법산서'와 '역상고성'은 모델에서는 평원(平圓)을 사용하지만 '역상고성후편'에서는 타원(楕圓) 모델을 사용하게 된다. 건륭 7년(1742년)에 10권이 완성되어 '역상고성후편'이라 명하였다. 타원모델을 채택하였지만 지동설에 대한 내용은 전혀 기술되어 있지 않다. 아마도 태양이나 달의 운동을 추보하는데 지구를 중심으로 해야 하기에 이에 대한 언급을 필요치 않았을 수도 있다. '역상고성후편' 은 태양과 달의 운행, 일식과 월식에 대해서만 다루고 있다.그러나 '역상고성'에서는 청몽기차나 지반경차를 티코브라헤의 표 값을 그대로 사용하였고, 이 값들이 관측과 관련이 되어 있음을 설명하려는 무리를 두고 있다. 너무 정확하게 값들이 관측 값들로부터 유도되어 의심이 갈 정도이다. 카시니(Giovanni Domenico Cassini, 喝西尼, 1625~1712)는 자신의 동료 리셰와 함께 파리와 프랑스령 기아나 카이엔에서 충의 위치에 있는 화성과 부근 별의 고도를 관측하여 충의 위치에 있는 화성의 시차를 측정하여 최초로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를 어림하고, 태양의 지반 경차를 현재와 값과 거의 비슷하게 얻었다. '역상고성후편'에서는 이 내용을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또한 대기에서 입사각과 굴절각 사이에 Snell의 법칙이 성립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모호하게 알았던 청몽기차를 대기의 굴절을 이용하여 현재의 값과 비슷한 값을 얻어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모든 천체의 위치를 관측하는데 있어서 매우 정확한 값들을 얻을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황도-적도 경사각도 정확하게 얻어진다. '역상고성후편'은 옹정원년을 역원으로 하고 있다. 태양의 운행에 있어서 케플러의 타원 궤도를 이용하게 된다. '신법산서'와 '역상고성'에서는 평균근점이각 M을 모델에서 보여 줄 수 있지만 타원 궤도에서는 이 각이 면적각으로 주어지고, 원 대신 타원을 다루기에 쉽지 않다. 현재는 케플러 방정식을 풀어 가감차를 구하게 되는데 이를 기하학적으로 풀이하는 차적구적법을 소개하고 있다. 이와 함께 면적을 이용하여 타원계각과 타원차각을 구하는 차각구각법도 소개한다. 타원계각과 타원차각을 모두 고려하였기에 현재의 태양의 운동을 기술하는 타원모델과 완벽하게 같다. 다만 사용하는 상수가 아주 조금 다를 분이다. 태양의 경도를 추보하는 방법도 동지점을 기준으로 하고 현재의 방법과 동일하다. 달의 운행도 타원 궤도를 사용한다. '역상고성후편'의 내용은 우리나라의 전해져서 1860년 남병길이 쓴 '시헌기요(時憲紀要)'에는 태양, 달, 일·월식, 오행성의 운동, 항성의 위치, 시간 등을 추보하는데 필요한 내용들이 매뉴얼화 되어 기록되어 있고, 1862년 남병철이 쓴 '추보속해(推步續解)'에도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 PDF

타원편광분석법을 이용한 AlP 유전함수 연구

  • Jeong, Yong-U;Hwang, Sun-Yong;Mangesh, S.D.;Gong, Tae-Ho;Kim, Yeong-Dong;Sin, Sang-Hun;Song, Jin-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42-4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광학소자에 폭넓게 이용되는 AlGaP III-V족 화합물 반도체 중에서 한쪽 끝 이 종화합물인 AlP의 유전함수를 0.75~5.05 eV의 에너지 영역에서 타원편광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AlP는 산소와 급격히 반응하기 때문에, 대기 중에서 물질 고유의 광특성이 유지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박막 위에 생성되는 산화막 때문에 순수한 AlP의 유전함수 측정이 불가능 하다. 본 연구에서는 물질의 유전함수에 미치는 산화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Molecular Beam Epitaxy로 성장한 $1.0{\mu}m$ 두께의 AlP 박막을 초고진공 상태의 chamber 안에서 타원편광분석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박막의 투명도에 의해 나타나는 간섭 pattern과 표면거칠기 효과로 인한 유전함수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하여 변수화 모델이 이용되었으며 다층 변수화모델 계산을 통하여 순수한 AlP의 유전함수를 얻어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측정된 순수한 AlP의 유전함수는 타원편광분석기를 이용한 최초의 실험결과로서 이차미분을 이용한 전이점 (Critical Point) 분석결과 이론적인 electronic band structure에서 $E_1$, $E_1+_{{\Delta}_1}$, $E_2$에 해당하는 전이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Facial Texture Generation using an Image Registration Algorithm based on Ellipsoidal Prototype Model (타원체형 모델 기반의 영상정렬 알고리즘을 이용한 얼굴 텍스쳐 생성)

  • Lee Joong Jae;Noh Myung Woo;Choi Hyung Il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2 no.1
    • /
    • pp.22-33
    • /
    • 2005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age registration algorithm based on variable-sized blocks of ellipsoidal prototype model which is similar in shape to human face. While matching blocks, the existing cylindrical prototype model which only takes into account left and right curvature can accomplish a correct alignment on left and right images. But, registration errors are produced from up and down images because the cylindrical prototype model not reflects characteristics of head shape and jaw structure of human. The proposed method is a block matching algorithm which uses variable-sized blocks with considering left-right and up-down curvature of ellipsoidal face model and can correctly align images by us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We then adapt image mosaic technique to generate a face texture from aligned images. For this purpose, we stitch them with assigning linear weights according to the overlapped region and remove ghost effects to make more realistic facial texture.

Automatic Endocardial Boundary Detection on 2D Short Axis Echocardiography for Left Ventricle using Geometric Model (좌심실에 대한 2D 단축 심초음파도에서 기하학적인 모델을 이용한 심내벽 윤곽선의 자동 검출)

  • 김명남;조진호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15 no.4
    • /
    • pp.447-454
    • /
    • 1994
  • A method has been proposed for the fully automatic detection of left ventricular endocardial boundary in 2D short axis echocardlogram using geometric model. The procedure has the following three distinct stages. First, the initial center is estimated by the initial center estimation algorithm which is applied to decimated image. Second, the center estimation algorithm is applied to original image and then best-fit elliptic model estimation is processed. Third, best-fit boundary is detected by the cost function which is based on the best-fit elliptic model. The proposed method shows effective result without manual intervention by a human operator.

  • PDF

GPS 위성과 천체 역학을 이용한 위치 결정

  • 김형규;최규홍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1993.10a
    • /
    • pp.9-9
    • /
    • 1993
  • GPS는 지구 중심으로부터 GPS 위성의 거리와 위성과 관측자사이의 의사거리(pseudorange)를 이용해서 위치를 결정하는 시스템이다. 1993년 6월 12일 연세대학교에서 3시간동안 관측하여 연세대학교의 위치를 구하였다. 이 위치는 WGS-84 타원체이므로 Bessel타원체로 좌표변환하였다.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위성의 위치와 의사거리에 미치는 잡음(noise)을 제거해야 한다. GPS 위성의 위치 결정에는 지구 비대칭중력항에 의한 섭동, 태양, 달에 의한 섭동, 태앙 복사압에 의한 섭동, 지각, 해양의 조석력에 의한 섭동, 태양빛의 지구 반사도(albedo)에 의한 섭동을 고려해야하며 이를 위해서 위성의 Telemetry를 분석하여 구해 보았다 의사거리의 잡음중 가장 큰 요소인 이온층, 대류층에 의한 지연(delay)에 대해 연구 하였고 각각 Kiobuchar모델, Hopfield모델을 써서 보정을 하였다. 자료 처리를 P모델, PV모델을 만들어 칼만 필터에 적용하였고 RV모델이 P모델보다 더 정확하였나, 위치 결정의 정확도를 알아 보기위해서 국립 천문대부설 GPS관측소에서 결정한 위치와 비교,분석하였다.

  • PDF

Fall Detection based on Fish-eye Lens Camera Image and Perspective Image (어안렌즈 카메라 영상과 투시영상을 이용한 기절동작 인식)

  • So, In-Mi;Kim, Young-Un;Kang, Sun-Kyung;Han, Dae-Gyeong;Jung, Su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c
    • /
    • pp.468-471
    • /
    • 2008
  • 이 논문은 응급상황을 인식하기 위하여 어안렌즈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기절 동작을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거실의 천장 중앙에 위치한 어안렌즈(fish-eye lens)를 장착한 카메라로부터 화각이 170인 RGB 컬러 모델의 어안 영상을 입력 받은 뒤, 가우시안 혼합 모델 기반의 적응적 배경 모델링 방법을 이용하여 동적으로 배경 영상을 갱신한다. 입력 영상의 평균 밝기를 구하고 평균 밝기가 급격하게 변화하지 않도록 영상 픽셀을 보정한 뒤, 입력 영상과 배경 영상과 차이가 큰 픽셀을 찾음으로써 움직이는 객체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연결되어 있는 전경 픽셀 영역들의 외곽점들을 추적하여 타원으로 매핑하고 움직이는 객체 영역의 형태를 단순화하였다. 이 타원을 추적하면서 어안 렌즈 영상을 투시 영상으로 변환한 다음 타원의 크기 변화, 위치 변화, 이동 속도 정보를 추출하여 이동과 정지 및 움직임이 기절동작과 유사한지를 판단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자로 하여금 기절동작, 걷기 동작, 앉기 동작 등 여러 동작을 취하게 하고 기절 동작 인식을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어안 렌즈 영상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보다 투시 영상으로 변환하여 타원의 크기변화, 위치변화, 이동속도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높은 인식률을 보였다.

  • PDF

Evaluation of the in-situ Ellipsometer Mounted on a sputtering Chamber (스퍼터링 챔버에 설치한 in-situ 타원해석기의 성능평가)

  • 박광범;신용환;구교근;이순일;김상열;오수기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3 no.2
    • /
    • pp.166-172
    • /
    • 1994
  • 박막이 성장하는 동안 박막성장 상태를 관찰하기 위한 in-냐셔 타원해석기를 제작하였다. 이 타 원해석기는 He-Ne 레이저를 광원으로 사용하며 회전검광자형으로 광량측정방식을 채택하였다. 이 타원 해석기는 편광자 모듈과 검광자 모듈 및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모듈은 각각 스퍼터링 챔버에 부착되었다. c-Si 기판 위에 열산화 과정으로 성장시킨 SiO2 박막을 표준시료로 사용하여 보정 및 성능 평가를 하였다 또한 RF 스퍼터링으로 c-Si 기판 위에 SiO2 박막을 성장시키면서 타원해석상수 ΨΔ를 측정하고 근사적 모델에 의한 ΨΔ의 전산모의 성장곡선과 비교해 보았다.

  • PDF

Elliptic Curve AMP Protocol (타원곡선을 이용한 AMP 프로토콜)

  • Ahn, Chang-Sup;Heu, 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712-714
    • /
    • 2001
  • 낮은 엔트로피의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안전한 인증 및 키교환을 위해 Diffie-Hellman에 기반한 AMP(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via Memorable Password) 프로토콜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타원곡선 암호화가 가질수 있는 높은 보안성과 효율성을을 위해 타원곡선이산대수문제(Elliptic Curve Discrete Logarithm Problem)에 기반한 EC-AMP (Elliptic Curve-AMP)프로토콜을 제안한다. EC-AMP는 랜덤 오라클(random oracle) 모델에서 여러 가지 공격에 대해 안전하므로 인증 및 키교환이 필요한 네트워크 환경에 패스워드를 이용함으로 얻을수 있는 편의성과 타원곡선이산대수문제가 제공하는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