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타당성 종합평가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7초

대학교수 종합평가의 평가내용요소별 가중치

  • 권기욱
    • 대학교육
    • /
    • 통권76호
    • /
    • pp.83-89
    • /
    • 1995
  • 교수종합평가는 교육.연구.봉사 영역 모두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 어느 한 영역의 평가결과가 우수하면, 다른 영역의 결과는 그렇지 못할 수도 있다. 모든 영역에서 평가결과가 우수한 경우는 드물다. 그리고 교수종합평가의 평가영역 및 평가요소별 가중치는 개인의 가치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교수의 종합평가나 중점평가에 적용될 가중치는 특정 개인의 주장만을 반영하기보다 많은 사람이 합의한 결정에 근거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여기에서는 보다 많은 대학과 다양한 학문계열의 교수들을 표집하여 객관적인 입장에서 평가영역 및 평가항목의 가중치를 규명하였다. 그 결과로 도출된 가중치는 대학교수들의 평가에 적용되어 평가결과의 타당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System Improvement)

  • 박승준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7호
    • /
    • pp.70-75
    • /
    • 2022
  • 2019년 정부는 경제성이 예비타당성조사 통과의 결정적 요소로 작용하는 문제 개선을 위해 종합평가의 경제성 항목 가중치 최대치를 50%에서 45%로 축소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였다. 이 연구는 2019년 제도개선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제도 개선 전과 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회귀분석과 상관관계 분석결과 두 기간 모두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Z검증을 통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는 경제성의 영향력을 축소하기 위한 제도 개선이 효과가 없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종합평가 각 항목의 가중치를 기존 사업 등에 다양하게 대입해 재평가 해보는 등의 연구를 통해 보다 실효성 있는 종합평가 연구 설계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공동구 기본계획 기준수립을 위한 절차 및 적용사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cedures and Application Examples for Establishment of Master Plan Standard for the Utility Tunnel)

  • 오원준;조중연;이민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100-107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기존시가지에서 공동구 건설에 대한 합리적 의사 결정을 위한 기본계획 기준 수립의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타당성 평가에 의하여 최적노선을 선정 하였으나, 기본계획 기준에서는 공동구 설치 여건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타당성 및 경제성 분석에 의한 결과를 종합평가하여 분석 대상 전체 구간에 대하여 종합순위를 산정한다. 또한, 종합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지역에서 진행 예정인 연계 사업 검토 후 중·장기 투자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을 도입하였다. 추가적으로 논문에서 제시한 기준 수립의 검토를 위하여 서울의 서북도심권에 대하여 기본계획 절차를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AHP를 이용한 학교시설 민간투자사업(BTL)의 타당성 종합평가 (An overall valuation about propriety of school facilities BTL through AHP)

  • 하호성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5권1호
    • /
    • pp.22-3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overall valuation about propriety study of school facilities BTL(Build-Transfer-Lease) by means of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 search point includes these questions. Is BTL of school facilities a reasonable project for school, or is the former government financial project on the position of comparative superiority? And, is a partial BTL possible as an alternative pla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preference rate about BTL is 39%, that of former government financial project is 32%, and that of partial BTL is 29%.

  • PDF

출연연구기관 종합평가의 평가와 과제 -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평가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 정용일;원동규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6-122
    • /
    • 2000
  • 1999년 처음 출범한 연구회체제는 소속 연구기관들의 1999년도 연구실적 및 경영내용에 대한 기관평가를 실시하였다. 기관평가는 짧은 준비기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객관적인 지표체계 및 과학적인 평가방법을 개발하여 평가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제고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연구회 소속 연구기관들은 기관평가시스템에 대한 재검토 필요성에 대부분이 공감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책임성 확보와 성과지향적인 관리 및 평가체제 구축을 위하여 도입된 기관평가의 목적, 대상, 체계, 기준 및 그 결과 등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평가와 비교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종합학습평가를 위한 퍼지추론 시스템 (Fuzzy Inference System for the Synthesis Learning Evaluation)

  • 손창식;김종욱;정구범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742-746
    • /
    • 2006
  • 학습자에 대한 학습능력의 평가는 진단평가, 형성평가와 총괄평가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적 평가는 학습자의 사전 학습 준비상태부터 학습 과정의 충실성 및 학습 결과까지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퍼지추론을 이용하여 각 단계의 평가를 모두 고려한 종합학습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학습 수행능력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하여 각 평가 단계별로 가중치를 부여하였고, 진단, 형성 및 총괄 평가에 대한 퍼지추론에서 획득한 비퍼지화 값을 최종평가의 소속함수 구간으로 적용하였다. 그 결과 객관성을 보장할 수 있는 명확한 추론을 수행할 수 있었으며, 종합적인 학습평가 방법의 타당성을 보였다.

FMS 투자 타당성 검토 기법에 대한 고찰

  • 이국철
    • 경영과학
    • /
    • 제4권
    • /
    • pp.42-53
    • /
    • 1987
  • FMS는 개별적인 자동화 체계와 기술이 하나의 생산시스템 내에서 통합된 것이므로, 이는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에 있어 높은 생산성과 융통성을 동시에 달성하고자 하는 제조시스템이다. FMS와 같은 신제조 기술에 바탕을 둔 공장자동화 시스템을 설치, 운영함에 있어 고유한 생산관리상의 제문제가 발생하며, 특히 막대한 투자비 소요로 인한 경제적 타당성 평가 문제가 FMS 도입상 선결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발표된 FMS투자 타당성 검토와 관련된 종합적인 문헌 조사를 행한 후, 이를 크게 "계량요인 위주기법"과 "비계량요인 포함 기법"으로 구분하고, 각 구분에 속한 제 평가 방법들의 특성 및 한계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아울러 FMS 투자타당성 검토 대안으로서 시간적 차원을 달리하는 3단계적 평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단계적 평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원자력 발전소 종합 진단감시시스템 개발

  • 노희영;황경모;진태은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532-537
    • /
    • 1997
  • 최근 세계 각 국에서는 노후된 원전의 연장운전과 관련하여 주요기기의 손상진단 또는 수명평가를 통한 지속적인 안전성 보장과 원전의 정비계획 수립, 효율적인 원전이용 등을 위하여 기기의 손상평가 및 성능감시를 수행할 수 있는 각종 감시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도 발전소 가동년수 증가와 함께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위해 연장운전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수행한 바 있으며, 그 후속연구도 진행될 예정으로 있어 발전소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 기기의 안전성 확보와 신뢰도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Prototype 형태로 기기 건전성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과도상태, 조사취화, 피로손상, 균열성장 및 부식손상 평가모듈을 개발하고, 이를 통합하여 원자력 발전소 종합 진단감시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PDF

국방과학기술 분류 및 수준조사

  • 김재수
    • 국방과기술
    • /
    • 1호통권227호
    • /
    • pp.92-99
    • /
    • 1998
  • 금번 실시한 기술분류/수준조사는 복잡 다양한 기술중 우리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는 몇가지 장비만을 선별하여 전문가의 평가를 종합한 것으로서, 그 가치판단이 객관적인 타당성을 가지면서 현실과 부합하는지를 확인하고, 향후 주기적으로 실시하게 될 기술수준조사의 가능성과 가치를 평가하는 기회였다.

  • PDF

물발자국 도입의 기술적·정책적 타당성 분석연구 (Feasibility Study for Technology and Policy on Water Footprint Introduction)

  • 박성제;박누리;유시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265-265
    • /
    • 2015
  •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한정된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도적 규제는 앞으로 기업의 제품 생산에서 발생하는 오염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기관투자가 등이 지원하는 영국의 NPO인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는 2010년부터 온실가스배출량과 함께 물 사용 상황을 공개할 것을 전 세계 기업에 요구했다. 이에 따라 전 세계에서 탄소발자국과 물발자국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우선 본 연구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물발자국 개념의 활용현황을 분석하였다. 호주와 미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에서는 물발자국의 라벨 제도를 도입하여 기업의 제품에 대한 등급을 구분하고 있다. 라벨의 부착은 인증기관의 검토를 통하여 기존 제품보다 물 사용 효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물발자국 라벨제도는 제품 생산의 전 과정 환경성 평가를 통하여 기업이나 제품의 물발자국 관련 영향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스페인에서는 물발자국을 물의 효율적인 분배와 사용을 위한 정책적 요소로 도입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바탕으로 물발자국의 기술적 활용 및 효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법과 제도적 측면, 기술적 측면에서 살펴보았으며, 우리나라의 현황과 비교를 진행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분야별 기술 사업에 대한 목표와 최종성과물, 활용방안을 정리하여 해당 개념의 주요쟁점사항에 대해 기술적, 정책적으로 타당한지를 지표를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물발자국의 활용에서 기술적 타당성에 대한 지표는 적절성, 성공가능성, 우수성, 경제성 측면에서 제시가 되었으며, 정책적 타당성은 해당계획 및 기업 및 지자체의 추진의지, 위험요인, 특수평가 항목을 통해 개업 및 지자체의 물발자국 활용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이상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물발자국 도입을 위한 종합평가로서 AHP 분석을 실시하여 물발자국 도입을 위한 중요도와 종합목적 및 위기상황에 따른 대체안을 설정할 수 있도록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현재 우리나라는 본격적인 정책적 도입에 앞서 개념의 정의, 정책 공감대의 확대, 한국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시범단계에 있다. 물 산업의 확대와 우리 기업들의 해외진출은 가상수와 물발자국의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시급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으로 우리나라의 물발자국 도입을 위한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기초연구로서 큰 의미를 지니며, 기업의 물산업 전략을 수립을 위한 지표 설정에 있어서도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