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Effect of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System Improvement  

Park, Seung Jun (한국공학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Smart Media Journal / v.11, no.7, 2022 , pp. 70-7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2019, the government improved the system to reduce the maximum weight of economic feasibility items in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from 50% to 45%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that economic feasibility is a decisive factor in passing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ystem improvement in 2019 and verified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system improvement.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both periods showed high correlation, and the difference through Z-test was analyzed 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result means that institutional improvement to reduce the impact of economics was not effective. Therefore,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design of a more effective comprehensive evaluation study through research such as reevaluating the weights of each item in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in various ways in existing projects.
Keywords
AHP; government financ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 운용지침", 기획재정부훈령 제435호, 2019년 5월
2 한국개발연구원,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다기준분석 방안 연구(II)", 한국개발연구원, 2001년 12월
3 김재환, "예비타당성조사사제도의 주요 쟁점과 향후 과제", 이슈와 논점, 제1212호, 2016년 10월
4 이태규, 김봉석, "전시컨벤션센터 확장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의 비판적 고찰," 경상논총, 제28권, 제4호, 51-74쪽, 2010년 12월
5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개편방안," 기획재정부 보도자료, 2019년 4월
6 오미영, 손의영, 정창용, 김재영, "예비타당성조사 제도의 타당성에 대한 연구: 예비타당성조사 종합적 분석의 개선 필요성 및 시사점,"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대한교통학회 제61회 학술발표회, 1025-1030쪽, 2009년 10월
7 기획재정부, "국가재정법", 법률 제18469호, 2022년 3월
8 권태형, "공공사업 타당성평가에서 다기준분석의 의의와 한계: 예비타당성조사의 AHP평가기법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제22권, 제3호, 31-51쪽, 2008년 9월   DOI
9 심명식, 이상준, 송동엽, "드론산업 인프라 투자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스마트미디어저널, 제9권, 제3호, 130-141쪽, 2020년 9월
10 유경호, "예비타당성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년 8월
11 김강수, "대규모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성과와 과제", 국토, 제413호, 12-17쪽, 2016년 3월
12 Saaty, T.L., "How to make a decisi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terfaces, Vol. 24, No. 6, pp.19-43, Dec. 1994.   DOI
13 한국개발연구원,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다기준분석 방안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00년 12월
14 KDI공공투자관리센터, "국내사업 공공기관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개선 및 평가 보완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20년도 정책연구 보고서, 2020년 3월
15 엄근용, "경제.사회 환경 변화에 따른 예비타당성조사 제도의 개선 방안," 건설이슈포커스, 2019년12월
16 이현정, "예비타당성조사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예산결정에서의 예비타당성조사결과 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9년 8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