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타당성 조사

Search Result 1,605,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Study of Feasibility Study on Construction a Public Library (공공도서관 건립 타당성 조사에 관한 연구)

  • Lee, Sang-Bok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5 no.4
    • /
    • pp.491-51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pproach of economic feasibility and political and technical feasibility in the construction of a new public library. The results show that the cost-benefit analysis using in economic feasibility have the problems of benefit counting and discount rate, and also political and technical feasibility have the problems of wrong use in the rationalization of construction projec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in preparing the feasibility study.

  • PDF

Study on Judgement and Improvement of R&D Overlap Analysis during National R&D Pre-feasibility Study : Analysis based on Survey Response of Pre-feasibility Studying Team (예비타당성조사 R&D 중복성 검토의 판단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 조사 담당자의 설문 응답 기반 분석)

  • Park, Ch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535-546
    • /
    • 2017
  • 국가 R&D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 시 R&D 중복성에 대한 검토는 중복된 투자를 방지하여 재정 투자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타당성조사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중복성 검토에 대한 중요요인, 개선사항, 판단기준, 판단주체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을 진행하였고, 외부 전문가 그룹의 인식차이와 비교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통계 분석을 통해 중복성 검토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중복성 판단기준,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및 검색 알고리즘'으로 확인되었고, 3가지 요인에 대한 개선이 중복성 검토를 개선하는데 가장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주요 요인들이 중복성 검토결과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성을 분석하여 요인들의 유의성에 대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타당성 조사 시 R&D 중복성에 대한 검토가 향후 어떤 방향으로 개선되어야하는지에 대해 시사점이 제시된다.

  • PDF

서울지역 열병합발전 지역난방 타당성 조사

  • 채재우;성재석
    • Journal of the KSME
    • /
    • v.22 no.3
    • /
    • pp.223-232
    • /
    • 1982
  • 우리나라에 있어서 열병합 발전 지역난방이 1960 년대에 거론되어, 당인리 화력발전소의 폐열을 여의도 지역난방으로 이용하자는 이야기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이야기"가 경제성이 있는 것 으로 판단된 것은 적극적인 연구사업인 1978 년도 과학기술원의 반월공단에 대한 타당성 검토와 여의도 강남지역의 타당성 검토를 통하여 비롯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검토를 토대로 우리 나라 환경에 맞는 기술의 국내 도입을 위하여 이 분야에 오랜 전통을 갖는 해외 전문용역회사 BRUNN '||'&'||' SORENSEN A/S와 한국 동력자원연구소 에너지분소가 공동으로 국내 열병합발 전지역 난방 타당성 조사사업을 1980. 9-1981.7까지 수행하였다. 본 타당성 조사의 기술 및 경 제성 분석 과정과 결과를 서술하고 향후 추진방향을 제시코자 한다.다.

  • PDF

금강유역 홍수조사

  • 권오현;유주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5.05a
    • /
    • pp.277-282
    • /
    • 1995
  • 1)금강유역조사, 2)대천다목적댐 타당성 조사, 3)용담다목적댐 타당성 조사

  • PDF

정부출연연구기관 주요사업 연구기획 강화를 위한 예비타당성조사 사업 메타분석연구

  • Lee, J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393-407
    • /
    • 2017
  • 최근 정부 R&D 방향을 보면 정부출연연의 역할은 중장기, 대규모 신규사업발굴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출연연 자체적으로 연구기획에 많은 투자와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출연연 주요사업 연구개발계획서에 철저한 준비가 되어야 함에도 기획 전문지식이 체계적으로 축적되지 않았으며 연구기획에 대한 좋은 본보기를 요구하는 연구자들이 지속적으로 이어져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논리적이고 심도있는 검토를 거치는 사전평가 과정인 국가연구개발 예비타당성조사 사업을 본보기로 제안하며 주요사업 기획에 도움이 되는 평가항목들과 내용을 메타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KISTEP에서 공개한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의 평가항목들 중에서 출연연 주요사업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적 타당성 평가항목들을 선별한다. 그리고, 선별된 평가항목들끼리의 내용분석을 통해 사업 타당성에 대한 지적사항을 항목별로 정리하여 시사점을 찾아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주요사업 대규모, 중장기 연구기획 시 실무적으로 도움이 될것으로 기대한다.

  • PDF

Study on Standard Framework for Analyzing Government R&D Program: the case of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on R&D Program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 분석틀 표준화 연구: 연구개발 부문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을 중심으로)

  • Ahn, Sang-Jin;Kim, Hye-Won;Lee, Yoon Bee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6 no.1
    • /
    • pp.176-198
    • /
    • 2013
  •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PFS) was introduced in 1999 by financial authority to encourage a cautious approach to new large-scale public investment project. As it applied cost-benefit analysis as prime measure for decision-making, various issues have been arisen concerning feasibility analysis on R&D programs. This work is intended to suggest standard approaches to be established in PFS on R&D program as follows: 1. The issue questions can be induced in a standard way by 15 representative questions and their correlation with evaluation criteria. 2. The analyzing strategy can be standardized by establishing standards for classification of R&D effects and R&D logic analysis.

  • PDF

LPG버스 예비타당성조사 용역

  • Korea LPGas Industry Association
    • LP가스
    • /
    • s.99
    • /
    • pp.32-34
    • /
    • 2005
  • LPG버스의 환경성, 경제성, 안전성, 기술적 완성도 등을 조사하여 향후 LPG버스의 실용화 가능성 여부 등을 검토하기 위한 LPG버스 예비타당성조사 연구용역을 산업연구원에서 수행하고 있다. 그 내용을 게재한다.

  • PDF

여량 산호동굴의 개발 타당성 연구

  • 홍시환;변대준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8 no.39
    • /
    • pp.5-13
    • /
    • 1994
  • 본 연구는 강원도 정선에 있는 여량산호동굴 주변에 대한 개발타당성을 연구조사한 것이다. 이 조사연구는 개발타당성과 개발계획안 수립에 대한 연구 용역조사로 이루어진 것 중에서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중략)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Security Index (정보보안 지표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현수;정해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119-127
    • /
    • 1999
  • 본 연구는 정보보안 수준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간편한 지표를 개발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기존 관련연구 및 지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 방향을 설정한 후, 관련전문가들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후보지표 항목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후보지표 항목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해 보안 전문가 집단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요소로서의 타당성, 상대적 중요성, 항목 결여시 보안사고 발생확률, 사고의 심각성 등 4가지 기준에 의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각 후보 지표 항목에 대한 요소로서의 타당성을 도출하였다. 대부분의 후보 항목이 바람직한 항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요인 분석과 상관 분석 등을 추가로 수행하고, 보안 수준을 계량화하는 연구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 PDF

An Analysis on the Pre-Feasibility Evaluation Factors of Activation for Welfare Facilities for the Residents in Apartment Building (공동주택 주민복지시설의 활성화를 위한 사전 타당성 평가요인 분석)

  • Kim, Young-Hoon;Kang, Hyun-Wook;Won, Yoo-Man;Kim, Yong-Su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2 no.6
    • /
    • pp.160-167
    • /
    • 2011
  • An Analysis on the Pre-Feasibility Evaluation Factors of Activation for Welfare Facilities for the Residents in Apartment Building. The adapted research method of selected case five apartment building in D new town and carried out questionnaire survey to residents and user for draw items of feasibility evaluation. Drew items of feasibility evaluation classify as Plan section, Design section, and Operation section and evaluate the weight of each section utilizing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uch as Plan section, Composition of Program Facility, User Charge Survey, Arrangement of Program Room were analyzed highest. Such as Design section, Arrangement of Program Room, Circulation planning, Educational Equipment were analyzed highest. And such as Operation section, Operation costs, Operation Plan, Review of Program Facility were analyzed high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