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타격 가능 영역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8초

이동표적에 적용 가능한 공대지 유도폭탄의 투하 가능 영역 (Computation of Launch Acceptability Region of Air-to-Surface Guided Bomb for Moving Target)

  • 강예준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9권7호
    • /
    • pp.601-608
    • /
    • 2021
  • 공대지 유도폭탄의 투하 가능 영역(LAR)은 플랫폼이 목표하는 지점에 장착물이 성공적으로 명중하기 위해 진입해야 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목표물의 기동 종류에 따라 크게 고정표적, 이동표적으로 나누며, 본 논문에서는 고정표적 및 이동표적에도 적용 가능한 투하 가능 영역의 산출 알고리즘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는 플랫폼과 표적, 대기환경을 매개변수로 하여 입력변수를 변화시키며 다중 시뮬레이션을 수행 후 회귀 및 분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적절한 투하 가능 영역을 시현하기 위한 함수를 개발하였다. 운용 적합성을 위한 시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적절한 투하 가능 영역이 도출되며, 결과적으로 이동표적에도 적용할 수 있는 공대지 유도폭탄의 투하 가능 영역 알고리즘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공대지 유도폭탄 투하 가능 영역 계산 알고리즘 개발 (Developing an Algorithm to Calculate Launch Acceptability Region of Air-to-Ground Guided Bomb)

  • 서정재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517-522
    • /
    • 2017
  • 투하 가능 영역(LAR)는 공대지 유도 폭탄을 장착한 항공기가 표적을 성공적으로 타격하기 위하여 진입하는 영역을 말한다. LAR는 항공기 투하 조건, 표적 착탄 조건, 대기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투하, 착탄, 환경 조건 등의 입력 조건을 변화시켜 많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LAR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알고리즘을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시험하였고, 공대지 유도폭탄의 LAR 도출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저 우주를 향하여(4)

  • 구상회
    • 국방과기술
    • /
    • 12호통권298호
    • /
    • pp.34-45
    • /
    • 2003
  • 우주는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인간의 새로운 활동영역으로 무한한 잠재력을 갖고 있따. 첫 인공위성이 발사된 지 반세기도 안 되었지만 오늘날 우주이용은 국가안보는 물론이고 우리의 일상생활에 있어서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따. 현대전의 특징은 엘빈 토플러의 저서 "전쟁과 반전쟁"에서 기술한 것처럼 전격전과 초정밀 타격전이라 할 수 있다. 우주기술은 조기경보와 전장감시, 사각 없는 통신 및 초정밀 측위(GPS)와 유도를 가능케 함으로써 현대적 군사력 건설의 핵심이 되고 있다.

  • PDF

Study of multi-stacked InAs quantum dot infrared photodetector grown by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 김정섭;하승규;양창재;이재열;박세훈;최원준;윤의준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9년도 제38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29-129
    • /
    • 2010
  • 적외선 검출소자(Infrared Photodetector)는 근적외선에서 원적외선 영역에 이르는 광범위한 파장 범위의 적외선을 이용하는 기기로서 대상물이 방사하는 적외선 영역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이를 영상화할 수 있는 장비이다. 적외선 관련 기술은 2차 세계대전 기간에 태동하였으며, 현재에는 원거리 감지기술 등과 접목되면서 그 활용 분야가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능동형 정밀 타격무기를 비롯한 감시 정찰 장비 및 지능형 전투 장비 시스템 등에 대한 요구를 바탕으로 보다 정밀하고 신속한 표적 감지 및 정보처리 기술에 관한 연구가 선진국을 통해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Bolometer 형식의 열 감지 소자는 반응 속도가 느리고 측정 감도가 낮은 단점이 있으며, MCT(HgCdTe)를 이용한 적외선 검출기의 경우 높은 기계적 결함과 77K 저온에서 동작해야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추가 비용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1]. 이에 반해 화합물 반도체 자기조립 양자점(self-assembled quantum dot)을 이용한 적외선 수광소자는 양자점이 가지는 불연속적인 내부 에너지 준위로 인하여, 높은 내부 양자 효율과 온도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고성능, 고속처리, 저소비전력 및 저소음의 실현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적층 InAs/InGaAs dot-in-a-well 구조를 유기금속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성장하고 이를 소자에 응용하였다. 균일한 적층 양자점의 성장을 위해서 원자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y)을 이용하여, 각 층의 양자점의 크기와 밀도를 관찰하였고, photoluminescence (PL)를 이용하여 발광특성을 연구하였다. 각 층간의 GaAs space layer의 두께와 온도 조절 과정을 조절함으로써 균일한 적층 양자점 구조를 얻을 수 있었다. 이를 이용하여 양자점의 전도대 내부의 에너지 준위간 천이(intersubband transition)를 이용하는 n-type GaAs/intrinsic InAs 양자점/n-type GaAs 구조의 양자점 적외선수광소자 구조를 성장하였다. 이 과정에서 상부 n-type GaAs의 성장 온도가 600도 이상이 되는 경우 발광효율이 급격히 감소하고, 암전류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는 InAs 양자점과 주변 GaAs 간의 열에 의한 상호 확산에 의하여 양자점의 전자 구속 효과를 저해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 PDF

다수 표적 연속교전 상황에서의 최적 발사각 Sequence 결정 개념 연구 (Study on a Noble Methodology for the Automatic Decision of Optimal Launch Angle Sequence under Multi-Target Engagement)

  • 류선미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133-146
    • /
    • 2016
  • 단일 발사대에 탑재된 다수의 유도탄이 다수의 표적과 순차적으로 교전하는 상황에서 발사대는 유도탄이 해당 표적을 타격할 수 있도록 적절한 발사각을 설정하여 구동하게 된다. 이 때, 개별 표적에 대해 할당된 순서대로 교전을 수행하게 되면 전체 교전 시간이 길어지며, 이동하는 표적이 교전 가능 영역을 벗어나게 되어 부분적으로 교전에 실패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표적 배치 상황에서 최적 교전을 수행할 수 있는 발사각 시퀀스(Sequence)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이동하는 표적이 있는 전장 시나리오에서 시뮬레이션을 통해 모든 발사각 시퀀스에 대한 결과를 계산하고, 이 중 전체 교전 시간을 최소화 하는 최적의 발사각 시퀀스를 추출하는 과정을 통해 표적 시나리오에 따른 시퀀스 결정 논리를 모델링하였다. 그리고 그 모델링 결과를 통해 나온 교전 시퀀스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획득한 최적 혹은 준최적 발사각 시퀀스를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안한 최적 발사각 시퀀스 결정 개념을 검증하였다.

유도초음파를 이용한 강관보강다단 그라우팅의 건전도 평가 (Integrity evaluation of grouting in umbrella arch methods by using guided ultrasonic waves)

  • 홍영호;유정동;변용훈;장현익;유병철;이종섭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87-199
    • /
    • 2013
  • 강관보강다단 그라우팅은 터널공사에 널리 적용되는 공법으로, 터널지반의 안정성 증대 및 차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도초음파를 이용한 강관보강다단 그라우팅의 건전도 평가 기법을 제시하고,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강관의 그라우팅 충진률에 따른 주파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실내실험 (자유구속조건 및 지중근입조건)을 수행하였으며, 건전도 평가시스템의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현장실험을 수행하였다. 강관의 두부를 해머로 타격하여 유도초음파가 발생되며, 발생된 유도초음파는 선단에서 반사되어 두부로 되돌아 온다. 반사된 유도초음파는 두부에 설치된 AE센서에 의해 수신된다. 강관보강다단 그라우팅의 건전도 평가 모델은 충진률 25 %, 50 %, 75 %, 100 %로 제작되었으며, 자유구속조건 및 지중근입조건의 실내실험으로 수행되었다. 신호처리를 위해 고속 푸리에 변환과 웨이브렛 변환을 수행하였다. 실내실험 결과, 유도초음파의 전파속도 변화는 크지 않았으나, 그라우팅 충진률에 따른 주 주파수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강관보강다단 그라우팅의 충진률이 증가할수록 반사파의 주 주파수의 크기가 감소했다. 현장실험은 이미 설치된 강관보강다단 그라우팅에 대해 수행되었으며, 실내실험과 동일한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현장 조건의 실험체에서도 유도초음파의 반사파를 쉽게 수집할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주파수 영역에 대한 분석도 가능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도초음파를 이용한 주파수 분석 기법은 강관보강다단 그라우팅 건전도 평가에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미래전을 대비한 한국군 발전방향 제언: 미국의 모자이크전 수행개념 고찰을 통하여 (A Proposal for Korean armed forces preparing toward Future war: Examine the U.S. 'Mosaic Warfare' Concept)

  • 장진오;정재영
    • 해양안보
    • /
    • 제1권1호
    • /
    • pp.215-240
    • /
    • 2020
  • 2017년 8월 미(美) 국방성 산하 DARPA(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는 "모자이크전(mosaic warfare)"이라는 새로운 전투방식을 제안하였다. DARPA의 전략기술국장(Director of Strategic Technology Office) Timothy Grayson에 따르면 모자이크전이란 "지정된 위치에 딱 들어맞아야 제 역할을 할 수 있는 특정 모양의 "퍼즐조각(puzzle pieces, 특정임무가 지정된 플랫폼)"이 아니라 호환 가능한 "타일(tile, 센서 및 타격 기능)"이 복합체계로 구성된 전투방식"이다. 모자이크전 이론 및 최근 동향을 살펴보기에 앞서, 모자이크전에 대한 배경과 몇 가지 핵심전제를 분석하였다. 미 국방성은 중국 A2/AD에 대한 자국 자산의 방호가 극도로 제한된다는 점을 암묵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또한 미국은 여전히 다른 나라의 영토와 영공에서도 완전한 군사적 우위를 추구하고자 한다. 미국은 모자이크전을 통한 재빠른 전투손실 회복력, 인명피해 최소화로 대량의 물량이 필요한 소모전도 감수할 수 있을 것이다. 모자이크전의 핵심은 "의사결정 중심전(Decision Centric Warfare)"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아군에게는 적응력과 융통성을, 적에게는 복잡성과 불확실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인간의 "지휘(command)"와 기계의 "통제(control)"를 결합·활용하여 분산된 전력의 신속한 구성 및 재구성한다. 이를 통해 우군에게 더 많은 방책을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상대의 의사결정 체계(OODA loop)를 붕괴시킨다. 이런 모자이크전 수행을 위한 핵심 요소는 적응형 킬웹(Adaptable kill web), 조합형 전력 패키지, 인공지능, 상황중심 C3 구조 등이 있다. 최근 CSBA(Center for Strategic and Budgetary Assessments)에서는 모자이크전의 의사결정과 관련하여 의미 있는 워게임 결과를 발표했다. 전통적인 전투수행 조직/방식(전통적 팀)과 모자이크전 수행방식의 팀(모자이크팀)간 분명한 차이점이 발견되었는데, 모자이크팀에서 더 많은 동시다발적 작전 수행 및 복잡성으로 상대의 의사결정 체계를 압도하고, 우군의 인명손실은 적었다. 또한 우군의 의사결정 속도를 증가시켜 지휘관 작전적 템포를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었다. 한국군의 발전방향으로 우선 우리 안보환경을 고려한 '모자이크전'에 대한 연구와 발전이 필요하다. 미래전에 대비하여 영역에 상관없이 전력을 조합할 수 있는 전반적 군 구조를 검토해야 한다. 제한된 국방재원과 예산을 고려하여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며, 주변국의 미래전 발전 동향에 대해 예의주시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