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타감물질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4초

수생관속식물의 라디칼 소거능과 남세균 생장에 대한 억제활성 비교 (A Comparison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yanobacteria Growth Inhibition of Aquatic Vascular Plants)

  • 권성호;나혜련;정종덕;백남인;박상규;최홍근
    • 생태와환경
    • /
    • 제45권1호
    • /
    • pp.11-20
    • /
    • 2012
  • 수생식물이 가지고 있는 타감물질과 타감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메탄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대장균($Escherichia$ $coli$)과 남세균($Microcystis$ $aeruginosa$)에 대한 생장억제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물여뀌($P.$ $amphibia$)와 마름($Trapajaponica$), 이삭물수세미($Myriophyllum$ $spicatum$), 순채($Brasenia$ $schreberi$)가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냈으며, 순채, 마름, 물여뀌, 이삭물수세미 등은 남세균에 대한 높은 생장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반면 순채를 제외한 다른 수생식물의 추출물은 대장균의 생장에 대한 억제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수생식물 추출물에 대한 타감작용에 대한 상관 분석 결과,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으로 측정된 항 산화 활성과 남세균 생장억제 활성간에는 양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수생식물 추출물의 대장균에 대한 생장억제는 다른 활성 결과와 상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면 수생식물체의 남세균에 대한 타감작용은 DPPH에 의한 항산화성 검정을 이용하는 간편하고 신속한 검사로 대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강화약쑥 수용성 추출물의 식물 타감효과 및 HPLC에 의한 타감물질 분석 연구 (Allelopathic Effect of Aqueous Extract of Ganghwa Mugwort (Artemisia spp.) Vegetables and HPLC Aanalysis of Allelochemicals)

  • 이주화;변지희;김명수;박춘근;박충범;차선우;이정훈;조준형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737-752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llelopathic effect of aqueous extract of Ganghwa domestic mugwort (Artemisia spp.) on vegetables and its related allelo-chemicals. When the receptor vegetables, such as Chinese cabbage, lettuce, and red radish, were treated with aqueous extract obtained from Sajabalssuk (A. $sp^*I$), Ssajuarissuk (A. $sp^*II$) or Ssajarissuk (A. $sp^*III$), their germination rate, leaf number, plant height, and root length were restrict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aqueous extract. Allelopathic effect was the highest in radish, than lettuce and Chinese cabbage in order. The growth of topplant were more inhibited then root growth observing in restriction of plant height, root length, and chlorophyll contents. The plant height, the root length of red radish were 53.3 and 61.2% and their fresh weights were 19.8 and 26.4% compared to those of controls, respectively. A. $sp^*III$ showed the highest allelopathic effect among the donor plants. In HPLC analysis, 7 phenol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A. $sp^*I$ and A. $sp^*II$, and, in A. $sp^*III$, and hydroxybenzoic acid and phenylacetic acid were further identified as allelochemicals. It is considered that their plant growths were variously inhibited by the amounts and types of allelochemicals in aqueous extracts.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farm land after cultivation of mugwort, these results can be useful to select the following field crops.

지리산(智異山) 구상나무림(林)에서 타감작용(他感作用)이 치수형성(稚樹形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Regeneration of Seedlings under Different Vegetation Types and Effects of Allelopathy on Seedling Establishment of Abies koreana in the Banyabong Peak, Mt. Chiri)

  • 김군보;이경준;현정오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2호
    • /
    • pp.230-238
    • /
    • 1998
  • 본 연구는 구상나무림(Abies koreana Wilson)의 현지본전(現地保全)을 위한 종합적 연구의 일부분으로서, 지리산(智異山) 반약봉(般若峰) 지역의 구상나무림에서 식생유형별(植生類型別) 유수발생현황(維樹發生現況)을 파악하고, 타감작용(他感作用)을 통한 추수형성저해(推樹形成沮害) 효과(效果)가 존재(存在)하는지 확인(確認)하기 위해, 직생구성(植生構成)과 추수발생(推樹發生)과의 관계, 잎조직과 토양부식질(土讓腐蝕質) 중의 수용성(水溶性) 추출물(抽出物)이 구상나무의 종자발아(種子發芽)와 외생균근균(外生菌根菌)의 호흡활성(呼吸活性)에 미치는 타감효과(他感效果)를 조사하였다. 1996년 5월부터 8월까지 반야봉 해발 1400~1700m의 지역에서 20개의 $10m{\times}10m$ 크기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천연하종량(天然下種量)과 식생(植生)을 조사하였다. TWINSPAN을 이용하여 구분된 식생류형별(植生類型別)로 토양 부식질을 채취하고, 현지에 출현빈도(出現頻度)가 높은 5종의 목본식물의 잎을 채취하여 타감작용 시험에 사용하였다. 부식질 중의 수용성(水溶性) 추출물(抽出物)은 HPLC를 사용하여 수용성 phenol화합물의 양을 정량(定量)하였다. TWINSPAN에 의한 분류분석 결과 조사지역의 구상나무림은 구상-미역줄, 구상-신갈, 구상-철쭉, 구상-산철쭉 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이 중 구상-신갈군락과 구상 철쭉 군락은 조릿대의 유무에 따라 하부군락(下部群落)으로 분류되었다. 조사지역의 구상나무의 천연하종량(天然下種量)은 1995년 9월~10월 사이에 $230,000{\pm}90,0000$립/ha이었고, 발아율(發芽率)은 25%이었다. 1996년에 조사된 표고 5cm이하 유묘(幼苗)의 밀도(密度)는 평균 52,000본/ha이었으나, 묘고 5cm이상의 유묘의 밀도는 4,000본/ha로 감소하였다. 유묘의 밀도는 식생유형별로 큰 차이를 보여서 구상-신갈-조릿대 군락의 유묘의 수는 구상-신갈-철쭉 군락의 7%에 불과하여, 조릿대로 인하여 급격히 감소하였다. 털진달래와 조릿대의 잎 추출물은 구상나무의 종자발아(種子發芽)를 유의(有意)하게 저해(沮害)하였으며, 구상-신갈-조릿대 군락의 부식질 추출물도 구상나무의 종자발아(種子發芽)를 81%까지 유의하게 저해하였고, 조사지에서 분리배양된 두 종의 외생균근균(外生菌根菌)중에서 젖버섯 균사의 호흡속도(呼吸速度)를 유의하게 19% 감소(減少)시켜서 조릿대에 타감효과(他感效果)가 있다고 생각된다. 구상 신갈 조릿대 군락의 부식질에서 7가지 수용성(水溶性) phen이 화합물을 추출하여 동정하였는데, 추출물 중에서 수용성 페놀화합물인 p-hydroxybenzoic acid, vanillic acid, syringic acid가 유의하게 높았다. 특히 p-hydroxybenzoic acid는 조릿대 뿌리에 4.2ppm으로 존재하고, 조릿대 군락의 부식질에서 16.5ppm으로 발견되었으며, 종자발아 저해효과와 유의한 부(負)의 상관(相關)(r= -0.79, p<0.05)을 나타내어 주된 타감물질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몇가지 잡초들의 추출물과 잔유물의 알팔파에 대한 타감작용 (Allelopathic Effect of Some Weed Species Extracts and Residues on Alfalfa)

  • 정일민;김기준;김광호;안종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85-294
    • /
    • 1994
  • 본 실험은 포장에서 주로 발생하는 velvetleaf등을 비롯하여 7종류의 잡초를 마른 상태와 생체상태로 각각 수확하여 지상부와 지하부로 나누어 물질을 추출 이들을 alfalfa 종자 발아와 생육정도 검정에 사용하여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억제정도를 비교하였으며 이 중 억제효과가 제일 큰 velvet-leaf의 추출물은 여러 농도로 silica sand와 혼합하여 alfalfa에 대한 타감작용을 검토하였다. 1. 7종류 잡초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추출물 처리는 alfalfa의 발아율, 발아세, 유근의 길이, 무게 등을 억제시켰다. 지상부와 지하부의 억제효과를 비교하면 지상부의 추출물이 지하부의 추출물 보다 더 큰 타감작용을 보였으며, 이 중에서 velvetleaf 추출물이 가장 억제적이었고, crab-grass 추출물은 가장 낮은 억제 정도를 보였다. 또 alfalfa 발아와 유근의 생육에 대한 velvetleaf의 건조 추출물과 생체 추출물을 비교하면 건조 추출물이 더 억제적이었다. 2. 농도에 따르는 velvetleaf 추출물 처리에서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alfalfa 발아율, 유근의 길이, 무게 등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억제되었다. 3. 건조된 velvetleaf 잔기를 silica sand와 혼합처리에서 잔기의 비율이 증가 될수록 alfalfa의 출현율과 생존율이 더 억제되었으며 그 정도는 잔기 비율 1%에서 가장 억제적이었다. 4. 잡초의 추출물과 잔기의 처리는 alfalfa의 발아와 생육에 억제적으로 작용 하여 타감작용이 인정되었다.

  • PDF

서양금혼초(Hypochaeris radicata L.) 추출물의 화본과 사료작물에 대한 타감작용 효과 및 phenole 화합물의 조성 (Composi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Hypochaeris radica L. Extracts and their Allelopathic Effects on Gramineous Forage Crops)

  • 김옥임;박선일;정일민;하상영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91-397
    • /
    • 2005
  • 본 연구는 귀화식물인 서양 금혼초의 수용성 추출액이 화본과 사료작물인 tall fescue, perennial ryegrass, italian ryegrass 3 종류의 생장과 수량에 미치는 타감작용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사료작물 생장에 미치는 서양 금혼초 수용성 추출액의 영향을 상대 생장율(relative elongation ratio; RER)로 조사한 결과, italian ryegrass가 다른 두 종류 보다 생장이 가장 크게 억제 되었다.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엽신중, 생체중 및 건물중으로 조사한 결과, 3종류 사료작물 모두 생장량이 감소하였다. 서양 금혼초 수용성 추출액의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3종류사료작물의 생장량이 크게 억제 및 감소하였는데, 이와 같은 결과로 서양 금혼초 수용성 추출액은 타감작용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서양 금혼초에 함유되어 있는 allelochemicals 물질을 HPLC에 의해 성분 분석한 결과, 부위별로 함량과 조성의 차이가 있었으나 ${\rho}-hydroxybenzoic$ acid, chlorogenic acid, catechin, caffeic acid, syringic acid, salicylic acid, ${\rho}-coumaric$ acid, ferulic acid, hesperidin, frans-cinnamic acid, naringenin 등 11종류의 phenolic compounds 성분이 동정되었며, caffeic acid, ferulic acid, naringenin 3종류는 서양 금혼초 모든 부위에 공통적으로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불이 곰솔림 산화지의 하층식생 구성과 쌀새(Melica onoei Fr.)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re on Species Composition of Understory Vegetation and Seed Germination of Melica onoei in Black Pine Forest)

  • 문형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3호
    • /
    • pp.131-136
    • /
    • 2001
  • 산불이 곰솔림 하층식생의 구조와 쌀새(Melica onoei)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관화 지소에서 당년에 출현한 종 수는 38종으로 비산화지소의 20종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었다 우점종은 쌀새, 참억새, 땅비싸리, 싸리 순이었으며, 이들의 실생과 기존의 그루터기에서 나온 새순이 많이 관찰되었다. 산화 당년에 수관화 지역의 하층식생 지상부 생물량은 299.8g/㎡로 비산화지의 3배 이상이었으며, 이듬해 9월에는 하층식생의 지상부 생물량이 537.2 g/㎡로 전년도에 비해 약 1.8배 증가하였고, 비산화지소에 비해 5.8배 높았다. 이중 쌀새가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의 25.7%로 가장 높았다. 쌀새의 종자발아율은 대조구가 92%이 었으며, 암처리구(D)는 86%로 대조구와 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솔잎(L)과 솔잎 추출물(E) 처리구의 발아율은 각각 45.5%, 39%로 낮았으며, 대조구와 0.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L+E, D+L+E 처리구의 발아율은 각각 10.5%와 4.0%로 대조구와 모두 0.1% 수준에서 유의하였다. 본 수관화 지소에서 쌀새의 우점도가 증가하는 것은 쌀새의 발아를 억제하던 타감효과 물질이 산불에 의해 제거되었고 동시에 광 조건이 개선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제약폐기 은행잎이 고추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kgo(Ginkgo biloba L.) Leaf Waste from Pharmaceutical Process on Red Pepper Growth)

  • 성기석;김복진;권오경;조광래;박창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6-50
    • /
    • 1998
  • 제약폐기은행 잎 시용이 고추생육에 미치는 피해정도를 구명하여 폐기은행 잎의 유기물자원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고추를 가지고 pot 재배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은행잎 및 폐기 은행잎을 토양에 처리하였을 매 퇴비시용보다 고추생육이 억제되는 경향 이었으나 물추출 폐기은행잎은 물로 추출하지 않은 폐기 은행잎 처리보다 생육이 양호하였다. 건 고추 수량은 건조폐기은행 잎 500kg/10a 처리는 퇴비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수하였으나, 물추출폐기은행잎 1톤/10a 처리는 3요소와 대등한 수량을 보였다. 폐기은행잎 처리시 생육 및 수량감소 요인은 은행잎 자체에 함유된 타감물질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퇴비 및 폐기은행잎 등 유기물 시용은 3요소 처리에 비해 토양중 유기물 함량과 유효인산등이 다소 높은 경향이고 폐기은행잎 처리로 치환성 고토함량은 낮아졌다.

  • PDF

생태계교란식물인 돼지풀아재비의 발생특성과 관리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Parthenium hysterophorus, an ecosystem disturbing plant)

  • 이인용;김승환;이용호;송해룡;김백준;우성현;조아람;홍선희
    • 환경생물
    • /
    • 제41권1호
    • /
    • pp.31-40
    • /
    • 2023
  • 환경부에서 생태계교란식물로 추가 지정된 돼지풀아재비의 분포, 형태·생리·생태적 특성 그리고 다양한 제거방법 등을 정리하여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지인 돼지풀아재비는 전 세계적으로 45개국에서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경상남도 통영 및 창원의 일부지역에서만 생육하고 있다. 이 식물은 한해살이풀로 종자로 확산되며, 수입 농산물에 포함되거나 차량이나 농업용 기계에 부착되어 인근으로 그 영역을 넓히고 있다. 돼지풀아재비의 줄기와 뿌리에서 타감물질인 파르테닌 등이 분비되어 주변 식생의 발생을 억제한다. 또한 다양한 알레르겐을 함유하고 있어 인간과 가축에 피해를 주는 식물이다. 돼지풀아재비와 같은 유해식물이 발생되면 관계기관에 신고하는 제도적인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돼지풀아재비의 줄기를 절단하거나 제거하는 등의 물리적 방법 그리고 glyphosate와 같은 비선택성 제초제 처리로 방제할 수 있다. 생물학적 방제연구는 많이 수행되었으나, 우리나라의 법률과 제도의 미비로 국내에 적용 가능한 것은 제한적이다.

알팔파 연작장해에 관여하는 타감작용 물질의 탐색 및 생물검정 (Bioassay of Allelopathy Substance Related Injury by Successive Cropping in Alfalfa(Medicago sativa L.))

  • 전인수;김명조;허장현;유창연;조동하;김이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28-235
    • /
    • 1997
  • 알팔파 종자와 재배지 토양의 추출물이 알팔파 및 무우의 발아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물질을 구명코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알팔파 종자 추출물의 무우생육에는 Luna, Sparta, Magnum, Husky, Milkmaker, Challenger, Anchor의 7개 품종에서 60∼80% 생육억제 효과를 보였다. 2) 알팔파 재배지 토양잔류추출물을 이용한 무우생육조사는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하면서 발아억제 및 줄기, 뿌리 등의 생장억제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알팔파 재배토양으로 알팔파와 무우 생육실험시에는 80%의 발아억제를 보이면서 줄기와 뿌리의 길이 및 생체중에서도 큰 차이를 보여 allelopathy와 autotoxicity가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4) 위 실험을 통해 관여하는 물질의 활성을 분석하기 위해 조사한 결과 표준 phenol compounds와 식물부위별 추출물을 비교 분석하였더니 salicylic acid, p-hydroxybenzoic acid, vanillic acid, syringic acid, p-cou-maric acid, ferulic acid 등의 7가지 acids를 분리동정 할 수 있었다.

  • PDF

토양 무기양분, 미생물활성, 잡초발생 및 고추수량에 대한 녹비작물 혼파효과 (Effect of Mixed Cultivation of Green Manure Crops on Mineral Nutrients, Microbial Activities, Weed Occurrences and Yields of Red-pepper)

  • 성좌경;이상민;이용환;이연;이주영;장병춘
    • 한국유기농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기농학회 2009년도 하반기 학술대회
    • /
    • pp.301-301
    • /
    • 2009
  • 겨울철 농경지 이용율 제고 및 자연경관 조성을 위하여 녹비작물을 재배하는 면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 동안 녹비작물에 대한 연구는 주로 파종적기, 작물에 대한 양분공급효과 및 타감 효과 등에 집중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 중 양분공급 및 미생물활성의 경시적 변화, 잡초억제 및 작물생육에 대한 녹비작물의 투입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국립농업과학원 구내포장에서 2007년 9월 하순에 헤어리베치(8kg/10a)와 호밀(10kg/10a) 종자를 파종한 후, 이듬해 4월 하순에 수확하여 토양에 환원하였다. 질소공급량은 화학비료(15.2kgN/10a) 대비 헤어리베치(32.2kg/10a, 212%), 호밀(9.2kg/10a, 60%) 및 헤어리베치+호밀(15.5kg/10a, 102%)로 헤어리베치의 질소공급효과가 매우 높았다. 토양 무기태질소 함량은 녹비 처리 후 30일경에 최대에 도달하였으나, 호밀 처리구는 조사기간 동안 큰 변화가 없었다. 토양 유기물 함량의 변화는 시험 전(10DBI)과 비교하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녹비환원 후 10일경에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녹비환원 후 토양경운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되며, 무기태질소와는 달리 호밀처리구의 유기물함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 탄수화물(수용성 당)은 시험 전에 가장 높았으며, 시간의 경과와 함께 서서히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토양 미생물탄소 및 미생물질소의 양은 녹비처리구가 화학비료 처리구에 비해 높았으며 녹비환원 후 50일 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토양의 무기태질소 및 탄수화물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녹비처리 후 85일경에 잡초발생량을 조사한 결과, 화학비료 처리구에 비하여 헤어리베치 처리구는 40%, 호밀 처리구는 68%, 헤어리베치+호밀 처리구는 40%의 잡초억제효과가 있었다. 고추과의 수량은 화학비료 처리구(702kg/10a)>헤어리베치(694kg>10a)>헤어리베치+호밀(361kg/10a)>호밀(179kg/10a)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