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 Hyun-Seok;Kim Il-Gon;Choi Jin-Young;Noh Jung-Hyun;Yoo Hee-Jun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2005.07a
/
pp.226-228
/
2005
최근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서비스가 활발해 짐에 따라, 사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간의 통신 안전성 확보가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지금까지 제안된 대부분의 모바일 프로토콜들은 상호 안전한 키 교환을 위해 Diffie-Hellman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BCY 및 ASK 프로토콜을 통해서 Diffie-Hellman 알고리즘 기반 모바일 프로토콜의 상호 키 교환 및 인증절차를 살펴보고, Casper 및 FDR 도구를 이용하여 무선환경기반 M-Commerce 프로토콜의 안전성을 분석하였다.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v.13
no.1
/
pp.27-38
/
2003
Most password-authenticated key exchange schemes in the literature provide an authenticated key exchange between a client and a server based on a pre-shared password. With a rapid change in modem communication environments,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secure end-to-end channel between clients, which is a quite different paradigm from the existing on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framework which provides a password-authenticated ky exchange between clients based only on their two different Passwords without my Pre-shared secret, so called Client-to-Client Password-Authenticated Key Exchange(C2C-PAKE). Security notions and types of possible attacks are newly defined according to the new framework We prove our scheme is secure against all types of attacks considered in the paper. Two secure C2C-PAKE schemes are suggested, one in a cross-realm setting and the other in a single-sorrel setting.
최근 보안 프로토콜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중 대표적인 방법이 CSP[1]와 FDR[2]과 같은 정형 기법을 이용하여 프로토콜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매우 성공적으로 프로토콜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안전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하지만 CSP를 이용하여 프로토콜을 명세하는 것은 숙달된 전문가에게만 적합하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좀 더 쉽게 프로토콜을 명세하여 CSP 코드를 생성해주는 캐스퍼(Casper)[3]가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세 개의 메시지 교환을 통해서 키를 분배하는 키 분배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캐스퍼를 이용하여 제안한 프로토콜에 대한 정형 명세를 한다. 명세된 스크립트는 캐스퍼를 이용하여 FDR의 입력 파일이 되는 667 라인의 CSP 코드를 생성하였다. 캐스퍼를 이용한 정형 명세는 좀 더 편리하게 프로토콜을 명세할 수 있고 명세 시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줄임으로써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v.8
no.3
/
pp.654-660
/
2004
In this paper, we define that pervasive home network, which provides necessary services for user properties and removes distrac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human life. So, user can enjoy home network technology including devices and softwares at any place with no knowledge of networked home, devices, and softwares. In this home network, a mobile agent, called LAFA, can migrate to unfamiliar home network and control the necessary devices. For this environment, we design security management module for authenticating user and home server that access some other home networks, and for protecting text, multimedia data, and mobile agent that are transferred between home networks. The security management module is composed of a key exchange management module and an access control management module, for key exchange management module, we propose a key exchange protocol, which provides multimode of authentication mode and key exchange mode. One of these two modes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data typ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v.15
no.3
/
pp.77-89
/
2005
As the ID-based public key cryptosystems become a very active research area, a number of ID-based key agreement protocols have been proposed, but unfortunately many of them were analyzed that there were some security flaws in the protocols. In addition to key agreement protocols, in recent, Liu et al. and Kim et al. proposed the key agreement protocols that multiple session keys are established at once among participated entitie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D-based tripartite key agreement protocol that establishes 8 keys 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Liu et al's. Moreover, the proposed protocol can be used in the situation where multiple different private key generators(PKG) are involved. Therefore, because the private key issued by different PKGs belonging to each entity's domain can be used, our proposed scheme is more efficiently applicable to the practical applications.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2011.06a
/
pp.316-319
/
2011
그룹 키 협정 (Group key agreement)1)은 그룹 내의 노드 (member)가 하나의 비밀 키 (secret key)를 공유하도록 하는 프로토콜이다. 이 때, 그룹 키를 맺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메시지의 수, 지수연산, 라운드 수가 적을수록 좋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프로토콜을 구성하였다. 하지만 그룹 내의 노드들이 계속 머무르는 상태에서 똑같은 그룹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중간에 어떤 노드가 그룹을 떠나는 경우 (leave)도 있고 새로운 노드가 들어오는 경우 (join)도 있다. 또한, 그룹이 빠지는 경우 (group leave)도 있고, 그룹이 들어오는 경우 (group join)도 있다(Group Dynamics). 이러한 시나리오는 충분히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요소들도 고려하여 프로토콜을 구성해야 한다. 그래서 이논문에서는 그룹 노드들의 join과 leave, 그룹들 간의 join, leave가 빈번한 경우도 고려하여 프로토콜을 제시할 것이다.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2009.01a
/
pp.377-380
/
2009
VoIP기반의 음성통화가 기존 PSTN망을 대체하여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IP기반의 음성통신은 IP 네트워크가 가진 보안 취약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IPsec은 IP망에서 보안을 제공하는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기밀성 및 무결성을 제공한다. 한편, 서비스 제공자는 적절한 과금 및 서비스 중재 및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 통신에 사용된 암호화 키를 획득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IPsec의 키 교환 프로토콜인 Internet Key Exchange v2를 수정하여 서비스 제공자와 통신하는 양 단말이 동시에 키 교환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 방식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키 생성에 참여함으로서 Men in the middle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고,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v.50
no.6
/
pp.173-179
/
2013
The traditional key exchange protocols are transmitted by using the cryptographic. However, these protocols are compromised by the attack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 key exchange protocol based on the steganography with the QR code. The steganography technique embed secret information to the images, documents, videos, and MP3 files and transmit to the others. The attacker can't know that the transmission data is the secret data. Therefore, the sender transmits efficiently and safely the secret data to the others. In additional, the cover image is using the QR code image to insert the secret key. If attackers scan the QR code, then they just read the information or connect URL. They can not be recognized that the QR code image is hiding the secret key. The experiments compare the QR code image with the well-known image about the distortion and the safety.
본 논문에서는 Ford와 Kaliski[6]가 제안한 패스워드 은닉 기술을 적용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은닉 변수로 은닉된 값을 서버가 패스워드 검증자로 사용하는 새로운 패스워드 기반 키 교환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프로토콜은 패스워드 검증자를 비밀리에 보관하여야하는 다른 검증자 기반 방식과 달리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은닉 변수가 적용된 검증자를 사용하여 서버의 패스워드 검증자에 대한 안전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Nyberg-Ruppel 방식[4]을 적용하여, 한번의 통신으로 사용자 인증과 키 교환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프로토콜 안전성은 이산대수문제인 DLP(Discrete logarithm Problem)와 DHP(Diffie-Hellman Problem)[6]에 의존한다. 따라서 DLP와 DHP의 가정하에, 제안된 프로토콜은 오프라인 사진공격(off-line dictionary attack), 서버 데이터 도청(server data eavesdropping), 전향적 안전성(forward secrecy), Denning-Sacco 공격[1]에 대하여 안전하다.
This paper proposes efficient and secure two-way authentication protocol for binding update messages between mobile devices and home agents / correspondent nodes in IoT and Mobile IPv6 (MIPv6) environments with limited computing power and resources. Based on the MIPv6 message exchange, the proposed protocol satisfies both the authentication and the public key exchange optimized for both sides of the communication with minimum modification. In the future, we will carry out a performance analysis study by implementing the proposed protocol in detail.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