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키 교환방법

Search Result 13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ttribute-Based Two-Party Key Agreement (속성 기반의 이자간 키 교환 방법)

  • Lee, Kwang-Su;Lee, D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2a
    • /
    • pp.77-80
    • /
    • 2008
  • 속성 기반의 키 교환 방법은 사용자의 아이디가 다수의 속성들로 표현되고, 사용자가 지정한 정책을 만족하는 속성들을 소유한 두 사용자간에 안전한 키 교환이 가능한 방법이다. 속성 기반 키 교환은 기존의 아이디 기반 키 교환 (Identity-Based Key Agreement) 방법과 달리 키 교환을 수행할 상대방을 미리 결정할 필요가 없다. 즉, 사용자는 단지 키 교환을 맺고자 하는 상대 사용자가 어떠한 속성을 가지기를 지정한 정책을 지정하고 이 정책을 만족하는 임의의 사용자와 키 교환을 수행하게 된다. 속성 기반 키 교환은 사용자를 자신이 수행하는 역할들의 리스트로 기술하여 접근 통제를 가능하게 하는 역할 기반 접근 통제 (Role-Based Access Control)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다.

  • PDF

양자 키 분배 기술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키 교환 방법

  • SIM, Dong-Hi
    • Review of KIISC
    • /
    • v.32 no.4
    • /
    • pp.99-107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표준화 기구에서 개발되었거나 아직 개발 중인, 양자 컴퓨팅에 의한 공격에 대해 안전한 양자 내성 보안체계로의 전환을 위해 양자 키 분배 (Quantum Key Distribution - QKD) 기술을 암호키 교환에 활용하는 다양한 하이브리드 접근 방식 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방법들은 두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키 교환 방법을 결합하는 '키 교환을 위한 하이브리드 접근 방식'들을 의미한다. 양자 키 분배(QKD) 네트워크에서 생성하는 대칭 키를 활용하여 다른 방식으로 생성된 암호키와의 다양한 방식의 결합을 통한 하이브리드 접근 방식의 호환성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아울러 다양한 네트워크 계층의 보안 통신 프로토콜과 함께 QKD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들을 함께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표준들에서 추가적으로 개발이 필요한 영역들을 함께 살펴보았다.

Analysis of Mutual Authentication, Key generation and Key exchange mechanism of IEEE 802.11i (IEEE 802-11i의 상호인증과 키 생성 및 교환 메커니즘 분석)

  • 박지혜;문일현;이옥연;김창범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3.07a
    • /
    • pp.249-253
    • /
    • 2003
  • 기존의 무선 랜의 보안상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와 인증자사이의 상호인증과 키를 교환하는 메커니즘이 요구된다. 이것을 보안하기 위해 IEEE 802.11i에서 키 체계와 4-Way Handshake를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언급되는 키 생성 및 교환 메커니즘은 사용자와 서버간의 인증된 마스터키를 통한 사용자와 인증자의 상호인증과, 키 생성과 키 교환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키를 생성하기 위한 Pairwise 키 체계와 키 교환을 위한 4-Way Handshake, 4-Way Handshake에서 사용되는 EAPOL-Key message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PDF

Enhanced Diffie-Hellman Key Distribution using Mobile-phone (이동전화기를 이용한 Diffie-Hellman 키 교환기법의 개선방안)

  • Lee, Yoon-Jin;Lee, Jae-Guen;Jo, In-Jun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3 no.12
    • /
    • pp.2563-2568
    • /
    • 2009
  • Although a symmetric cryptographic system has many advantages in speed of encryption decryption, the security problems with the distribution method of secret keys have been still raised. Especially, the distribution method of secret keys for unspecified individuals who want secret communication is becoming a core issue. As a simple solution to this issue, Diffie-Hellman key exchange methods were proposed, but proved to be insufficient in depending MITM(Main In The Middle) attacks. To find effective solution to problems mentioned above, this paper proposes the strengthened Diffie-Hellman key exchange methods applied for the mobile-phone channel which are widely used. This paper emphasizes the way to distribute the synthesized session keys to the sender and the receiver, which are created with authentication numbers exchanged between the mobile-phones and Diffie-Hellman key. Using proposed ways, MITMattacks can be effectively defended.

Password-based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Protocol using Verifier (검증자를 사용한 패스워드 기반의 인증 및 키 교환 프로토콜)

  • 반정;이재욱;김순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418-420
    • /
    • 2004
  • 패스워드 기반의 키 교환 프로토콜들은 참여자들이 쉽게 기억할 수 있는 자신의 패스워드를 사용하므로 단순성, 편리성, 이동성의 장점 때문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지만 완전한 전 방향 보안성(perfect forward secrecy), 패스워드 추측공격과 Denning-Saccon 공격에 취약하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검증자(verifier)를 사용한 패스워드 기반의 인증 및 키 교환 프로토콜은 키 교환 프로토콜 요구 사항을 만족하고, 알려진 공격으로부터 안전하며 DH(Diffie-Hellman) 키 교환 방법과 해쉬 함수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프로토콜보다 구조가 간단하며 높은 효율성을 가진다.

  • PDF

A Key Exchange Protocol without Certificate and XKASS Expansion for Multi-usages (인증서 없는 키 교환과 다중영역 사용에 대한 XKASS 확장)

  • 김지현;오희국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3.12a
    • /
    • pp.483-488
    • /
    • 2003
  • XKASS(XML Key Agreement Specification)는 사용자를 통해 XKMS와 연동하여 인증서 기반으로 클라이언트를 확인하고 키 동의를 하는 프로토콜이다. 기존 XKASS 에서는 공개키 암호화 기법을 사용해 키 교환을 하는 방식과 전자서명 기법을 사용해 키 교환을 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기존 XKASS의 전자서명과 공개키 방식의 암호화 해독화 방법은 인증서를 그냥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원이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고, 계산 비용이 많이 든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XKASS 프로토콜에서 인증서 기반 공개키 암호화 방식을 사용한 키 교환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고 키 교환 프로토콜을 수행하여 공격자에게 사용자의 신원보호를 제공하고 계산 비용을 줄인 확장된 XKASS 방식을 제안한다. 사용자에게 제한된 priority를 주는 것으로 DoS(Denial of Service) 공격을 예방한 기존의 XKASS를 확장하여 다중 영역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 PDF

Analysis of the IPsec Internet Key Exchange (IKE) Protocol (IPsec의 키 교환 방식에 대한 안전성 분석)

  • 주한규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0 no.4
    • /
    • pp.33-46
    • /
    • 2000
  • IPsec is a protocol suite to protect the data communication between computers on internet and many VPNs(Virtual Private Networks) use IPsec protocol. IKE protocol is used to exchange keys in IPsec. Formal analysis method is used increasingly in computer scienc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a system. In this paper, the IKE protocol is analyzed formally. This paper shows that IKE with Authentication with Signature and Authentication with Pre-Shared Key is safe, but Authentication with Public Key Encryption and A Revised Method of Authentication with Public Key Encryption are safe only with the assumption that a participant has the correct public key of the correspondent. To make sure that a participant has the correct public key of the correspondent, the usage of certificate is recommended.

Internet Key Exchange based on PKI in wireless environment (공개 키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망에서의 암호화 키 분배 방법)

  • 안수현;한규호;안순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e
    • /
    • pp.139-141
    • /
    • 2002
  • 최근 보안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IPSec을 이용한 VPN system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IPSec에서 암호화에 사용되는 키를 생성하는 IKE는 IPSec의 핵심 프로토콜이지만다소 복잡하고 메시지 교환도 많아 패킷의 손실이 큰 무선망에는 적합하지 않다. 무선망에서 좀 더 효율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인터넷 키 교환 방법 및 공개키 기반구조를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f Secure Key Exchange using expanded Diffie-Hellman (확장된 DH를 이용한 안전한 키 교환에 관한 연구)

  • Ko, Hoon;Jang, Eui-Jin;Shin, Y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3.07a
    • /
    • pp.73-76
    • /
    • 2003
  • 인터넷상에서 많은 상거래 및 개인 정보들이 전송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정보들은 많은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자서명, 컨텐츠 암호 등 많은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지만, 이런 기법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키의 생성, 분배, 전송을 위한 처리 모듈이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이런 모듈 중 전송 및 분배 시에 제3자를 이를 가로채어서 유용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키 교환 알고리즘인 Diffie-Hellman(DH)에 공개키 암호화 방법과 패스워드 방법을 추가하여 기존의 키 교환에서 발생된 문제점들에 대해서 해결 하고자 한다.

  • PDF

A four-way handshake for reliable key exchange mechanism (신뢰성 있는 키 교환을 위한 4 단계 핸드셰이크 연결 메커니즘)

  • Song, Tae ill;Hong, Choong 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969-972
    • /
    • 2010
  • 유 무선의 망을 함께 사용하는 무선 단말기에서는 기존의 통신방법으로는 안전하지 못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메시지 교환의 무결성을 입증하기 어렵다. 기존 논문에서 제시한 인증메시지를 이용한 신뢰성 있는 키 교환에서는 안전하지 못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신뢰성있는 키 교환이 가능하나, 상대적으로 많은 메시지 교환 절차와 암호화로 무선단말기와 서버 사이의 통신에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안전하지 못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무선 단말기와 유선 서버사이의 신뢰성 있는 키 교환을 위해 상호 연결을 맺는 과정을 제시한다. 제안된 논문은 연결 요청단계, 인증 메시지 교환단계, 홉 카운팅 단계, 신뢰성 확인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 요청단계에서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연결 요청이 이루어지며, 인증 메시지 교환단계는 인증 메시지를 이용해 상호간의 신뢰성 확인 및 Seed 값의 분배를 실시한다. 홉 카운팅 단계에서는 패킷의 TTL(Time to live)를 이용하여 메시지의 변조여부를 확인하며, 신뢰성 확인 단계는 카운팅된 값으로 메시지의 신뢰성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