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클램프

Search Result 27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New Start-up Method and Controller Design for Three-Phase Current-fed DC/DC Converter with Active Clamp for Fuel Cells (연료전지용 3상 전류형 능동 클램프 DC/DC 컨버터의 기동 방법 제안 및 제어기의 설계)

  • Cha, Han-Ju;Choi, Soon-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c
    • /
    • pp.194-196
    • /
    • 2008
  • 이 논문에서는 연료전지용 3상 전류형 능동 클램프 DC/DC 컨버터의 기동 방법을 제안하고, 정상상태에서 컨버터의 출력 전압 및 입력 전류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3상 전류형 능동 클램프 DC/DC 컨버터는 가동시 클램프 전압과 출력 전압의 차로 인해 스위치 및 변압기 전선에 큰 단락 전류가 흐르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가동시 입력 인덕터에 2차 권선을 감아 플라이백방식을 이용하여 출력 전압을 확립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정상 상태에서 출력 전압 및 입력 전류 제어를 위해 두 개의 종속 연결 PI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전압 제어 이득의 시정수가 전류 제어 이득의 시정수보다 크게 함으로써 제어기의 안정도를 향상시켰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동 방법을 확인하였다. 500w급 컨버터를 제작하였고, 실험을 통해 설계한 제어기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Active-Clamp Forward Converter with Double-Ended Rectifier Reducing DC offset Current in Transformer (낮은 변압기 오프셋 전류를 가지는 더블 앤디드 엑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

  • Kim, Myung-Ho;Kim, Jae-ku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07a
    • /
    • pp.15-17
    • /
    • 2018
  • 엑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는 고효율, 간단한 구조의 특징으로 PC 파워 시스템, 서버 파워 시스템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에 많이 사용 되고 있다. 특히 더블 앤디드 엑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는 작은 출력 필터와 고효율의 장점이 있으나, 변압기 오프셋 전류로 인해 변압기의 크기와 코어 손실이 증가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게이트 신호 조정을 통해 낮은 변압기 오프셋 전류를 갖는 새로운 더블 앤디드 엑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를 제안한다. 따라서 변압기의 크기와 코어 손실, 1차측과 출력 인덕터의 전력손실이 감소함으로써 높은 전력밀도와 고효율을 달성하게 된다.

  • PDF

Phase Shift Controlled Clamp Mode Forward Multi-Resonant Converter (위상 변위 제어 클램프 모드 포워드 다중공진형 컨버터)

  • Kim, Hee-Il;Kim, Chang-Sun;Kim, Hee-J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5.07a
    • /
    • pp.191-194
    • /
    • 1995
  • 소프트 스위칭 능동 클램프 회로와 위상 변위 제어회로를 이용하여 위상 변위 제어 클램프 모드 포워드 다중진공형 컨버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컨버터는 일정한 스위칭 주파수에서 동작하므로 설계가 용이하고 주 스위치의 전압 스트레스를 입력 전압의 2-3배로 줄일 수 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회로의 이론적인 동작 파형을 확인하였으며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1MHz, 5V, 50W 위상 변위 제어 클램프 모드 포워드 다중공진형 컨버터를 제작하여 실험한 결과 주스위치의 최대 전압 스트레스는 입력전압의 3배로 저감하였고, 부하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주스위치에 걸리는 전압 스트레스와 전류 스트레스가 감소하며, 최고 84.2%의 효율을 얻었다.

  • PDF

Power Loss Balancing of Single-Phase Three-Level Neutral Point Clamped(NPC) Converter based on Model Predictive control (모델 예측 제어 기반의 균형 있는 손실을 갖는 단상 3-레벨 중성점 다이오드 클램프(NPC) 컨버터)

  • Roh, Chan;Kwak, Sang-Shi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11a
    • /
    • pp.131-132
    • /
    • 2016
  • 3-레벨 중성점 다이오드 클램프(NPC) 컨버터는 high-power medium voltage(MV)에서 많이 응용된다. 하지만 3-레벨 중성점 다이오드 클램프(NPC) 컨버터는 각 스위치 소자에서 손실이 불균형하게 발생하게 되어 스위치 소자 간 성능이 불균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단상 3-레벨 중성점 다이오드 클램프(NPC) 컨버터의 기존 모델 예측 제어의 스위칭 패턴을 분석 및 스위칭 순환방식을 이용한 효율적인 스위칭 상태를 갖는 모델 예측 제어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PI 제어기 기반의 펄스 폭 변조 방법과 기존 모델 예측 제어 방법의 손실 비교를 통하여 제안하는 모델 예측 제어 성능을 검증한다.

  • PDF

클램프형 전류계에 의한 누설전류 측정방법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no.11 s.131
    • /
    • pp.94-98
    • /
    • 1987
  • 수전반의 스위치를 끊지 않고 활선상태에서 옥내배선 등의 누전양을 측정하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이 방법에 따르면 클램프형 전류계를 모체로, 어댑터를 부가시키는 것만으로 지극히 손쉽게 실질적인 누전양을 바르게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그 기본원리와 구체적인 방법$\cdot$용구에 대해 해설한다.

  • PDF

STUDY ON ADAPTABILITY OF RUBBER DAM CLAMPS ON PRIMARY SECOND MOLARS IN KOREAN CHILDREN (한국인 소아에서 제2유구치에 대한 러버댐 클램프의 적합도에 관한 연구)

  • Park, Mirae;Mah, Yon-Joo;Ahn, Byung Duk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40 no.2
    • /
    • pp.98-10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siodistal widths at the cervical level of primary second molars in Korean children, and to compare them with commercial rubber dam clamps commonly used in pediatric dentistry. Dental casts of 115 primary and mixed dentition children were studied. Cervical mesiodistal width (C-MD) was measured at the clinical cervical level of each primary second molar from buccal and lingual sides using a digital caliper (Absolute, Mitutoyo, Kawasaki, Japan). The data were compared with mesiodistal widths of rubber dam clamps #203/204, #10/11, and #205 (Dentech, Japan). C-MDs of primary mandibular second molars were larger than those of primary maxillary second molars, and C-MDs at buccal sides were larger than those of lingual sides. All C-MD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crepancies to corresponding widths on clamps (p < 0.05). However the amount of discrepancy was mild in maxillary teeth, while up to 1 mm of discrepancy was shown in mandibular teeth. In conclusion, C-MDs measured in this study imply a relatively fair fit of #10/#11 or #203/#204 clamps on primary maxillary second molars, while suggesting our need for a better clamp with proper size for primary mandibular second molars.

A Study on PFC of Active Clamp ZVS Flyback Converter (능동 클램프 ZVS 플라이백 컨버터의 역률개선에 관한 연구)

  • 최태영;류동균;이우석;안정준;원충연;김수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5 no.6
    • /
    • pp.49-57
    • /
    • 2001
  • This paper analyzed PFC of active clamp ZVS flybark converter by adding two method PFC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two-stage and single-stage. The addition of active clamp circuit also provide a mechanism fur achieving ZVS of both the primary and auxiliary switches. ZVS also limits the turn off di/dt of the output rectifier, reducing rectifier switching loss and switching noise, due to diode reverse recovery. As a results, the proposed converters have characteristics of the reduced switching noise and high efficiency in comparison to conventional flyback converter.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converters improve the input PF of 300[W] ZVS flyback converter by adding single-stage two-stage PFC circuit.

  • PDF

Three-phase Current-fed Active Clamped DC-DC converter for Fuel cells (연료전지용 3상 전류형 능동클램프 DC-DC 컨버터)

  • Cha, Han-Ju;Choi, Jung-Wa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7.07a
    • /
    • pp.71-7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연료전지용 3상 전류형 능동 클램프 DC-DC 컨버터를 제안한다. 전류형 컨버터 구조에 능동 클램프 회로를 채용하여 과도기에 발생하는 서지전압을 저감하였고 모든 스위치에서 영전압 스위칭을 하며, 그 장점으로 : 연속적인 입력전류, 전압 오버슈트 제거, 영전압 턴 온 스위칭, 고주파 변압기 1차/2차 측에 부가적인 스너버 회로의 필요성 제거, 소프트 스위칭에 의한 저속 다이오드 적용 등이 있다. 더구나 대용량 발전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전류형 컨버터 구조와 3상 전력변환 회로를 결합하였다. 3상 전력변환 적용의 장점은 : 입력전류 및 출력전압 주파수의 3배 증가, 스위치에 흐르는 RMS 전류 저감, 필터소자 용량 및 부피 감소, 고주파 변압기 이용률 증가, 전력회로의 단순화에 따른 전체 사이즈 축소 및 신뢰성 향상 등이 있다. 제안하는 3상 전류형 능동 클램프 DC-DC 컨버터는 이러한 장점들 때문에 발전용 연료전지 시스템의 승압형 DC-DC 컨버터에 적합하며 대용량 태양전지 발전 시스템 및 배터리 충전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새로운 3상 DC-DC 컨버터와 함께 3상 PWM 알고리즘을 제안하며, 시뮬레이션과 프로토타입 제작, 실험을 통하여 그 성능을 평가, 확인한다.

  • PDF

Overvoltage Snubber for a Diode-Clamped 3-level IGBT Inverter (다이오드 클램프형 3-레벨 IGBT 인버터용 과전압 방지 스너버)

  • Jung, Jae-Hun;Song, Woong-Hyub;Nho, Eui-Cheol;Kim, In-Dong;Kim, Heung-Geun;Chun, Tae-Won;Yoo, Dong-Wook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14 no.6
    • /
    • pp.514-521
    • /
    • 2009
  • This paper deals with a new overvoltage snubber for a diode-clamped 3-level IGBT inverter. Usually most power converters use snubber circuits to protect the switching devices from voltage spike. However, it is difficult for the diode-clamped multi-level converter to be protected from voltage spike with overvoltage snubber since the series connection of the switching devices. To solve the problem the characteristic of a overvoltage snubber for a DC-DC converter is analyzed, and a new snubber for a diode clamped 3-level inverter is propose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nubber is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Fatigue Durability of Cramp Joint at Precast Highway Deck Slabs (프리캐스트 바닥판용 클램프 조인트의 피로내구성)

  • Kim, Yoon Chi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2 no.2
    • /
    • pp.156-162
    • /
    • 2008
  • The fatigue durability test using the actual size beam was performed with a cramp joint in order to apply to the highway bridge deck slab. Three types of beam were investigated for durability performance by considering stress conditions in real bridge deck slabs, 1) A beam with major shear force applied at the joint (RC Type) 2) A beam with major bending moments applied at the joint (PSC Type) 3) A beam with the pure shear applied at the joint. The experiment for beams with cramp joints showed that the cramp joint had enough durability for fatigue regardless of the overlaid length of the looped distribution bars under the current design strength level. Moreover, it was clarified that the enough durability for fatigue under the load repetition was achieved by increasing the joint span grater than 1.5D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deformation due to reduction in joint stiff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