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클램프

검색결과 278건 처리시간 0.039초

전류 증배 정류회로를 이용한 능동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의 분석 (Analysis of an Active Clamp Forward Converter with Current-Doubler Rectifier)

  • 장바울;조보형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4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전류 증배 정류회로를 이용한 능동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의 정상상태를 분석한다. 기존 분석들 대비 변압기의 누설 인덕턴스와 전류 증배 정류회로에서의 전류 불균형 현상을 고려하여 회로 동작의 정확한 이해를 도모한다. 분석 결과의 타당성은 100W급 (3.3-V/30.3-A) 모의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 PDF

친환경 차량용 보조배터리 충.방전을 위한 양방향 3상 능동클램프 푸시풀 컨버터 (Bidirectional Three-Phase Active clamped Push-Pull Converter for Charge and Discharge of Auxiliary Battery in Eco-friendly Vehicles)

  • 한국인;김준근;최세완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8-14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친환경 차량용 보조배터리 충 방전을 위한 3상 양방향 DC-DC컨버터를 제안한다. 제안한 컨버터는 클램프 스위치의 동작으로 전압 및 전류공진을 최소화하고 대전류단의 순환전류를 감소시켜 전류정격을 줄였다. 제안하는 컨버터의 이론적 해석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3상 능동클램프 하이브리드 정류형 DC-DC 컨버터 (Three-Phase DC-DC Converter with Active clamped hybrid Rectifier)

  • 한국인;최세완;김민국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0-15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5kW급 연료전지 응용을 위한 3상 DC-DC 컨버터를 제안한다. 제안한 컨버터의 Delta-Wye 결선은 전압형의 가장 큰 단점인 변압기 턴비를 최소화 하였으며 클램프 스위치의 동작으로 전압 및 전류 공진을 감소시키고 순환전류를 리셋시켜 각 소자들의 전류정격을 줄였다. 기존 3상 Full-Bridge와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고전압 배터리 충전을 위한 차량용 풀 브릿지 컨버터 (A New Full-Bridge Converter for High Voltage Battery Charger in Electric Vehicle)

  • 임천용;문건우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9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130-132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와 공진형 하프 브릿지 컨버터를 통합한 구조에서 새로운 센터탭 클램프 회로를 적용하였다. 하프 브릿지 컨버터가 통합되어 있는 구조를 통하여 기존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가 가지고 있는 여러 단점을 개선할 수 있으며, 또한 제안하는 클램프 회로를 통해 이차측 전압 스트레스 및 출력 커패시터의 사이즈 측면에서 개선점을 갖는다. 이러한 장점들을 통해 효율과 비용 측면에서 큰 효과를 갖는다. 3.3 kW 의 프로토타입을 통해 실험으로 검증하였다.

  • PDF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조(Jaw)의 형상최적설계 (Shape Optimization for a Jaw Using Design Of Experiments)

  • 방일권;강동헌;한동섭;한근조;이권희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685-690
    • /
    • 2006
  •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컨테이너의 양 하역 작업 시 컨테이너 크레인을 정위치에 고정시키고, 돌풍으로 인해 컨테이너 크레인이 레일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가 레일클램프이다. 쐐기형 레일클램프는 초기에는 작은 압착력으로 레일을 압착하다가 풍속이 증가하면 쐐기작용에 의해 압착력이 증가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서 구조적으로 안정성과 내구성이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연구에서는 레일클램프의 주요부인 조에 대해 형상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솔리드 요소로 유한요소 모델링된 조(jaw)의 경량화 설계를 위하여 강도를 고려하였다. 설계변수로는 조의 측면부의 두께, 조의 중간부의 롤러지지부의 두께, 조의 하단부의 롤러지지부의 두께, 조의 곡면부의 위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프래그램인 ANSYS WORKBENCH의 최적화 기능을 이용하였다.

투 스위치 인터리브 액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wo-switch Interleaved Active Clamp Forward Converter)

  • 정재엽;배진용;권순도;이동현;김용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136-14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2개의 액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로 구성된 투 스위치 인터리브 액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를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컨버터는 단지 2개의 스위치만을 필요로 하며, 각 스위치는 상호 보조스위치로서 동작하기 때문에 회로의 구성이 간단하고 저비용의 용이한 제어를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부가적인 공진 인덕터로 인하여 데드타임 동안에 영전압 스위칭 동작이 가능하다. 제안된 컨버터는 인터리브 동작으로 인하여 출력 전압 및 전류 리플이 저감되므로 출력 필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그로인하여 컨버터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투 스위치 인터리브 액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의 모드별 해석과 특성을 논의하였으며, 160[W]급 시작품을 제작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쐐기형 레일클램프에서 초기압착력과 지지대의 적정위치사이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l Clamping Force and the Proper Position of Supporter in the Wedge Type Rail Clamp)

  • 한동섭;이성욱;한근조;이권순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제1권)
    • /
    • pp.357-362
    • /
    • 2006
  • 쐐기형 레일클램프는 초기에는 작은 압착력으로 레일을 압착하다가 바람이 불면 쐐기작용에 의해 큰 압착력으로 레일을 압착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때 쐐기작용을 위해 레일클램프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만약 지지대를 설치하지 않으면 밀림거리가 증가하여 구조물을 파괴에 이르게 하는 과부하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적절히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지지대의 적정위치는 초기압착력과 쐐기각에 따라서 결정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초기압착력과 지지대의 적정위치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5가지 쐐기각을 설계변수로 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 PDF

쐐기형 레일클램프에서 초기압착력과 지지대의 위치사이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l Clamping Force and the Position of Supporter in the Wedge Type Rail Clamp)

  • 이성욱;한근조;이권순;한동섭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5-70
    • /
    • 2007
  • 쐐기형 레일클램프는 초기에는 작은 압착력으로 레일을 압착하다가 바람이 불면 쐐기작용에 의해 큰 압착력으로 레일을 압착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때쐐기작용을 위해 레일클램프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만약 지지대를 설치하지 않으면 밀림거리가 증가하여 구조물을 파괴에 이르게 하는 과부하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적절히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지지대의 적정위치는 초기압착력과 쐐기각에 따라서 결정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초기압착력과 지지대의 위치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5가지 쐐기각을 설계변수로 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조(Jaw)의 형상최적설계 (Shape Optimization for a Jaw Using DOE)

  • 이권희;방일권;한동섭;한근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창립 30주년 심포지엄(논문집)
    • /
    • pp.331-336
    • /
    • 2006
  •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컨테이너의 양 하역 작업 시 컨테이너 크레인을 정위치에 고정시키고, 돌풍으로 인해 컨테이너 크레인이 레일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가 레일클램프이다. 쐐기형 레일클램프는 초기에는 작은 압착력으로 레일을 압착하다가 풍속이 증가하면 쐐기작용에 의해 압착력이 증가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서 구조적으로 안정성과 내구성이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레일클램프의 주요부인 조에 대해 형상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솔리드 요소로 유한요소 모델링된 조(jaw)의 경량화 설계를 위하여 강도를 고려하였다. 설계변수로는 조의 측면부의 두꼐, 조의 중간부의 룰러지지부의 두께, 조의 하단부의 룰러지지부의 두께, 조의 곡면부의 위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프래그램인 ANSYS Workbench의 최적화 기능을 이용하였다.

  • PDF

초음파가진 열화장시험 시 가전된 진동 신호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cited Vibration Signals in a Thermosonic Test)

  • 강부병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8-126
    • /
    • 2011
  • 초음파가진 열화상시험 중 가진 방법이 시편에 가진된 진동의 시스템 응답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복잡한 현상을 가진 터빈 블레이드 시편에 가진된 진동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고출력 가진이 가능한 초음파 혼이 사용되었다. 초음파 혼에 입력되는 신호의 특성이 가진된 진동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블레이드를 클램프에 고정한 후 가진기와 클램프를 연결하는 방법이 진동신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첩(chirp) 입력선호와 볼트를 사용하여 클램프와 혼을 연결하는 방법을 가진 방법으로 제안하였다. 이러한 가진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터빈 블레이드 뿐만 아니라 다른 기계부품들의 시험에 적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