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클램프

검색결과 278건 처리시간 0.025초

연료전지용 3상 전류형 능동 클램프 DC/DC 컨버터의 기동 방법 제안 및 제어기의 설계 (New Start-up Method and Controller Design for Three-Phase Current-fed DC/DC Converter with Active Clamp for Fuel Cells)

  • 차한주;최순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
    • /
    • pp.194-196
    • /
    • 2008
  • 이 논문에서는 연료전지용 3상 전류형 능동 클램프 DC/DC 컨버터의 기동 방법을 제안하고, 정상상태에서 컨버터의 출력 전압 및 입력 전류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3상 전류형 능동 클램프 DC/DC 컨버터는 가동시 클램프 전압과 출력 전압의 차로 인해 스위치 및 변압기 전선에 큰 단락 전류가 흐르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가동시 입력 인덕터에 2차 권선을 감아 플라이백방식을 이용하여 출력 전압을 확립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정상 상태에서 출력 전압 및 입력 전류 제어를 위해 두 개의 종속 연결 PI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전압 제어 이득의 시정수가 전류 제어 이득의 시정수보다 크게 함으로써 제어기의 안정도를 향상시켰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동 방법을 확인하였다. 500w급 컨버터를 제작하였고, 실험을 통해 설계한 제어기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낮은 변압기 오프셋 전류를 가지는 더블 앤디드 엑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 (Active-Clamp Forward Converter with Double-Ended Rectifier Reducing DC offset Current in Transformer)

  • 김명호;김재국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8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15-17
    • /
    • 2018
  • 엑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는 고효율, 간단한 구조의 특징으로 PC 파워 시스템, 서버 파워 시스템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에 많이 사용 되고 있다. 특히 더블 앤디드 엑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는 작은 출력 필터와 고효율의 장점이 있으나, 변압기 오프셋 전류로 인해 변압기의 크기와 코어 손실이 증가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게이트 신호 조정을 통해 낮은 변압기 오프셋 전류를 갖는 새로운 더블 앤디드 엑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를 제안한다. 따라서 변압기의 크기와 코어 손실, 1차측과 출력 인덕터의 전력손실이 감소함으로써 높은 전력밀도와 고효율을 달성하게 된다.

  • PDF

위상 변위 제어 클램프 모드 포워드 다중공진형 컨버터 (Phase Shift Controlled Clamp Mode Forward Multi-Resonant Converter)

  • 김희일;김창선;김희준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5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191-194
    • /
    • 1995
  • 소프트 스위칭 능동 클램프 회로와 위상 변위 제어회로를 이용하여 위상 변위 제어 클램프 모드 포워드 다중진공형 컨버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컨버터는 일정한 스위칭 주파수에서 동작하므로 설계가 용이하고 주 스위치의 전압 스트레스를 입력 전압의 2-3배로 줄일 수 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회로의 이론적인 동작 파형을 확인하였으며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1MHz, 5V, 50W 위상 변위 제어 클램프 모드 포워드 다중공진형 컨버터를 제작하여 실험한 결과 주스위치의 최대 전압 스트레스는 입력전압의 3배로 저감하였고, 부하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주스위치에 걸리는 전압 스트레스와 전류 스트레스가 감소하며, 최고 84.2%의 효율을 얻었다.

  • PDF

모델 예측 제어 기반의 균형 있는 손실을 갖는 단상 3-레벨 중성점 다이오드 클램프(NPC) 컨버터 (Power Loss Balancing of Single-Phase Three-Level Neutral Point Clamped(NPC) Converter based on Model Predictive control)

  • 노찬;곽상신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1-132
    • /
    • 2016
  • 3-레벨 중성점 다이오드 클램프(NPC) 컨버터는 high-power medium voltage(MV)에서 많이 응용된다. 하지만 3-레벨 중성점 다이오드 클램프(NPC) 컨버터는 각 스위치 소자에서 손실이 불균형하게 발생하게 되어 스위치 소자 간 성능이 불균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단상 3-레벨 중성점 다이오드 클램프(NPC) 컨버터의 기존 모델 예측 제어의 스위칭 패턴을 분석 및 스위칭 순환방식을 이용한 효율적인 스위칭 상태를 갖는 모델 예측 제어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PI 제어기 기반의 펄스 폭 변조 방법과 기존 모델 예측 제어 방법의 손실 비교를 통하여 제안하는 모델 예측 제어 성능을 검증한다.

  • PDF

클램프형 전류계에 의한 누설전류 측정방법

  • 대한전기협회
    • 전기저널
    • /
    • 11호통권131호
    • /
    • pp.94-98
    • /
    • 1987
  • 수전반의 스위치를 끊지 않고 활선상태에서 옥내배선 등의 누전양을 측정하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이 방법에 따르면 클램프형 전류계를 모체로, 어댑터를 부가시키는 것만으로 지극히 손쉽게 실질적인 누전양을 바르게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그 기본원리와 구체적인 방법$\cdot$용구에 대해 해설한다.

  • PDF

한국인 소아에서 제2유구치에 대한 러버댐 클램프의 적합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ADAPTABILITY OF RUBBER DAM CLAMPS ON PRIMARY SECOND MOLARS IN KOREAN CHILDREN)

  • 박미래;마연주;안병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8-105
    • /
    • 2013
  • 질 높은 치료를 제공하고 안전한 치료환경을 만들기 위한 러버댐 사용의 중요성은 소아치과에서 더욱 강조된다. 한편 잘못된 클램프의 장착으로 발생하는 통증과 불완전한 방습은 협조도를 떨어뜨리고 진정 치료 중 방해가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치열기 아동 110명의 경석고 모형을 통해 제2유구치의 치경부 근원심 폭경을 측정하고 이를 #203/204, #10/11, #205 클램프(Dentech, Japan)의 근원심 폭경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제2유구치의 치경부 근원심 폭경은 하악이 상악보다 크고, 협측이 설측 보다 컸다. 모든 위치의 계측값이 클램프 폭경과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그 차이값이 상악 제2유구치에서는 작은 반면 하악 제2유구치에서는 1 mm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상악 제2유구치는 #203/204 및 #10/11 클램프와 비교적 잘 맞는 반면 하악 제2유구치를 위해서는 보다 적절한 크기의 클램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능동 클램프 ZVS 플라이백 컨버터의 역률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FC of Active Clamp ZVS Flyback Converter)

  • 최태영;류동균;이우석;안정준;원충연;김수석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49-57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single-stage, two-stage 두가지 역률보상(PFC)기법을 기존의 능동 클램프 플라이백 컨버터에 적용하여 역률개선을 하였다. 삽입된 플라이백 컨버터의 능동클램프회로가 주스위치와 보조스위치의 영전압스위칭(ZVS)을 구현하며, 스위칭 손실을 줄임으로써 고효율을 얻을 수 있고, 높은 주파수에서의 스위칭이 가능하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이오드정류기, 평활용커패시터에 의한 낮은 역률의 문제점이 남아있다. 본 논문에서는 300[W급] 능동 클램프 ZVS 플라이백 컨버터를 설계하여 single-stage two-stage방식을 적용, 입력역률개선을 시뮬레이션과 실험에 의해 입증하고자 한다.

  • PDF

연료전지용 3상 전류형 능동클램프 DC-DC 컨버터 (Three-phase Current-fed Active Clamped DC-DC converter for Fuel cells)

  • 차한주;최정완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7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1-7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연료전지용 3상 전류형 능동 클램프 DC-DC 컨버터를 제안한다. 전류형 컨버터 구조에 능동 클램프 회로를 채용하여 과도기에 발생하는 서지전압을 저감하였고 모든 스위치에서 영전압 스위칭을 하며, 그 장점으로 : 연속적인 입력전류, 전압 오버슈트 제거, 영전압 턴 온 스위칭, 고주파 변압기 1차/2차 측에 부가적인 스너버 회로의 필요성 제거, 소프트 스위칭에 의한 저속 다이오드 적용 등이 있다. 더구나 대용량 발전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전류형 컨버터 구조와 3상 전력변환 회로를 결합하였다. 3상 전력변환 적용의 장점은 : 입력전류 및 출력전압 주파수의 3배 증가, 스위치에 흐르는 RMS 전류 저감, 필터소자 용량 및 부피 감소, 고주파 변압기 이용률 증가, 전력회로의 단순화에 따른 전체 사이즈 축소 및 신뢰성 향상 등이 있다. 제안하는 3상 전류형 능동 클램프 DC-DC 컨버터는 이러한 장점들 때문에 발전용 연료전지 시스템의 승압형 DC-DC 컨버터에 적합하며 대용량 태양전지 발전 시스템 및 배터리 충전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새로운 3상 DC-DC 컨버터와 함께 3상 PWM 알고리즘을 제안하며, 시뮬레이션과 프로토타입 제작, 실험을 통하여 그 성능을 평가, 확인한다.

  • PDF

다이오드 클램프형 3-레벨 IGBT 인버터용 과전압 방지 스너버 (Overvoltage Snubber for a Diode-Clamped 3-level IGBT Inverter)

  • 정재헌;송웅협;노의철;김인동;김흥근;전태원;유동욱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514-521
    • /
    • 2009
  • 본 논문은 다이오드 클램프형 3-레벨 IGBT 인버터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방식의 과전압 방지 스너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변환장치는 스위칭 소자에 발생하는 과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스너버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다이오드 클램프형 멀티레벨 인버터는 스위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과전압 방지 스너버를 구성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텝-다운 DC-DC 컨버터에 적용 가능한 과전압 방지 스너버의 특성을 이용하여 다이오드 클램프형 3-레벨 인버터에 과전압 방지 스너버를 구성하려 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이오드 클램프형 3-레벨 인버터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스너버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식에 대한 특성을 해석하였고, 실험을 통하여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프리캐스트 바닥판용 클램프 조인트의 피로내구성 (Fatigue Durability of Cramp Joint at Precast Highway Deck Slabs)

  • 김윤칠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56-162
    • /
    • 2008
  • 클램프 조인트를 이용하여 도로교 바닥판에 적용하기 위하여 실물 크기의 보 공시체를 이용하여 피로 내구성 실험을 수행 하였다. 실제 바닥판에서 발생하는 응력 상태를 가정하여 조인트 부에 주로 전단력이 작용하는 공시체(RC Type), 휨모멘트가 주로 작용하는 공시체(PSC Type), 순전단 타입공시체 3종류에 대해서 내구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클램프 조인트의 보 공시체에 대한 휨/전단 피로 실험의 결과 현행 설계 하중 레벨에서는 클램프 조인트는 루프 철근의 겹침길이에 상관없이 충분한 피로 내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반복하중에 의한 피로 내구성 실험에 있어서도 조인트부의 강성 저하에 의한 변형을 고려하여 조인트 폭은 1.5D 이상으로 하면 충분한내구성이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