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클라이언트 프로파일 프레임워크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Client Profile Framework for Providing Adapted Content to Context (상황에 적응화된 콘텐츠 제공을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파일 프레임워크)

  • Kim, Kyung-Sik;Lee, Jae-Dong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4C no.3 s.113
    • /
    • pp.293-304
    • /
    • 2007
  • In this paper, a client-side framework for processing of the profile that is necessary for providing adapted content to user's context in the client is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profile must be constituted context information and various user's information for providing the adapted content to user's context. The client device also provides functionalities such as the creation, the management, and the transmission of the profile. The profile which is used in the proposed profile framework consists of various related information of a user for content adaptation. The technology such as creation, transmission and manage of the profile for effective processing is proposed and apply this technologies to client profile framework during the design are applied. As the result of evaluation, techniques of the proposed framework for processing profiles is more effective than previous techniques.

User-Level Network File System Framework with Using Web-Service Protocol (웹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수준 네트워크 파일시스템 프레임워크)

  • Kim, Keedi;Park, Hyeon-Hui;Yang, Se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b
    • /
    • pp.267-272
    • /
    • 2007
  • 네트워크 파일시스템은 원격의 서비스와 자원에 대해 로컬의 그것과 같은 투명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된다. 네트워크 파일시스템을 제작하거나 수정하는 일에는 운영체제의 커널과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므로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걸린다. 기존의 파일시스템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경우 운영체제의 커널 모듈에 대한 고려는 줄일 수 있지만 여전히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고려는 필요하다. 따라서 네트워크 파일시스템의 빠른 제작을 도와주는 네트워크 파일시스템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웹서비스 프로토콜인 SOAP과, 사용자 수준 파일시스템 프레임워크인 FUSE를 이용해 사용자 수준 네트워크 파일시스템 프레임워크인 NFSF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NFSF는 단일 클라이언트 모듈과 서버 상위모듈, 서버 하위모듈의 3단계 계층을 두고, 중요 파일시스템 API를 서버 하위 모듈로 바인딩한다.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한 단일 클라이언트 모듈과 서버 상위 모듈을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여 네트워크 파일시스템 제작 시 서버 하위 모듈만을 제작하게 함으로써 네트워크 파일시스템 제작과정을 '로컬 저장 장치 자체에 대한 고려'로 축소시킨다.

  • PDF

A Design of Framework for Effective Management of Ubiquitous Profile (유비쿼터스 프로파일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프레임워크의 설계)

  • Kim Jin-Sung;Kim Kyung-Sik;Lee Jae-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493-496
    • /
    • 2006
  • 유비쿼터스 프로파일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콘텐츠 적응화를 위해 CC/PP를 확장한 프로파일로서, 프로파일을 구성하는 정보들은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존재하며, 생성 시 게이트웨이의 프로파일 관리 저장소에서 통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프로파일들이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존재하기 때문에 통합 및 관리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유비쿼터스 프로파일들을 통합 운영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설계한다. 제안한 프레임워크는 프로파일 운영 아키텍쳐와 프로파일 처리 기능을 중심으로 설계하였으며, 통합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프레임워크는 운영되는 장소에 따라 클라이언트 프레임워크(CF), 유비쿼터스 프레임워크(UF), 저장소 프레임워크(RF)로 구분되며, 특성에 맞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안된 프레임워크는 프로파일 생성, 전송, 통합 관리 기능을 가지고 있어, 유비쿼터스 프로파일 운용 시스템 구축에 효율적이다.

  • PDF

Dynamic Distributed Adaptation Framework for Quality Assurance of Web Service in Mobile Environment (모바일 환경에서 웹 서비스 품질보장을 위한 동적 분산적응 프레임워크)

  • Lee, Seung-Hwa;Cho, Jae-Woo;Lee, Eun-Seok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3D no.6 s.109
    • /
    • pp.839-846
    • /
    • 2006
  • Context-aware adaptive service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wireless devices and maintaining adequate service levels in changing environments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However, most existing studies concentrate on an adaptation module on the client, proxy, or server. These existing studies thus suffer from the problem of having the workload concentrated on a single system when the number of users increases md, and as a result, increases the response time to a user's request. Therefore, in this paper the adaptation module is dispersed and arranged over the client, proxy, and server. The module monitors the contort of the system and creates a proposition as to the dispersed adaptation system in which the most adequate system for conducting operations. Through this method faster adaptation work will be made possible even when the numbers of users increase, and more stable system operation is made possible as the workload is divided. In order to evaluate the proposed system, a prototype is constructed and dispersed operations are tested using multimedia based learning content, simulating server overload and compared the response times and system stability with the existing server based adaptation method.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is confirmed through this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