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크로스오버 접합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nalysis and Design of Crossover Junctions including Output Phase (출력 위상을 고려한 크로스오버 접합의 해석 및 설계)

  • Myun-Joo Par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3 no.1
    • /
    • pp.146-152
    • /
    • 2024
  • This paper presents the analysis and the design methods of the crossover junctions including the output phase. The general solutions were derived analytically through an even-odd analysis of the reflection coefficients and the impedance parameters for the crossover junction with arbitrary output phase. The general solutions were applied to a real crossover junction structure to derive the exact design formula for the arbitrary output phase. The results agreed well with the existing studies. The designed circuit satisfied the crossover junction operation with the exact output phase.

One Step Incremental Re-establishment Scheme for Connection Rerouting in Wireless ATM WANs (광역 무선 ATM 네트웍에서 한 단계로 수행되는 점진적 경로 재 설정 기법)

  • Sin, Gyu-Yong;Gwon, Wi-Nam;Gwon, Bo-Seop;Yun, Yun-Su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27 no.4
    • /
    • pp.396-406
    • /
    • 2000
  • 유선 네트웍과는 달리 무선 네트웍에서는 단말기들이 이동하기 때문에 핸드오버가 발생한다. ATM네트웍은 연결 지향통신을 하기 때문에 핸드오버가 발생하면 통신을 위한 경로를 재 설정해 주어야 한다 높은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빠르고 효율적이며 끊김이 없는 경로 재 설정방법으로 두 단계(사용중인 경로에서 새로운 경로와의 접합점인 크로스오버 스위치)를 찾는 단계와 찾아진 크로스오버 스위치까지 새로운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핸드오버 지연시간이 길고 시그널링 부담이 크다. 본 논문은 핸드오버 지연 시간을 줄이고 시그널링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경로설정을 위한 시그널링 메시지에 기존의 경로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크로스오버 스위치의 탐색과 부분 경로 재 설정을 한 단계로 단일화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의 방법과 비교 평가함으로써 제안하는 기법이 핸드오버 지연 시간과 시그널링 부담을 줄였음을 보인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Flow Rate for DMFC Performance (DMFC에서 온도 및 유량이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Hong-Gun;Kwac, Lee-Ku;Kang, Young-Woo;Kim, Tae-Jin;Kwak, Sang-Hee;An, Kay-Hyeok;Park, Gyung-S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656-659
    • /
    • 2009
  • 직접메탄올형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는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형 전원용으로 주로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직접메탄올연료전지에서 전해질로 많이 쓰이는 Nafion막은 이를 통한 메탄올 크로스오버(Crossover) 때문에 연료전지의 성능을 제한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Nafion 117를 사용하여 전극 면적 100cm2 의 DFMC용 MEA를 제작하고, 공기 유량을 3ml/mim으로 고정하고, 메탄올 유량을 2,3 ml/min로 각각 공기극와 연료극에 공급하여 온도변화(50, 60, 70, $80^{\circ}C$)에 따른 성능을 확인하였다. DMFC의 적당 반응 온도는 $70^{\circ}C$로 생각되고, 유량은 메탄올 2ml/min, 공기 3ml/min유량 공급시가 성능이 높게 나오는 결과를 얻으나 일정시간 지나면 성능이 메탄올 3ml/min, 공기 3ml/min유량 공급시 보다 성능이 떨어지는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70^{\circ}C$ 반응온도에 메탄올 3ml/min, 공기 3ml/min의 유량 공급이 본 논문에서 최적화된 성능을 내는 조건으로 사료된다.

  • PDF

Evaluation of Cell Components in Direct Formic Acid Fuel Cells (직접 개미산 연료전지의 구성요소 평가에 대한 연구)

  • Jung, Won Suk;Yoon, Sung Pil;Han, Jonghee;Nam, Suk Woo;Lim, Tae-Hoon;Oh, In-Hwan;Hong, Seong-Ah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7 no.3
    • /
    • pp.362-367
    • /
    • 2009
  • Recently, the use of formic acid as a fuel for direct liquid fuel cells has emerged as a promising alternative to methanol. In the work presented herein, we evaluated direct formic acid fuel cells(DFAFCs) with various components under operating conditions,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proton exchange membrane, concentration of formic acid, gas diffusion layer, and commercial catalyst. The thickness of the proton exchange membrane influenced performance related to the fuel cross-over. To optimize the cell performance, we investigated on the proper concentration of formic acid and catalyst for the formic acid oxidation. Consequently, membrance-electrode assembly(MEA) consisted of $Nafion^{(R)}$-115 and the Pt-Ru black as a anode catalyst showed the maximum performance. This performance was superior to the DMFCs' 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