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크라운 에테르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16초

앵커 그룹으로서 아자크라운 에테르를 포함한 새로운 이온교환체에 의한 리튬 동위원소의 농축 (Enrichment of Lithium Isotope by Novel Ion Exchanger Containing Azacrown Ether as Anchor Group)

  • 김동원;이남수;정영규;류해일;김창석;김봉균
    • 분석과학
    • /
    • 제11권4호
    • /
    • pp.231-234
    • /
    • 1998
  • $N_3O_3$가 앵커 그룹으로 포함된 이온교환체를 사용하여 $^6Li$$^7Li$의 분리인자를 측정하였다. 이온교환체의 이온교환 용량은 2.0 meq/g 이었다. 3M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용리액으로 하였으며, 내경 0.3 cm, 높이 30 cm의 칼럼을 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하였다. 가벼운 동위원소 $^6Li$는 유체상에, 무거운 동위원소 $^7Li$는 수지상에 농축되었다. 용리곡선과 동위원소 비를 가지고 Glueckauf의 이론에 따라 분리인자를 구하였으며, 그 값은 1.018이었다.

  • PDF

수용액 중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요오드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Ca^{2+}$의 영향 (The Effects of $Ca^{2+}$on the Interaction of Nonionic Surfactant with Iodine in Aqueous Solution)

  • 권오윤;백우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621-626
    • /
    • 1992
  • 수용액 중에서 요오드와 $4-(C_9H_{19})C_6H4_O(CH_2CH_2O)_{40} [NP-(EO)_40]$간의 charge transfer(CT) 상호작용에 미치는 $Ca^{2+}$이온의 영향을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CT 상호작용에 따른 최대 흡수는 390 nm 부근에서 나타났으며, $Ca^{2+}$ 이온 존재하에서는 370 nm 영역으로 이동되었다. 계면활성제 농도를 CMC 이상에서 고정시켰을 때, CT 상호작용에 따른 최대흡수곡선의 강도가 $Ca^{2+}$이온 첨가 농도에 따라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변곡점을 보였다. CT 상호작용에 기인한 흡수곡선의 강도가 증가하는 것은 $Ca^{2+}$이온 존재하에서 미셀 구조가 더욱 조밀해진데 다른 요오드와의 donor-acceptor overlap 증가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수용액 중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이 여러가지 배향을 가질 수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선형 oxyethylene(EO) 사슬이 유사 크라운 에테르 구조를 형성하여 $Ca^{2+}$이온과 착물을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메틸기를 포함한 새로운 거대고리 크라운 에테르의 합성 (Syntheses of New Macrocyclic Crown Ethers Containing Methyl Groups)

  • 장승현;김동준;김재용;이갑덕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54-259
    • /
    • 1994
  • Methyl기를 포함하는 새로운 5종의 crown ether를 합성하였다. 2,3,4,5: 9,10,11,12-Dibenzo-8,8-dimethyl-15,18,1-trioxacycloeicosane, 2,3,4,5: 9,10,11,12-dibenzo-8,8-dimethyl-15,18,21,1-tetraoxacyclotricosane, 2,3,4,5 : 9,10,11,12-dibenzo-8,8-dimethyl-15,18,21,24,1-pentaoxacyclohexacosane, 2,3,4,5 : 9,10,11,12 : 22,23,24,25 : 29,30,31,32-tetrabenzo-8,8,28,28-tetramethyl-15,18,21,35,38,1-hexaoxacyclotetracontane 그리고 2,3,4,5 : 9,10,11,12 : 25,26,27,28:32,33,34,35-tetrabenzo-8,8,31,31-tetramethyl-15,18,21,24,38,41,44,1-octaoxacyclohexatetracontane은 (M = Na, K)존재하에서 4,4'-isopropylidenediphenol과 di-, tri- 그리고 tetraethyleneglycol ditosylate의 반응에 의해 합성하였다. Diethyleneglycol ditosylate, triethyleneglycol ditosylate, tetraethyleneglycol ditosylate는 NaOH존재하에서 diethyleneglycol, triethyleneglycol 그리고 tetraethyleneglycol과 p-toluenesulfonylchloride의 반응에 의해 합성하였다.

  • PDF

모세관 전기 영동을 이용한 퀴놀린계 항생제의 광학 이성질체 분석 (Chiral Separation of Quinolone Antibacterial Agent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 강대천;조승일;정두수;최규성;김용성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412-429
    • /
    • 2002
  • (+)(18crown6)-tetracarboxylic acid ($18C6H_4$)를 퀴놀린계 항생제인 gemifloxacin을 모세관 전기영동법으로 키랄 분리하였다. Body fluid에서 퀴놀린계 항생제인 gemifloxacin의 직접적인 분석은 빠른 분석 시간, 다성분 분석등의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Body fluid내의 높은 농도의 나트륨 이온은 $18C6H_4$와 강한 전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gemifoxacin과 $18C6H_4$의 상호작용을 방해한다. 키랄 선택제와 나트륨 이온 사이의 상호 작용을 줄이기 위해 완충 용액에 킬레이트 리간드 EDTA를 첨가하였다. 시료 용액에 150mM의 나트륨 이온이 존재 할 때에도 분리 효율의 향상과 이동 시간의 감소를 관찰 할 수 이었다.

$Ca^{2+}$ 존재하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요오드와의 상호작용 (The Interaction of Nonionic Surfactant with Iodine in the Presence of $Ca^{2+}$)

  • 박정순;권오윤;백우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6-42
    • /
    • 1993
  • $Ca^{2+}$ 이온 존재하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nonylphenol-(ethylene oxide)_n\;[NP-(EO)_n; n = 11, 40, 100]$와 요오드간의 charge transfer (CT) 상호작용을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수용액중에서 조사하였다. Spectra의 특성은 $Ca^{2+}$ 이온 농도와 EO 갯수에 의존하였다. CMC 이상에서 $NP-(EO)_{11}$$NP-(EO)_{40}$에 대한 $Ca^{2+}$이온 첨가에 따른 CT band는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였으며, $NP-(EO)_{100}$에 대해서는 계속적인 증가를 보였다. CT band의 강도가 증가하는 것은 $Ca^{2+}$이온 존재하에서 미셀 구조가 더욱 조밀해진데 따른 요오드와의 donor-acceptor overlap 증가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수용액 중에서 상태적으로 자유로이 여러가지 배향을 가질 수 잇는 선형 ethylene oxide(EO) 사슬이 유사 크라운 에테르 구조를 형성하여 $Ca^{2+}$ 이온과 착물을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음이온성-비이온성 혼합계면활성제와 요오드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Ca^{2+}$의 영향 (The Effect of $Ca^{2+}$ on the Interaction of Anionic-Nonionic Surfactant Mixture with Iodine)

  • 권오윤;김정성;백우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855-860
    • /
    • 1993
  • SDS(sodium dodecyl sulfate) 존재하에서 NP-40EO[nonylphenol-(ethylene oxide)40]와 요오드와의 상호작용에 따른 $Ca^{2+}$의 영향을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수용액 중에서 조사하였다. SDS 부재시보다 상호작용 피크의 흡광도는 줄어들었으며, CMC 이상에서 $Ca^{2+}$ 첨가에 따른 상호작용 피크의 강도는 크게 증가하였다. 상호작용 피크의 감소는 SDS 삽입에 따른 혼합미셀 단위 표면적당 요오드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EO 수의 감소에 기인하며, 상호작용 피크 강도의 증가는 $Ca^{2+}$ 존재하에서 미셀 구조가 더욱 조밀해진데 따른 전자주게-받게 겹침 증가로 불 수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수용액 중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배향을 갖는 선형 EO 사슬이 유사 크라운 에테르 구조를 형성하여 $Ca^{2+}$ 이온과 착물을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저에너지 충돌 탄뎀 질량분석법을 이용한 올리고당의 연결부위 연구: 금속양이온의 첨가가 미치는 영향 (Linkage Positions of Oligosaccharides by Low Energy Collision Tandem Mass Spectrometry: Effect of the Addition of Metal Cations)

  • 육은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557-564
    • /
    • 1996
  • 각기 다른 양이온$(Na^+, Li^+, K^+, NH_4^+)$을 구조이성질체인 일련의 합성 올리고당에 첨가함으로써, 양이온의 결합정도가 올리고당의 연결위치에 따라 달라지리라는 것을 FAB CAD MS/MS(Fast Atom Bombardment Collision Activated Dissociation Mass Spectrometry/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안정성 측면에서 연구하였다. 알카리 양이온화된(cationized) 올리고당들은 양성자화(protonated)된 형태보다 더 큰 안정성을 나타내어 -40 eV의 충돌 에너지 수중에서 연결부위와 작용기들이 분절된 스펙트럼형태를 보인 반면, 양성자화된 올리고당은 -10 eV에서 에서 같은 정도의 분절을 보였다. 첨가된 양이온 중, 칼륨 양이온이 첨가된 올리고당이 다른 것에 비해 안정화되어 triple quadrupole기종의 허용에너지 조건하에서는 분절이온을 생성하지 않는다. 다른 양이온화된 올리고당들은 충돌기체인 argon의 압력이 0.8mTorr 상태에서 양이온의 종류에 따라$Nap^+>Li^+>NH_4^+$순으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올리고당과 결합하는 금속양이온들은 질소를 포함하고 있는 아미노당에 위치하며, 이는 아미노당을 포함하는 분절이온마다 각 양이온에 해당하는 만큼의 질량이 이동된 분절피크들이 나타나는 것으로 설명 가능하다. 또한 양이온화된 것이 양성자화된 것보다 더 큰 안정성을 지니는 이유는 금속 양이온과 아미노당의 N-acetyl 작용기 및 fucose의 산소 사이에 크라운에테르 형태의 결합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 때 참여한 금속 양이온의 크기 및 연결위치-이성질 부분의 구조적 형태에 따라 결합정도의 차이를 보여 각기 다른 분절스펙트럼의 형태를 나타내며 안정성면에서도 1-6>1-4>1-3 연결위치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置換 Potassium phenoxide와 이루는 18-Crown-6 Complex의 形成常數 (Formation Constants of 18-Crown-6 Complexes with Substituted Potassium Phenoxides)

  • 여수동;김순규;한인숙;박종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3-59
    • /
    • 1988
  • 파라치환된 포타슘 페녹사이드류와 18-crown-6가 이루는 1 : 1 착물 형성상수를 전기 전도도법으로 35${\circ}C$에서 측정하여 용매와 치환기의 변화에 따른 효과를 측정하였다. 18-crown-6와 $K^+$의 착물 형성상수는 $CH_3$OH(DN=19.0) > DMF(26.6) > DMSO(29.8)의 순으로 감소되었다. 이는 전자주게 수가 클수록 $K^+$과 용매와의 상호작용이 커지므로 크라운 에테르와의 착물형성과의 서로 경쟁관계가 되어 $K_f$값이 작아진다고 추정된다. 포타슘 페녹사이드의 치환기가 p-N$O_2$ > H > p-$CH_3$ > p-O$CH_3$의 순으로 $K_f$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전자를 당기는 기는 페녹사이드 음이온이 비편재화되어 안정해지므로 전자를 미는 기에 비해서 $K^+$를 쉽게 내어 놓을 수 있어 18-crown-6와의 착물 형성이 용이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 PDF

이온선택성 크라운 에테르 염료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on-Selective Crown Ether Dyes)

  • 강삼우;박종민;구원회;김근재;이수민;장주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43-451
    • /
    • 1988
  • Monobenzo-15-crown-5와 Dibenzo-18-crown-6을 모체로 아조(-N=N-)기가 치환된 두가지 새로운 crown ether dye-Ⅰ과 dye-Ⅱ를 합성하여 스펙트럼을 조사한바 ${\lambda}_{max}$는 377nm 와 383nm에서 나타났고. 이 crown ether dye 화합물과 알칼리 금속(Na, K, Cs)과의 착물 스펙트럼에서 ${\lambda}_{max}$는 390~400nm의 띠 이동과 세기가 증가함을 보였다. 또한 추출상수값(Kex)은 음이온을 고정한 뒤 추출상수의 크기는 Crown ether dye-Ⅰ에서는$K^+$ < $Cs^+$ < $Na^+$의 순위를 얻었으며 crown ether dye-Ⅱ에서는 $Cs^+$ < $Na^+$ < $K^+$의 순서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알칼리 금속의 이온반지름과 crown ether dye의 동공의 크기 관계와 알칼리 금속 이온의 전하밀도로 설명될 수 있고 도한 음이온의 변화에 따른 추출 상수의 크기는 두가지 crown ether dye에서 똑같이 $Cl^-$ < $Br^-$ < $I^-$ < picrate의 순위를 얻었다. 이는 음이온의 용매화효과 순서와 일치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각각 합성된 crown ether dye화합물의 추출계수 비를 구하여 비교 고찰하였고, 알칼리 금속 이온들의 회수율은 약 90%의 양호한 실험값을 얻었다.

  • PDF

Crown Ether를 이용한 탐침형 납 이온선택성 전극 (Coated Wire Lead(Ⅱ) Ion-Selective Electrodes based on Crown Ethers)

  • 장미경;하광수;서무룡
    • 대한화학회지
    • /
    • 제41권7호
    • /
    • pp.337-342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benzo-15-crown-5(B15C5)와 poly(acryloylmethylbenzo-15-crown-5)[poly(AMB15C5)] 화합물을 이온선택성 물질로 이용해서 $Pb^{2+}$를 전위차법으로 정량할 수 있는 탐침형 이온선택성 전극(coated wire-ion-selec-tive electrode[CWISE])을 개발하였다. 각각 감지막의 최적 조성은 B15C5의 경우에는 리간드 20 mg, 가소제인 tris(2-ethylhexyl) ester 165 mg, 지지체인 polyvinylchloride 75 mg 및 용매인 THF 0.7 mL이었으며 poly(AMB15C5) 경우에는 리간드 35 mg, 가소제인 tris(2-ethylhexyl) ester 160 mg, 지지체인 PVC [Polyvinyl Chloride] 70 mg 및 용매인 THF 2 mL이었다. 이 때 코팅용액의 리간드에 대한 무게함량은 각각 7.7%와 13.1%이었다. 각각의 전극은 $10^{-5} M{\sim}10^{-1}$ M 농도 범위에서 기울기가 28{\pm}1$ mV/decade인 직선성이 잘 성립하는 감응을 나타내었다. 또한 전극의 감응시간은 poly(AMB15C5) 경우에는 5분 이내였으며 B15C5의 경우에는 3분이내로 비교적 빠른 편이었다. 전극의 안정성은 크라운 에테르의 물에 대한 용해도 때문에 좋은 편은 아니었다. 최적 pH 조건은 pH 3~6이었으며 $Mg^{2+},\; Ca^{2+},\; Co^{2+},\; Ni^{2+},\; Cu^{2+},\; Zn^{2+}$$Cd^{2+}$는 방해가 거의 없었으나 $Na^+$$K^+$는 방해효과가 컸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조한 탐침형 이온선택성 전극을 이용하여 $Pb^{2+}$ 이온을 전위차 적정법으로 정량분석해 보았을 때 이론적인 당량점과 종말점이 잘 일키하는 결과를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