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콘텐츠 활용

검색결과 7,637건 처리시간 0.034초

현장 실감형 콘텐츠 활용을 통한 차세대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xt Generation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Field Realistic Content)

  • 김상중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1호
    • /
    • pp.69-70
    • /
    • 2023
  • 본 논문은 디지털시대의 변화와 코로나 19로 인해 차세대 디지철 시대는 새로운 교육 환경으로 진화하고 변화하는 교육 페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최근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인기 있는 AR, VR 현장 실감형 콘텐츠를 교육에 활용 할 때 더욱 학습 효과가 있다는 다양한 이론과 사례분석을 통해 교육과정, 비 교육과정에 직접 접목하여 활용하고 그 효과를 통한 모형을 제시하여 수업의 질적 양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패션 뷰티 콘텐츠의 동영상 플랫폼 활용 특성에 대한 연구 - 유튜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ideo Platforms Usage of Beauty Content with YouTube at the Center)

  • 위서현;정재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127-137
    • /
    • 2021
  • 다양한 주제와 형식을 활용한 유튜브 뷰티 콘텐츠 채널이 양적, 질적 확장을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Statista를 통해 국내 및 해외 주요 뷰티 브랜드 및 패션지와 뷰티 인플루언서들을 대표하는 상위 5위의 채널을 선정하여 이들을 중심으로 사례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패션 뷰티 콘텐츠 생산자에 따른 동영상 플랫폼 활용 특성과 콘텐츠 성격 비교 및 매력적인 콘텐츠가 어떤 유형과 특성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증가하는 뷰티 관련 콘텐츠를 위한 전략으로 연결시키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영상 중심의 유튜브 플랫폼의 성장은 제품 정보의 원천을 다양화시킴으로서 기존 광고의 수동적 소비자들을 생산자 혹은 새로운 전달자의 역할로 변화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생산자에 따라 다른 성격의 콘텐츠가 소비됨에 따라 객관적인 저널리즘적인 시선보다는 생산자 중심의 콘텐츠가 제작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차별화되는 뷰티 콘텐츠를 위해서는 밀레니얼 세대에 효과적인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요소와 더불어 소비자와 브랜드와의 관계 및 연결을 강화시킬 수 있는 '브랜드 가치'의 전달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서울지역 지명전설의 사례와 콘텐츠 활용 방안 (Case study of the Place Name Legends of SEOUL and the Application Plan for the Contents)

  • 홍성규;정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507-518
    • /
    • 2013
  • 최근 스토리텔링에 대한 관심과 연구, 개발이 문화산업 전반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지역의 전설, 역사, 문화유산 등을 바탕으로 한 스토리텔링을 개발해 마케팅의 수단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가능성을 서울지역 지명의 전설, 설화, 이야기 콘텐츠를 통하여 발견해 보고자 한다. 먼저, 서울지역과 관련된 전설의 역사와 유형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서울지역 내 전설이 지닌 콘텐츠로서의 잠재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콘텐츠 활용 방안을 제안한다. 첫째, 스토리뱅크의 구축이고, 둘째, 전설 체험코스 및 주변 콘텐츠와의 연계 프로그램 개발이다. 셋째, 전설, 이야기를 활용한 마을 축제의 개발이고, 넷째, 각 지역의 전설과 관련된 상품 개발이며, 다섯째, 지명전설을 배경으로 한 다양한 문화예술 콘텐츠 개발이다.

안동 여성독립운동가 이야기 가치와 지역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탐색 (A Exploration on the Story Value and the Application as Local Cultural Contents of Female Independence Activists in Andong city)

  • 임지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3-174
    • /
    • 2016
  • 본 논문은 안동 여성독립운동가들의 항일투쟁과 독립운동가 가족들의 삶의 이야기를 통해지역공동체를 복원할 수 있는 지역문화 콘텐츠 활용 방안으로 첫째, 안동 독립운동에 대한 강좌형 체험프로그램 개발, 둘째, 독립운동 전통마을의 테마파크화, 셋째, 지역독립운동 해설사 콘텐츠 개발, 넷째, 지역독립운동 콘텐츠의 축제화를 제안한다.

  • PDF

가상현실 기반 퍼즐과 탈출게임 콘텐츠 개발 (The Content Development for puzzle and escape game based Virtual reality technology)

  • 김준형;송은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19-621
    • /
    • 2018
  • 최근 가상현실을 활용한 게임콘텐츠들이 많이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킬러콘텐츠가 부족한 상황이며 가상현실 게임을 즐기기 위해 사용하는 HMD(Head Mounted Display)는 멀미감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멀미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퍼즐과 요즈음 오프라인에서 인기가 있는 방탕출 게임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제안한다. 특히, 개발한 콘텐츠는 Unreal Engine을 사용함으로서 게임에 현실성을 더욱 가미할 수 있었고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범용적인 콘텐츠이다. Unreal Engine을 활용한 게임이 별로 많지 않아 본 콘텐츠는 향후 Unreal Engine를 활용한 게임을 제작하는데 도움이 될것이라 사료된다.

  • PDF

제주지역 해양레저-기상서비스 콘텐츠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Ocean Leisure-Weather Service Contents in Jeju Region)

  • 김정윤;박기준;신현숙;김백조;박길운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9-350
    • /
    • 2014
  • 제주는 해양레저의 메카로서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지만, 전문해양기상서비스 콘텐츠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상청의 기상정보를 활용한 해양레저 기상서비스 콘텐츠를 개발하여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콘텐츠 개발에 앞서 현재 해양레저인들이 이용하고 있는 해외 사이트의 장단점을 살펴보고, 그들의 기상정보 활용실태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설문결과를 참고하여 해양레저 인구가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 PDF

지방 M대학생들의 고교시절 교육용 콘텐츠 활용 실태 조사 (A Research on Util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t High School Era of M University Students)

  • 남상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2-384
    • /
    • 2008
  • 최근 들어 고교시절에 학생들이 교육콘텐츠를 활용하여 학업 실력을 높이려는 노력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교육콘텐츠가 컴퓨터에서 또는 PMP 등의 기자재를 통하여 수강되고 있다. 본 조사에서는 지방사립대학인 M대학의 한 클래스에서 고교시절 교육콘텐츠 활용에 대한 파일럿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지방사립대학인 M대학에서는 학생들이 PMP 등의 유비쿼터스 기자재를 사용했던 비율은 30% 정도이고 모든 학생들이 PC를 통하여 수강한 경험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교육콘텐츠에 큰 투자를 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가장 많이 수강하는 사이트는 EBS와 메가스터디였다.

  • PDF

360도 콘텐츠 기반 식물 재테크 상거래서비스 (360-degree content-based plant finance transaction service)

  • 유성현;양건우;최예찬;김은지;김병완;이병권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517-518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360도 카메라기반 식물 전자 상거래서비스 어플을 제안한다. 식물을 이용한 재테크 일명 "식테크"라고 불리는 재테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다른 중고거래 플랫폼에서는 본 거래가 제안되어 있어 거래가 어렵고 일종의 재테크의 개념이라 전문적으로 거래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프로젝트에서는 실시간 차트를 활용하여 식물 거래가를 알려주고, 360도 카메라와 VR을 활용하여 식물의 육성일기 공유하여 어플 사용자들의 커뮤니티 장소가 되고, 은퇴 후 귀농을 하는 사용자에게는 식물을 잘 기르는 법의 정보를 알 수 있는 다방면에서 활용이 가능하여 여러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아이들이 책을 좋아하게 만들 디지털 콘텐츠 디자인 (Digital Content Design Making Children Like Reading Books)

  • 왕린;이하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20-28
    • /
    • 2016
  • 최근 현대사회의 다양한 스마트기기들이 보편화됨에 따라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유아용 콘텐츠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유아용 콘텐츠들은 한꺼번에 다양한 요소들을 접할 수 있다는 점과 편리함 때문에 많은 부모들과 선생님들 사이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유아용 콘텐츠들의 과도한 이용은 아이들의 상상력 저하, 언어발달 저하 등에 문제로 우려의 목소리를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 세대의 아이들이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콘텐츠를 통해 최종적으로 아날로그 책을 통한 독서를 좋아하도록 디자인하고자 한다. 우선 현재 스마트기기의 유아용 콘텐츠들로 사용되는 멀티미디어들의 특징을 그림책비디오, 애니메이션, 멀티미디어동화, 앱북 4종류로 나누어 알아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디지털 콘텐츠의 활용 방안들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는 아이들이 책을 좋아하게 만들 디지털 콘텐츠를 디자인 하는데 있어 가이드라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융합 수업 프로그램에 대한 중학교 영재 학생 및 예비 교사의 인식 조사 (Perceptions of the Middle School Gifted-students and Pre-teachers About the Convergence Class Programs Using Realistic Contents)

  • 김은지;김현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2호
    • /
    • pp.96-10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의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융합 수업 프로그램이 중학교 영재 학생의 수업 만족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실감형 콘텐츠를 포함하여 융합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영재 학생들에게 적용한 후 설문을 통해 영재 학생의 수업 만족도 및 과학적 태도와 인식을 조사하였다. 또한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수업 프로그램의 중학생의 수업 만족도 및 과학적 태도에 대한 영향 그리고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 학생 및 예비 교사 모두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 프로그램의 수업 만족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특히,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이 학습 동기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었다. 반면, 어플리케이션의 질적 수준이 낮다는 것과 스마트 기기의 인프라 부족 등이 단점이라고 지적하였다. 또한 예비 교사는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자신감과 정보는 부족하지만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이 필요하며 이에 대비한 예비 교사를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 교육을 위한 학교 내 시설 및 장비 마련, 융합 수업에 활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프로그램 및 교수 학습 자료 개발, 예비 교사를 위한 교육 등에 대한 시사점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