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콘텐츠 구현

Search Result 2,93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Device-based Educational Contents Viewer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교육용 콘텐츠 뷰어 설계 및 구현)

  • Ju, Seong-Yeon;Jeong, Ji-Seong;Kim, Jong-Oh;Kim, Do-Hyeong;Kwon, Sun-Ock;Lee, Jae-Won;Kim, Jin-Kook;Yoo, Kwa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395-396
    • /
    • 2013
  •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TV 등 오늘날 스마트 미디어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스마트 미디어의 장점을 살려 교육 분야에 활용하기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적 요소 기반으로 콘텐츠를 파싱하여 기능들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보다 쉽게 사용자가 콘텐츠 뷰어를 사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콘텐츠 뷰어에 대한 설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Optimized digital image fusion technology for building immersive media (디지털 영상미디어 몰입 구축을 위한 최적화된 융합기술)

  • Oh, Se-Kang;Lee, Heon-G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73-274
    • /
    • 2016
  • 현대의 디지털 영상미디어 문화는 단순하게 진화된 형태를 넘어 보다 더 수준 높은 콘텐츠의 다양성과 미적 취향이 융합된 기술적 추구를 더욱 요구하고 있다. 특히 영상미디어 콘텐츠에 있어 영상표현의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 미학과 심리적 요인에 대한 접근의 중요성과 주목성을 통해 오감을 구현해 내는 최적화된 구현방식을 표출하기에 이르렀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주목성, 감성충족, 지속성 등이 내제 되어야 영상콘텐츠.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다. 이러한 측면이 디지털 영상콘텐츠의 핵심 기반을 이루는 감성기술이자 가장 어려운 난제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최적화된 디자인구성은 물론 알고리즘 환경이 구축되어야만 한다. 이른바 시지각의 데이터를 몰입으로 유도하고, 지속성 여부를 가늠하는 융합기술이 제시되어야만 새로운 시각형태의 전환으로 디자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aching-Learning Content Management System for ICT Education Integrated Support System (ICT 교육 통합 지원시스템을 위한 교수,학습 콘텐츠 관리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Lee Jongmin;Kwon Hyukseung;Kim Kapsu;Lee Suk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70-72
    • /
    • 2005
  • 최근 초고속 통신망과 같은 우리나라의 발달된 인터넷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는 e-Learning 콘텐츠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에 개발된 콘텐츠와 평가를 포함한 교수,학습 활동 계획을 관리할 수 있는 ICT 교육 통합 지원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브시스템 중 교수,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미 개발되고 중앙교수학습센터 및 시,도 교수학습 지원센터 등에서 제공되고 공유되는 학습자료를 활용하기 위해 KERIS 등에서 제시한 표준을 본 시스템의 설계에 반영하였다. 교수,학습 콘텐츠 관리 모듈은 학습객체를 분류 저장 데이터베이스화 하였으며 실제 활용이 매우 쉬어 특별한 훈련이나 교육을 받지 않아도 기초적인 수준의 PC 활용 능력만 있다면 누구나 쉽게 교수,학습 콘텐츠를 수집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시스템은 기 개발된 학습객체의 재사용으로 인한 효율성 증가는 물론 교과, 단원 학습 주제별로 구조화하여 저장 관리하여 교사의 교수활동 준비 시간을 줄임으로써 실제 학교 현장에서 활용하여 ICT 활용 교수,학습 활동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Personalized Contents Service with User-Context (사용자 콘텍스트를 이용한 맞춤형 콘텐츠 서비스의 구현)

  • Ahn, Eunyoung;Kim, J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614-621
    • /
    • 2008
  • With the proliferation of information and diversity of user environment, the filtering of information for providing suitable contents to user becomes more important. This paper represents the platform for user-context based contents service taking account of user's various environments. To make information more useful, web server devote their effort to select proper contents and reconstruct them according to the user preferences and environment condition. Finally we implement contents provider presenting personalized information for the prehistoric age in virtual museum on the web.

  • PDF

Functio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Editor for creating VR Contents (VR 콘텐츠 생성용 에디터의 기능 개발 및 구현 방법)

  • Yun, In-Ho;Gang, Gi-Myeong;Park, Dae-Yi;Lee, Yang-Min;Lee, Jae-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513-516
    • /
    • 2019
  • 교육 및 의학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 VR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적용 분야의 확대와 기술의 발달은 이루어지고 있으나 VR 전용 콘텐츠가 부족하고 콘텐츠를 생성하고 편집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도 부족한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VR 콘텐츠를 생성하고 편집하는 에디터가 필수적으로 가져야 할 기능과 그 개발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인 그래픽 에디터와는 달리 VR 콘텐츠는 3차원 좌표계에서 작성되어야 하고, 특히 각 객체는 움직임을 가지며 각 움직임에는 시간적인 요소도 포함된다. 이들 요소를 고려한 에디터 기능을 구현하였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기능을 포함한 본 논문의 에디터는 다양한 VR 콘텐츠를 유연하고 자유롭게 생성하고 편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A Gesture-based Game System using Multiple Touch Input Device (다중 터치 입력 장치를 이용한 제스처 기반의 게임 시스템)

  • Son, Hae Sung;Seo, In Kyo;Kim, Jung Hoon;Yun, Tea Su;Lee, Do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807-81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복수 개의 터치 입력 장치를 통해 각각의 제스처를 입력하고, 입력된 제스처와 화면에 출력되는 제스처의 일치여부 및 정확도를 판단하는 제스처 기반의 게임 시스템을 제안한다. 구현된 시스템은 복수 개의 터치 패널과 Desktop 또는 Embedded Board 등의 프로세싱 장치의 하드웨어와 SDL(Simple Directmedia Layer)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한 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시스템은 미리 정의된 방향을 가지는 3가지의 제스처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받아 화면에 출력된 제스처와 비교해 일치여부, 정확도를 판단하여 4가지의 결과를 출력한다. 구현된 시스템에 기존의 콘텐츠를 변환 적용하거나 새로운 기획을 이용하여 새로운 게임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tudy on Efficient Responsive Web Design for Individual Search Contents of Korean Portal (국내 포털의 개별형 콘텐츠 검색 영역 데이터에 기반을 둔 효율적인 반응형 웹 디자인에 관한 연구)

  • Lim, Kyeng Gyu;Cho, Hee Jun;Lee, Goo Yeo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6 no.4
    • /
    • pp.513-522
    • /
    • 2015
  • Various types of digital displays from PC monitor up to smart watch have been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dramatic technological progress of electronics. Accordingly, web content creators have the need to provide web contents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different display environments, which increases production time and costs. As a technique for overcoming this, the responsive web design method has been proposed, which means a web page with the size of the screen being adjusted depending on the types of display. Although the responsive web system is increasingly implemented in the region of contents search pages of domestic portals, there are still many cases that contents are implemented separately for PC and for mobil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responsive types of the web implementation of contents search pages of domestic portal, and propose an efficient new UI for responsive web to individual types of contents search pages which responsive design is not applied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irtual Reality Environment Education Content Based 3D (3D기반의 환경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설계 및 구현)

  • Lee, Keun-Wang;Kim, Yong-Hwa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a
    • /
    • pp.206-20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개발로 인해 변형된 자연환경과 도시의 본래 모습을 3D기반의 환경교육용 가상현실 콘텐츠로 구현함으로써 조선시대의 자연환경과 현재의 자연환경을 비교하여 사용자 스스로 환경변화에 학습하고 오염의 원인과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Implementation of Content based Natural Environment using Virtual Reality (가상현실을 이용한 자연환경 콘텐츠 구현)

  • Lee, Keun-Wang;Jin, Byung-Wo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a
    • /
    • pp.6-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도시화, 국토개발 등을 통해 빠르게 달라지고 있는 거주 공간 및 자연환경의 원형을 사이버공간에 친환경적으로 표현하여 환경교육 학습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콘텐츠로 조선시대 마을의 거주 공간 및 자연환경의 원형, 에너지, 생활환경, 수질, 대기, 토양, 지구 분야를 가상현실을 이용한 자연환경 콘텐츠를 구현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3D Virtual Environment Interface for IETM System (전자매뉴얼을 위한 3D 가상환경 인터페이스의 개발과 구현)

  • 임윤호;한덕수;임순범;최윤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742-745
    • /
    • 2003
  • 전자매뉴얼은 기존의 기술 문서를 전자 문서화 한 것으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활용도가 높은 분야 중 하나이다. 전자매뉴얼은 3D 콘텐츠를 포함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 때 직관적이고 정교한 3D 조작 인터페이스가 요구된다. 또한 그런 3D 인터페이스에서의 조작 정보 역시 적절하게 저장하고 재생하는 방법이 존재한다면 조작 정보의 재사용을 통한 복수의 사용자간의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중심의 직관적인 3D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조작의 기록과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Process Annotation 기법이 적용된 전자매뉴얼의 3D 콘텐츠를 제안하고, 실제 프로토타입으로 구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