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콘텐츠 구성

Search Result 3,633,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Design of Authoring Toolkit for Heterogeneous Hologram-Like Systems (이종 유사 홀로그램 시스템 저작 도구 설계)

  • Kim, Ju-Hwan;Jo, D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1053-1055
    • /
    • 2019
  • 최근 사용자에게 단순히 체험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 같은 내용의 체험을 제공하더라도 더욱 실감있는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현존감 있는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유사 홀로그램(hologram-like)시스템은 고전적인 디스플레이 방식에 빛의 간섭현상을 더해 투영되는 물체가 실제 현장에 존재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준다. 이러한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은 공연, 전시, 교육 등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 널리 확대가 가능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스템이다.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은 피라미드, 반투명 대형 단일 스크린 등 다양한 형태의 H/W 구성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지만 시스템 내부에 콘텐츠를 표현할 때 마다 H/W 구성 특성에 맞춰 콘텐츠를 매번 재구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H/W 구성을 가질 수 있는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에 표현되는 콘텐츠 구성을 자동적으로 보정하여 다양한 종류의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H/W 를 사용하여도 콘텐츠를 변형없이 적용할 수 있는 저작도구 설계를 제안한다.

A Study on Analysis of Initial Contents in MMORPG (MMORPG 의 초기콘텐츠 분석)

  • Jung, Jai-Min;Oh, Gyu-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79-182
    • /
    • 2005
  • 컴퓨터 게임 중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는 다른 장르(Genre)의 게임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개발 기간이 매우 길고, 게임을 구성하는 콘텐츠(contents)도 매우 방대하다. 그러나, MMORPG 를 처음 접하는 플레이어(Player)는 대부분의 경우, 단지 몇 시간 정도의 게임을 해본 후에 게임을 계속할지를 결정한다. 따라서, 플레이어가 게임을 지속적으로 즐기도록 하기 위해서 MMORPG 의 초기에 어떤 콘텐츠를 어떻게 제공할 것인지에 대한 설계는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성공적으로 평가되는 MMORPG 들의 초기콘텐츠를 분석하고 이 분석을 기반으로 효과적인 초기콘텐츠 구성에 대해 기술한다. 이러한 연구는 개발되는 MMORPG 에서 초기 콘텐츠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구성할지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

  • PDF

Circular Splats Based Visualization for Point Cloud Contents (포인트 클라우드 콘텐츠의 원형 Splat 기반 시각화 기법)

  • Yun, Junyoung;Kim, Jongwook;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276-278
    • /
    • 2020
  • 포인트 클라우드 콘텐츠는 실제 사물을 수천만 개의 점으로 표현하는 미디어 콘텐츠이다. 각 점들은 색상 값과 3 차원 공간상의 위치로 구성 되어있다. 이러한 컨텐츠를 영상 미디어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실시간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포인트 클라우드 콘텐츠를 고품질의 영상으로 시각화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포인트 클라우드 콘텐츠를 구성하는 점들이 임의의 순서로 입력될 때, 각 점이 투영된 형상을 원형으로 나타내어 블렌딩하는 원형 splat 기반의 실시간 시각화 기법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Customized Foreign Language Learning Contents Construction (사용자 맞춤형 외국어학습 콘텐츠 구성을 위한 연구)

  • Kim, Gui-Jung;Yi, Jae-I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1
    • /
    • pp.189-194
    • /
    • 2019
  •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methodology of making customized contents according to user 's tendency through the development of learning contents utilizing IT. A variety of learners around the world use mobile devices and mobile learning contents to conduct their learning activities in various fields, and foreign language learning is one of the typical mobile learning areas. Foreign language learning contents suggested in this study is constructed based on the learner's verbal and text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vocal tendency. It is necessary to find out a suitable method to translate the user's native language text into the target language and make it into user friendly content.

Educational Contents for Concepts and Algorithms of Artificial Intelligence

  • Han, Sun Gwa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1
    • /
    • pp.37-44
    • /
    • 2021
  • This study is to design and to develop the educational contents to enhance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First, we designe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contents and constructed education programs. The contents are composed of a total of 15 lectures in 8 AI domains. The contents contain the elements of knowledge-skill-attitude, and 5 learning steps. The developed contents were organized in the form of online materials and included simulations and worksheets to directly manipulate and explore the concepts and algorithms of AI. In addition, we provided evaluation questions for each content. To examine the suitability of content, we conducted a validity test for experts. As a result of the content validity test, the overall average was .71 or higher, and the CVI value of the class suitability was .82, indicating a high validity. We are expected to use the contents developed in this study as an effective program to improve AI literacy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Contents composition of MOOC contents lecture (MOOC 강의목차 구성에 관한 연구)

  • Jung, woo-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27-128
    • /
    • 2017
  • MOOC 강좌개설을 위한 강의콘텐츠를 교내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한 과정을 통해 나타난 강의편수와 수업시간의 배분을 살펴보았다. 순천대학교의 MOOC 강의목차와 일본 J-MOOC를 실행중인 대학들의 강의목차를 비교함으로써 MOOC 강좌목차 구성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필요성을 논의한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HEVC SCC Hash-based IntraBC through Modified Hash Stucture (다양한 해시 구성을 활용하는 HEVC 스크린 콘텐츠 코딩 화면 내 블록 카피 기법의 코딩 성능 분석)

  • Lee, Junghyun;Jeong, Je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6a
    • /
    • pp.95-98
    • /
    • 2017
  • 기존의 자연영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던 HEVC 동영상 압축 표준은 스크린 콘텐츠 코딩(SCC)을 제안하여 문자와 그래픽 효과가 많이 포함된 스크린 콘텐츠 영상의 압축 성능을 향상시켰다. SCC의 화면 내 블록 카피 기법은 스크린 콘텐츠 영상의 특성상 한 화면 내 반복되는 무늬들을 찾아 예측에 활용한다. 이에 본 논문은 화면 내 블록 카피 기법에서 사용되는 블록 탐색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특히, 전역 탐색에서 사용되는 해시 기반의 탐색기법의 해시 값 구성의 분석을 통해, 해시 구성 요소들의 비중을 감소와 새로운 해시 구성 요소를 활용하여 최대 0.330% 비트레이트율 감소 및 0.328% 비트레이트율 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Measurement of Perceived Depth in Watching Stereoscopic 3D Contents (3D 콘텐츠에서 시청자가 지각하는 돌출거리 측정)

  • Han, Dong-Hee;Kang, Hang-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336-337
    • /
    • 2013
  • 전 세계적으로 3D영화 및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편안한 시청영역(Comfort Zone)에서도 3D를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지 않다. 이런 사람들은 "자신의 눈"에 이상이 있는 것도 모른 채 3D 콘텐츠를 멀리하게 되지만, 안과적 조치를 통해 3D영상 시청 시 어지럼증 유발을 상당부분 제거할 수 있다. 기존의 입체시 검사 도구는 왜곡 및 실감정도를 파악할 수가 없다. 이를 세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3D 콘텐츠 깊이 측정기를 제작하고, 이에 적합한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3D 콘텐츠 깊이 측정기는 기능을 제어하는 콘트롤 부와 콘텐츠를 보여주는 컨벌젼스 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비를 통해 3D 오브젝트의 깊이나 돌출거리와 같은 여러 파라메타들을 측정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에 대해선, 오브젝트의 위치는 여섯 부분으로 분류하고, 양안시차(disparity)는 $+2^{\circ}{\sim}-3^{\circ}$ 범위에 $1^{\circ}$ 간격으로 6레벨로 구성하였다.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해 서른여섯개의 오브젝트를 제작하였고, 이들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구성하도록 했다. 이를 바탕으로, 안간거리 6.5cm를 대상으로 돌출거리를 측정하였다.

Personalized Contents using the Tags of the Social Bookmarking Service (소셜 북마킹 서비스의 태그를 이용한 개인화 콘텐츠)

  • Han, Ju-Hyeun;Jung, Moon-Ryul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267-272
    • /
    • 2009
  • 웹 2.0 이라 불리는 현 웹의 패러다임은 개방, 공유, 참여로 압축하여 말할 수 있다. 이 속에서는 사용자의 참여와 공유로 콘텐츠가 생산 또는 재생산된다. 이러한 콘텐츠는 사용자의 관심을 반영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떠한 콘텐츠를 만들어 냈는지, 수집했는지 등을 분석하면 사용자의 관심 범주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소셜 북마킹 서비스를 이용하며 생성한 태그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관심 범주를 추출하여 이를 통해 개인화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안한다. 우선, 웹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피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생성한 태그 중 가장 많이 쓰인 10개의 태그와 그것들과 관련 있는 태그들만 모아서 관심 범주을 추출하기 위한 태그 집합을 구성한다. 구성된 태그 집합을 바탕으로 피어슨 상관 계수를 통해 태그 간 동시 사용률을 조사한다. 이후 사용자 흥미에 부합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해 조사된 동시 사용률을 바탕으로 검색 키워드 그룹을 추출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키워드 그룹들은 사용자의 평소 관심사와 관련된 콘텐츠를 검색하는데 사용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관심 있는 내용의 콘텐츠를 사용자의 특별한 검색 절차 없이 제공받는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절차 없이도 웹에 축적된 사용자의 정보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 PDF

Analysis of the Involving Mechanism of Kim Eun-Sook Drama : Focused on the Audience's Predictability and the Activities of Constructing Hypotheses (김은숙 드라마 <도깨비>의 몰입기제 구축과정 분석 - 관람자 예측성과 가설 구성 활동을 중심으로 -)

  • Kim, Eui-Jun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3 no.2
    • /
    • pp.79-91
    • /
    • 2019
  •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risk management is crucial for securing competitiveness due to the risk of investment. The competitiveness of contents is reinforced when external factors such as industrial environment and internal factors centering on involving mechanism are simultaneously provided. The involving mechanism is a form of cognitive response behavior of the audience and occurs through signal processing of the brain when watching the image contents. The signal processing of the brain related to the contents watching is mainly performed in the working memory area, and in the case of the captivating movie, the information other than the contents transmitted to the audience is blocked to generate a temporary dissociation state. A dissociation state similar to a symptom such as hypnosis or amnesia occurs when the audience's level of involving is high. On the other hand, contents information in which the audience is concentrating his attention is used intensively for constructing future thinking through an episodic buffer while the inflow of external information is relatively blocked or delayed. The spectator's future thinking configuration takes the form of a hypothesis-forming activity and is based on the predictability of the brain. When these hypothesized behaviors correspond to the problem solving simulation of story and predictability which is an evolutionary function of the brain, the audience' s brain is involved in the contents at a high level. In order for the act to be effective, the factors such as the background of the hypothesis, the subject of the hypothesis, the internal information of the person, the type and position and quantity of the hypothesis information, and the hypothesis relevance and type of information are important. Based on these factors, analysis of the Kim Eun Sook Drama 'Goblin' shows that the above elements are operated in a very organic and meaningful way.